감정지능(Emotional Intelligence)

감정지능

By , , and

Yale University

이 모듈에서는 감성 지능의 기본 이론적 모델, 측정 도구, 타당성 및 실제 환경에서의 적용을 검토하여 감성 지능의 구성을 검토합니다. 지난 수십 년간의 경험적 연구를 통해 감성 지능에 대한 상반된 정의를 뒷받침하고 이 분야의 향후 방향에 대해 논의합니다.

학습 목표

  • Understand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and cognition.
  • Distinguish between mixed and ability models of emotional intelligence.
  • Understand various methods for measuring emotional intelligence.
  • Describe emotional intelligence’s evolution as a theoretical, success-oriented, and achievement-based framework.
  • Identify and define key concepts of emotional intelligence (including emotion regulation, expression of emotion, understanding emotion, etc.) and the ways they contribute to decision making, relationship building, and overall well-being.
  • 감성 지능의 이론적 토대와 감정과 인지 사이의 관계를 이해합니다.
    감성 지능의 혼합 모델과 능력 모델을 구분합니다.
    감성 지능을 측정하는 다양한 방법을 이해합니다.
    감성 지능의 진화를 이론적, 성공 지향적, 성취 기반 프레임워크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감성 지능의 주요 개념(감정 조절, 감정 표현, 감정 이해 등)과 이러한 개념이 의사 결정, 관계 구축 및 전반적인 웰빙에 기여하는 방식을 식별하고 정의합니다.

소개

좋아하는 밴드를 보기 위해 티켓을 사기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린다고 상상해 보세요. 티켓이 한정되어 있고 가격이 빠르게 오를 것을 알고 4시간 일찍 도착했습니다. 안타깝게도 다른 사람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줄은 몇 블록에 걸쳐 뻗어 있고 도착한 이후에도 움직이지 않고 있습니다. 비가 내리기 시작합니다. 이제 윌 콜에 가까워졌을 때 세 사람이 친구들을 위해 자리를 비워둔 것처럼 보이는 친구들을 만나기 위해 앞서 뛰어가는 것을 발견합니다. 그들은 줄을 서서 기다리는 다른 사람들의 느린 행렬을 따라 앞으로 나아가면서 휴대폰으로 큰 소리로 이야기합니다. 마침내 매표소에 도착했지만 점원은 공연이 매진되었다는 말을 전합니다. 옆에서 티켓을 허공에 흔들며 시끄럽게 떠드는 사람들이 눈에 들어옵니다. 바로 이 순간, 불 같은 감정이 온몸을 관통합니다. 심장이 뛰기 시작하고, 카운터에 손을 내리치거나 자신을 무시했다고 생각되는 사람들에게 소리를 지르고 싶은 충동을 느낍니다. 이런 감정은 무엇이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After a serious disappointment or injustice how hard is it to keep control of your emotions? [Image: DCist, https://goo.gl/o9EZOG, CC BY-2.0, https://goo.gl/zHmGV2]

감성 지능(EI)은 인지와 감정이 서로 연관되어 있다는 생각을 포함합니다. 이 개념은 감정이 의사 결정, 관계 형성 및 일상적인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믿음에서 비롯됩니다. 쏟아지는 빗속에서 몇 시간 동안 간절히 기다렸지만 아무것도 얻은 것이 없는데, 불공평함에 대한 격렬한 분노를 억누를 수 있을까요? EI 관점에서 볼 때, 감정은 개인이 지식과 기술을 개발하는 한 관리할 수 있는 능동적인 정신 과정입니다. 하지만 정확히 어떻게 감정을 추론할 수 있을까요? 다시 말해, 우리의 감정 시스템은 얼마나 지능적일까요?

먼저 표준 지능 또는 일반 지능의 개념을 간략히 살펴보겠습니다. 미국의 심리학자 데이비드 웨슬러는 지능을 "합리적으로 사고하고, 목적의식을 가지고 행동하며,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개인의 종합적인 능력"이라고 주장했습니다(Wechsler, 1944). 이 정의를 받아들인다면 지능은 주변 환경을 더 잘 탐색하기 위해 내적 능력을 활용하는 방법을 배우는 운영 과정으로, 감정의 영향을 받지는 않더라도 감정과 가장 유사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990년, 피터 살로비 박사와 존 D. 메이어 박사는 EI를 처음 탐구하고 정의했습니다. 이들은 EI를 "자신과 타인의 감정과 정서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구별하며, 이 정보를 사용하여 사고와 행동을 안내하는 능력"이라고 설명했습니다(Salovey & Mayer, 1990). 이 연구자들에 따르면 EI는 모든 개인이 사고, 판단 및 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감정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 모듈에서는 EI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와 일상 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배울 수 있는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이 이론을 풀어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EI의 역사

Aristotle
Perhaps Aristotle might have revised his statement about people not being “defeated by their emotion” if he was ever stuck in rush hour traffic. [CC0 Public Domain, https://goo.gl/m25gce]

전통적으로 많은 심리학자와 철학자들은 인지와 감정은 별개의 영역이며, 감정은 생산적이고 이성적인 사고에 위협이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감정에 휘둘려 결정을 내리지 말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으신가요? 이러한 열정과 이성의 분리는 고대 그리스 초기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Lyons, 1999). 또한 20세기 중반의 학자들은 감정을 정신적으로 불안정하게 만드는 힘으로 설명하기도 했습니다(Young, 1943). 하지만 역사적으로 감정과 인지의 교차점에 대해 이론적으로 의문을 제기한 흔적은 곳곳에 남아 있습니다. 기원전 350년, 그리스의 유명한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어떤 사람들은 ... 다가올 일을 먼저 지각하고 보고 자신과 계산 능력을 먼저 일깨운다면, 그것이 즐겁든 고통스럽든 감정에 의해 패배하지 않는다"(아리스토텔레스, 역, 2009, 제7권 7장 8절)고 썼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경험에 따르면 이러한 믿음은 서양과 동양 문화 모두에서 수 세기 동안 무시되어 왔습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우리에게 '강해지라'고 가르치고 감정을 숨기도록 가르치는 것과 같은 맥락입니다. 그렇다면 모든 개인이 감정을 통해 '계산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과학적 이론인 EI는 어떻게 탄생했을까요?

1970년대 초, 많은 과학자들이 표준화된 지능 평가인 지능 지수(IQ)의 한계를 인식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인지 능력만으로는 개인 간의 차이를 설명할 수 없다는 점을 발견했습니다. 이러한 불만은 가드너의 다중 지능 이론(1983/1993)과 스턴버그의 삼원적 지능 이론(1985)과 같은 보다 포괄적인 지능 이론의 발전으로 이어졌습니다. 또한 연구자들은 판단력(Isen, Shalker, Clark, & Karp, 1978)과 기억력(Bower, 1981)을 포함한 사고 과정에 대한 기분과 감정의 영향에 대해 탐구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이론적 탐구와 경험적 연구를 통해 EI의 개념이 구체화되기 시작했습니다.

오늘날 EI는 다양한 관점과 측정 도구를 포괄하는 광범위한 분야입니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성장의 원인을 1995년 다니엘 골먼이 그의 저서 '감성 지능'에서 감성 지능 개념을 대중화했기 때문으로 보고 있습니다: 감성 지능이 IQ보다 더 중요한 이유. 골먼은 감성 지능이 개인적, 직업적 성공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에 초점을 맞춰 대중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골먼의 EI 모델에는 감정 관련 기술, 전통적인 인지능력, 뚜렷한 성격 특성이 혼합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EI에 대한 개념이 확대되고 EI 관련 문헌이 증가하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이 분야에서 상충되는 정의 및 측정 모델에 기여했습니다.

EI의 모델 및 측정

많은 연구자들은 EI 이론이 측정 형태만큼만 성공할 수 있다는 데 동의할 것입니다. 오늘날 EI의 세 가지 주요 모델은 능력 모델(Mayer & Salovey, 1997; Salovey & Mayer, 1990), 혼합 모델(Bar-On, 2006; Boyatzis & Sala, 2004), 특성 EI 모델(Petrides & Furnham, 2003)이 있습니다.

능력 모델은 (1) 상호 연관성이 있고, (2) 현존하는 다른 지능과 관련이 있으며, (3) 연령과 경험에 따라 발달하는 뚜렷한 정신 능력 집합을 활용하는 표준 지능으로 EI에 접근합니다(Mayer, Caruso, & Salovey, 1999; Mayer, Salovey, Caruso, & Sitarenios, 2003). 반면, 혼합형 모델과 특성형 모델 모두 EI를 인지된 능력, 기술 및 성격 특성의 집합으로 정의하고 측정합니다.

능력 모델: 메이어와 살로비 4가지 EI 모델

이 섹션에서는 메이어와 살로비(1997)가 지지하는 EI(네 가지) 모델에 대해 설명합니다. 이 모델에서는 (1) 감정의 지각/표현, (2) 사고를 촉진하기 위한 감정의 사용, (3) 감정에 대한 이해, (4) 자신과 타인의 감정 관리라는 네 가지 기본적인 감정 관련 능력이 EI를 구성한다고 제안합니다.

1. 감정 인식

감정 지각이란 얼굴 표정, 목소리 톤, 바디랭귀지를 사용하여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식별하는 능력을 말합니다(Brackett et al., 2013). 감정 지각에 능숙한 사람은 그에 따라 감정을 표현하고 감정적 필요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오프닝 시나리오로 돌아가 보겠습니다. 매표소에서 발길을 돌린 후, 당신은 콘서트에 참석할 수 없다는 현실에 서서히 적응해 갑니다. 하지만 같은 반 친구들이 티켓을 구입하여 점심 식사 자리에서 계획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그들이 오프닝 밴드의 공연이 기대되냐고 묻자, 당신은 어깨를 으쓱하며 음식을 골라 먹습니다. 급우들이 감정 인식에 능숙하다면, 그들은 당신의 표정과 몸짓을 읽고 당신이 실망, 좌절 또는 대화에 참여하지 않으려는 진짜 감정을 숨기고 있다고 판단할 것입니다. 그 결과, 그들은 당신에게 무슨 일이 있는지 물어보거나 당신의 면전에서 콘서트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기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2. 사고력 향상을 위한 감정의 활용

A chess player with his hand on a rook.
Which emotions would serve you best during a football game? Would the same emotions be useful for a chess match? Matching the emotion to the task at hand is valuable skill to have. [Image: Ian Sane, https://goo.gl/lKuqyz, CC BY 2.0, https://goo.gl/zHmGV2]

감정을 사용하여 인지 활동을 향상하고 다양한 상황에 적응하는 것이 EI의 두 번째 구성 요소입니다. 이 분야에 능숙한 사람들은 어떤 감정 상태가 다른 감정 상태보다 목표한 결과에 더 최적화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합니다. 콘서트 티켓 때문에 좌절감을 느끼는 것은 축구 경기를 하거나 레슬링 경기를 시작할 때 유용한 마음가짐이 될 수 있습니다. 좌절감과 관련된 높은 수준의 아드레날린은 에너지와 힘을 높여 경쟁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감정은 학교 책상에 앉아 대수 문제를 풀거나 에세이를 작성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이 EI 영역을 개발하고 연습한 개인은 특정 과제나 목표를 지원하는 감정을 적극적으로 생성합니다. 예를 들어, 이 영역에 능숙한 교사는 학생들이 브레인스토밍이나 공동 미술 프로젝트와 같은 창의적인 작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쁨이나 흥분과 같은 긍정적인 감정을 경험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 교사는 학생들이 밖에서 놀고 나서 밝고 행복하게 교실에 들어올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고 이러한 활동을 쉬는 시간 이후에 예약하여 그에 따라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정서적 경험이 행동과 행동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바탕으로 의사 결정을 내리는 것은 EI의 필수 요소입니다.

3. 감정에 대한 이해

EI는 감정 상태와 그 구체적인 원인 및 궤적을 구별하는 능력도 포함합니다. 슬픔이나 실망감은 콘서트 티켓과 같은 사람이나 물건을 잃어버렸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기준에서 빗속에 서 있는 것은 약간의 성가심에 불과합니다. 하지만 많은 인파 속에서 몇 시간 동안 빗속에서 기다리는 것은 짜증이나 좌절감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른 사람이 줄을 서고 마땅히 받아야 할 표를 가져가는 등 부당한 대우를 받았다고 느끼면 불쾌감이 분노와 원망으로 확대될 수 있습니다. 이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은 이러한 감정 궤적을 잘 알고 있으며, 여러 감정이 어떻게 함께 작용하여 다른 감정을 만들어낼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줄을 서다가 앞을 가로막는 사람에 대해 경멸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경멸감은 분노만으로 생기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그 사람들이 나와 달리 규칙을 어겼다는 사실에 대한 분노와 혐오감이 결합된 것입니다. 부정적인 감정을 성공적으로 구별하는 것은 감정 이해와 관련된 중요한 기술이며, 이는 보다 효과적인 감정 관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Feldman Barret, Gross, Christensen, & Benvenuto, 2001).

4. 감정 관리

감정 관리에는 다양한 감정에 개방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특정 상황에서 특정 감정을 느끼는 것의 가치를 인식하며, 감정 조절에 가장 효율적인 단기 및 장기 전략을 이해하는 능력이 포함됩니다(Gross, 1998). 분노는 공정하고 인내심을 가지고 추구했던 목표(콘서트 티켓)에 미치지 못했을 때 적절한 반응으로 보입니다. 사실, 이런 감정을 경험하는 것 자체가 가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공격적이고 원치 않는 행동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감정을 확실히 관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심호흡을 하고 평온해질 때까지 기다렸다가 앞 그룹이 줄을 끊었다는 사실을 알리는 등의 전략을 세우면 분노를 조절하고 상황이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 전략을 사용하면 다른 관점, 즉 그들이 이미 티켓을 구매했고 단지 친구를 동반한 것일 뿐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는 등 다른 관점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성능 측정으로 EI 측정

심리학에서는 자기보고 테스트가 일반적이지만, EI의 능력 모델에는 성과 측정이라는 다른 접근 방식이 필요합니다. 수행 측정에서는 응답자가 감정 관련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네 가지 감정 기술(Mayer & Salovey, 1997)을 입증해야 합니다. 이러한 측정법 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메이어-살로비-카루소 정서 지능 테스트(MSCEIT)(Mayer, Salovey, & Caruso, 2002)입니다. MSCEIT는 네 가지 정서 능력별로 2개씩 총 8개의 과제로 구성된 141개 문항으로 구성된 테스트입니다. 예를 들어, 감정 관리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응답자에게 감정적 갈등이 포함된 시나리오를 읽게 한 다음 다양한 해결 방법의 효과를 평가하도록 요청합니다. MSCEIT 및 기타 성과 평가 도구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는 Rivers, Brackett, Salovey, Mayer(2007)를 참조하세요.

EI의 혼합 및 특성 모델

능력 모델과 달리 혼합 모델은 정신적 능력과 낙관주의, 동기 부여, 스트레스 내성 등의 성격 특성을 결합한 광범위한 EI 정의를 제공합니다(Cherniss, 2010, 검토 참조). 가장 널리 사용되는 두 가지 혼합 모델은 Boyatzis-Goleman 모델(Boyatzis & Sala, 2004)과 Bar-On의 정서-사회성 지능 모델(Bar-On, 2006)입니다. Boyatzis-Goleman 모델은 EI 역량을 자기 인식, 자기 관리, 사회적 인식, 관계 관리의 네 가지 그룹으로 나눕니다. 마찬가지로 Bar-On 모델에서는 EI를 대인관계 기술, 대인관계 기술, 적응력, 스트레스 관리, 기분의 다섯 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분류합니다. 특성 EI 모델 개발자(Petrides & Furnham, 2003)는 EI를 스스로 인지하는 감정 관련 성격 특성의 집합으로 설명합니다.

혼합 및 특성 모델 평가: 자체 보고서

A doctor speaks to a patient who is lying on an fMRI table before undergoing a scan.
As an alternative to somewhat unreliable self-report measures, researchers have been using fMRI studies to detect changes in brain function when a self-report type of question is given to a participant. [Image: NIH Image Gallery, https://goo.gl/aWZBvI, CC BY-NC 2.0, https://goo.gl/VnKlK8]

자가 보고 평가(응답자에게 자신의 감정 기술을 보고하도록 요청하는 설문조사)는 혼합 및 특성 모델과 가장 자주 연관됩니다. 자가 보고 측정은 일반적으로 빠르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연구자들은 사회적 편견과 속임수에 대한 취약성이 문제가 된다고 주장합니다(Day & Carroll, 2008). 또한 응답자를 대신하여 개인의 능력과 기술을 부정확하게 판단할 가능성에 대한 다양한 추측이 있습니다(예: Paulhus, Lysy, & Yik, 1998). 자기보고 측정은 기존의 성격 측정과 변별 타당도가 부족하고 EI의 능력 측정과 상관관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Brackett & Mayer, 2003; Brackett, Rivers, Shiffman, Lerner, & Salovey, 2006). Mayer와 동료들(2008)에 따르면, 자기보고 테스트는 개인의 성격에 대한 신뢰성을 보여줄 수 있지만, 지능을 측정하는 데는 수행 테스트가 표준이기 때문에 EI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고 합니다.

능력과 혼합 또는 특성 모델 접근법 사이의 긴장이 이 분야를 분열시키는 것처럼 보이지만, 경쟁적인 정의와 측정은 EI에 대한 연구의 질과 실제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토론의 여지

혼합 및 특성 모델이 EI의 개념을 어느 정도 밝혀주기는 하지만, 많은 연구자들은 이러한 접근 방식이 개별적이고 측정 가능한 정신 능력으로서의 EI 구성을 약화시킨다고 생각합니다. EI는 능력으로 개념화될 때 인지능력이나 성격 특성에만 초점을 맞출 때 종종 놓치는 개별 결과의 변화를 설명함으로써 인지와 정서 사이의 관계를 가장 정확하게 설명합니다(O'Boyle, Humphrey, Pollack, Hawver, & Story, 2010). 또한 성인의 경우 성격 특성은 융통성을 발휘할 여지가 거의 없기 때문에 정서적 기술과 결합하더라도 이러한 영역의 발달을 어렵게 만듭니다. 예를 들어, 동의성 및 신경증과 같은 특성은 개인적 및 직업적 성공에 기여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적으로 유지될 가능성이 높은 타고난 특성으로 간주됩니다. EI를 성격 특성과 구별하면 바람직한 결과를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을 더 잘 타겟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Brackett 외., 2013). 개인적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 언어로 EI에 접근하는 것은 그 적용에 매우 중요합니다. 능력 모델은 이러한 접근 방식과 일치하므로 이 모듈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능력 EI와 이를 직업 및 학업 환경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에 초점을 맞출 것입니다.

결과

역사적으로 감정은 교실이나 직장에서 설 자리가 없는 것으로 여겨져 왔습니다(Sutton & Wheatly, 2003). 하지만 오늘날에는 경험적 연구를 통해 EI가 직업적 및 학업적 환경에서 의사 결정, 건강, 관계,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믿음이 뒷받침되고 있습니다(예: Brackett et al., 2013; Brackett, Rivers, & Salovey, 2011).

직장

A group of office workers gather around a desk during a conversation.
Think of a time when you made a choice to demonstrate emotional intelligence at work – what happened? [Image: Pricenfees, https://goo.gl/8GOJPR, CC BY 2.0, https://goo.gl/BRvSA7]

직장에서 수행된 연구에 따르면 EI와 향상된 업무 성과, 직업적 웰빙, 리더십 효과 사이의 긍정적인 연관성을 뒷받침합니다. 한 연구에서 EI는 회사 직급, 성과급 인상률, 대인관계 촉진 평가, 직장에서의 감정 및 태도와 같은 성과 지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Lopes, Grewal, Kadis, Gall, & Salovey, 2006). 문제 해결, 직원 해고 결정, 클레임 조정, 성공적인 협상과 관련된 다양한 경영 시뮬레이션에서도 EI와 유사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었습니다(Day & Carroll, 2004; Feyerherm & Rice, 2002; Mueller & Curhan, 2006). 감정 관리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회적 및 비즈니스 상호 작용에 영향을 미쳐 업무 성과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O'Boyle 외., 2010).

직장의 리더도 높은 EI의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조직 행동 분야의 전문가들은 리더십을 리더가 조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팔로워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영향을 미치고, 안내하고, 권한을 부여하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과정으로 보기 시작했습니다(Bass & Riggio, 2006). 이를 변혁적 리더십이라고 하는데, 리더는 비전을 제시하고 다른 사람들이 이 방향으로 일하도록 영감을 줍니다(Bass, 1985). 24명의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표본 조사에서 MSCEIT 점수는 팔로워가 자신의 행동을 모방하고 각 개인의 필요와 문제에 관심을 갖도록 영감을 주는 리더의 능력과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Leban & Zulauf, 2004).

학교

교육 환경에 적용될 때 EI의 이론적 토대는 종종 사회 및 정서적 학습(SEL) 프로그램에 통합됩니다. SEL은 사고, 느낌, 행동을 통합하는 과정입니다. 이러한 기술을 통해 개인은 자신과 타인을 인식하고, 책임감 있는 결정을 내리고, 자신과 타인의 행동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Elias et al., 1997; Elbertson, Brackett, & Weissberg, 2010). SEL 프로그램은 아동의 사회적 및 정서적 기술을 향상시키고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교실, 학교 또는 학군의 분위기를 개선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Greenberg 외, 2003). 이러한 요소에 초점을 맞춘 커리큘럼을 채택하면 학업, 관계, 궁극적으로 인생에서 성공할 수 있다고 믿어집니다(Becker & Luthar, 2002; Catalino, Berglundh, Ryan, Lonczek, & Hawkins, 2004).

잠시 시간을 내어 교사의 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세요. 감정이 교실 분위기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요? 교사가 불안하거나 불만이 있거나 의욕이 없는 상태로 교실에 들어온다면 학생들도 이러한 상태를 알아차리고 느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부정적인 감정을 잘 관리하지 않으면 교실의 역동성을 해치고 학생의 학습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Travers, 2001). 연구에 따르면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서는 감정을 인지하고, 사용하고, 이해하고, 관리하는 능력이 필수적입니다(Reyes, Brackett, Rivers, White, & Salovey, 2012; Brackett, Reyes, Rivers, Elbertson, & Salovey, 2011; Hargreaves, 2001). 중등학교 교사의 감정 조절과 직무 만족도 및 소진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교사의 감정 조절이 긍정적 영향, 교장의 지원, 직무 만족도 및 개인적 성취감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Brackett, Palomera, Mojsa-Kaja, Reyes, & Salovey, 2010).

EI는 SEL 프로그램에 포함될 경우 학생의 개인적 및 학업적 성공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Durlak, Weissberg, Dymnicki, Tayloer, & Schellinger, 2011). 또한 연구에 따르면 강력한 감정 조절은 학생들이 수업에 집중하고, 학교 환경에 적응하고, 학업 불안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Lopes & Salovey, 2004; Mestre, Guil, Lopes, Salovey, & Gil-Olarte, 2006). 최근 RULER*에 대한 무작위 대조 시험에서도 1년 후, 표준 커리큘럼만 사용한 학교와 비교하여 RULER를 사용한 학교는 독립적인 관찰자들에 의해 교사와 학생 간의 따뜻함과 유대감, 자율성과 리더십, 학생 간의 괴롭힘 감소, 학생의 흥미와 동기에 더 집중하는 교사 등으로 더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Rivers, Brackett, Reyes, Elbertson, & Salovey, 2013).

*RULER - Recognize emotions in oneself and in other people. Understand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a wide range of emotions. Label emotions using a sophisticated vocabulary. Express emotions in socially appropriate way. Regulate emotions effectively.

제한 사항 및 향후 방향

A teacher reads a story to a group of grade school students.
Future directions for EI research include more study of those in cultures outside North America and Europe, and more attention to the dynamics of EI in the workplace and schools. [Image: CC0 Public Domain, https://goo.gl/m25gce]

EI 이론과 측정에 대한 더 많은 발전과 관련 결과에 대한 더 많은 실증적 연구가 필요합니다(Mayer, Salovey, & Caruso, 2008). EI의 대표적인 성과 평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MSCEIT에는 여러 가지 한계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몇 가지 능력에 대한 평가는 허용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능력에는 감정 표현과 자신의 감정을 모니터링하거나 성찰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브래킷 외. 2013). 또한 연구자들은 점점 커지는 비판, 특히 측정에 대한 논쟁을 넘어 너무 광범위하게 정의될 경우 EI 구성의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비판에 대응해야 합니다(Locke, 2005). EI 연구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연구자들이 서로 다른 정의를 조정하고 기존 측정을 개선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야 할 필요성이 매우 높습니다. 이 분야의 향후 연구에서 고려해야 할 잠재적 고려 사항에는 EI의 유전적(후천적) 측면과 유동적(결정화된) 측면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EI의 문화적 의미와 차이점도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입니다. EI 이론이 문화적으로 타당하고 그 적용과 결과가 보다 보편적으로 달성되기 위해서는 연구가 미국과 유럽을 넘어 전 세계로 확대되어야 합니다. 또한 발달 궤적, 성별 차이, 직장 및 교육 환경에서 EI가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해서도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합니다(Brackett 외., 2013).

EI 분야에 대한 더 많은 탐구와 연구가 필요하지만, 현재의 연구 결과는 감정과 인지 사이의 근본적인 관계를 나타냅니다. 첫 질문으로 돌아가서, 콘서트 티켓이 거부되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EI의 가장 매력적인 측면 중 하나는 개인의 선택권을 부정함으로써 자아를 지배하는 것으로 여겨졌던 감정을 통제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이 힘에는 책임도 따릅니다. 공연 티켓을 구하지 못해 화가 난다면 심호흡을 몇 번 하고 산책을 하며 생리적 지표(손 떨림이나 심장 박동 증가)가 가라앉을 때까지 기다릴 수 있습니다. 일단 마음을 비우고 나면 분노의 감정이 짜증으로 줄어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감정의 강도를 낮추면(이 과정을 하향 조절이라고 합니다) 활성화된 감정이 아닌 상황 자체에 다시 집중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런 의미에서 감정 조절은 자신의 진정한 감정을 무시하지 않고 갈등의 지점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게 해줍니다. 감정 경험을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더 나은 문제 해결이 가능합니다. 이제 감정이 덜 활성화되었으니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인가요? 티켓 직원에게 이야기해야 하나요? 영업 관리자를 만나게 해달라고 요청할까요? 아니면 줄을 끊었을 때 어떤 기분이 들었는지 그룹에 알릴까요? 이 모든 옵션은 충동적으로 분노를 표출하는 것보다 더 나은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이 모듈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연구에 따르면 EI를 키우고 발전시키는 것이 보다 생산적이고 서로를 지지하며 건강한 경험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람이 많은 공공장소에서 기다릴 때, 수업 계획을 전달할 때, 친구들과 대화를 나눌 때, 우리가 어떻게 느끼고 행동하고 싶은지에 대한 궁극적인 의사 결정권자는 바로 우리 자신입니다. 올바른 사고 과정과 전략을 활용하면 감정 상태를 더 잘 이해하고, 조절하고, 관리하여 원하는 삶을 살 수 있습니다.

Outside Resources

Article: Are you emotionally intelligent? Here’s how to know for sure. Inc.com Retrieved from:
http://www.inc.com/travis-bradberry/are-you-emotionally-intelligent-here-s-how-to-know-for-sure.html
Article: Grant, A. (2014, January 2). The dark side of emotional intelligence, The Atlantic. Retrieved from:
http://www.theatlantic.com/health/archive/2014/01/the-dark-side-of-emotional-intelligence/282720/
Article: Gregoire, C. (2014, January 23) How emotionally intelligent are you? Here’s how to tell. Huffington Post. Retrieved from:
http://www.huffingtonpost.com/2013/12/05/are-you-emotionally-intel_n_4371920.html
Book: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NY: Bantam.
Book: Goleman, D. (1998). Working with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NY: Bantam.

Discussion Questions

  1. What are the four emotional abilities that comprise EI, and how do they relate to each other?
  2. What are three possible implications for using ability-based and mixed or trait-based models of EI?
  3. Discuss the ways in which EI can contribute positively to the workplace and classroom settings.

Vocabulary

Ability model
An approach that views EI as a standard intelligence that utilizes a distinct set of mental abilities that (1) are intercorrelated, (2) relate to other extant intelligences, and (3) develop with age and experience (Mayer & Salovey, 1997).
Emotional intelligence
The ability to monitor one’s own and others’ feelings and emotions, to discriminate among them and to use this information to guide one’s thinking and actions. (Salovey & Mayer, 1990). EI includes four specific abilities: perceiving, using, understanding, and managing emotions.
Four-Branch Model
An ability model developed by Drs. Peter Salovey and John Mayer that includes four main components of EI, arranged in hierarchical order, beginning with basic psychological processes and advancing to integrative psychological processes. The branches are (1) perception of emotion, (2) use of emotion to facilitate thinking, (3) understanding emotion, and (4) management of emotion.
Mayer-Salovey-Caruso Emotional Intelligence Test (MSCEIT)
A 141-item performance assessment of EI that measures the four emotion abilities (as defined by the four-branch model of EI) with a total of eight tasks.
Mixed and Trait Models
Approaches that view EI as a combination of self-perceived emotion skills, personality traits, and attitudes.
Performance assessmen​t
A method of measurement associated with ability models of EI that evaluate the test taker’s ability to solve emotion-related problems.
Self-report assessment
A method of measurement associated with mixed and trait models of EI, which evaluates the test taker’s perceived emotion-related skills, distinct personality traits, and other characteristics.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SEL)
The real-world application of EI in an educational setting and/or classroom that involves curricula that teach the process of integrating thinking, feeling, and behaving in order to become aware of the self and of others, make responsible decisions, and manage one’s own behaviors and those of others (Elias et al., 1997)

References

  • Bar-On, R. (2006). The Bar-On model of emotional-social intelligence (ESI). Psicometha, 18 (Suppl.), 13–25.
  • Bass, B. M. (1985). Leadership and performance beyond expectations. New York, NY: Free Press.
  • Bass, B. M., & Riggio, R. E. (2006). Transformational leadership (2nd ed.) Mahwah, NJ: Erlbaum.
  • Becker, B.E., & Luthar, S.S. (2002). Social-emotional factors affecting achievement outcomes among disadvantaged studets: Closing the achievement gap. Educational Psychologist, 37, 197-214.
  • Bower, G. H. (1981). Mood and memory. American Psychologist, 36, 129–148.
  • Boyatzis, R., & Sala, F. (2004). The Emotional Competency Inventory (ECI). In G. Geher (Ed.), Measuring emotional intelligence: Common ground and controversy (pp. 143–178). Hauppauge, NY: Nova Science.
  • Brackett, M. A., & Mayer, J. D. (2003). Convergent, discriminant, and incremental validity of competing measures of emotional intelligenc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9, 1147–1158.
  • Brackett, M. A., Bertoli, M., Elbertson, N., Bausseron, E., Castillo, R., and Salovey, P. (2013). Reconceptualizing the cognition-emotion link. In M. D. Robinson, E. R. Watkins, E. Harmon-Jones (Eds.), Handbook of Cognition and Emotion (pp. 365-379). New York, NY: Guilford.
  • Brackett, M. A., Palomera, R., Mojsa-kaja, J., Reyes, M. R., & Salovey, P. (2010). Emotion-regulation ability,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mong British secondary-school teachers. Psychology in the Schools, 47, 406–417.
  • Brackett, M. A., Reyes, M. R., Rivers, S. E., Elbertson, N. A., & Salovey, P. (2011). Emotional climate, teacher affiliation, and student conduct. Journal of Classroom Interaction, 46, 27–36.
  • Brackett, M. A., Rivers, S. E., Shiffman, S., Lerner, N., & Salovey, P. (2006). Relating emotional abilities to social functioning: A comparison of self-report and performance measures of emotional intellig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1, 780–795.
  • Brackett, M.A., Rivers, S.E., & Salovey, P. (2011). Emotional Intelligence, Implications for Personal, Social, Academic, and Workplace Success.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5, 88-103.
  • Catalino, R.F., Berglund, L., Ryan, J.A.M., Lonczek, H.S., & Hawkins, J.D. (2004). Positive youth development in the United States: Research findings on evaluations of positive youth development programs. The Annals of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591, 98-124. Doi: 10.1177/0002716203260102.
  • Cherniss, C. (2010). Emotional intelligence: Toward clarification of a concept.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3*, 110–126.
  • Day, A. L., & Carroll, S. A. (2008). Faking emotional intelligence (EI): Comparing response distortion on ability and trait-based EI measure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9, 761–784.
  • Day, A. L., & Carroll, S. A.(2004). Using an ability-based measure of emotional intelligence to predict individual performance, group performance, and group citizenship behavior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6, 1443–1458.
  • Durlak, J. A., Weissberg, R. P., Dymnicki, A. B., Tayloer, R. D., & Schellinger, K. B. (2011), The impact of enhancing students’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A meta-analysis of school-based universal interventions. Child Development, 82, 405–432.
  • Elbertson, N. A., Brackett, M. A., & Weissberg, R. P. (2010). School-based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SEL) programming: Current perspectives. In A. Hargreaves, M. Fullan, D. Hopkins, & A. Lieberman (Eds.), The second international handbook of educational change (pp. 1017–1032). New York, NY: Springer.
  • Elias, M. J., Zins, J. E., Weissberg, R. P., Frey, K. S., Greenberg, M. T., Haynes, N. M., Shriver, T. P. (1997). Promoting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Guidelines for educators.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 Feldman Barrett, L., Gross, J., Christensen, T. C., & Benvenuto, M. (2001). Knowing what you’re feeling and knowing what to do about it: Mapping the relation between emotion differentiation and emotion regulation. Cognition and Emotion, 15, 713–724.
  • Feyerherm, A. E., & Rice, C. I. (2002).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m performance: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International Journal of Organizational Analysis, 10, 343–362.
  • Gardner, H. (199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10th Anniversary Edition). New York, NY: Basic. (Original work published 1983)
  •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NY: Bantam.
  • Greenberg, M. T., Weissberg, R. P., O’Brien, M. U., Zins, J. E., Fredericks, L., Resnik, H., & Elias, M. J. (2003). Enhancing school-based prevention and youth development through coordinated social, emotional, and academic learning. American Psychologist, 58, 466–474. Doi: 10.1037/0003-066X.58.6-7.466
  • Gross, J.J. (1998). The emerging field of emotion regulation: An integrative review.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2, 271-299.
  • Hargreaves, A. (2001). The emotional geographies of teachers’ relations with colleagues.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5, 503–527.
  • Isen, A. M., Shalker, T. E., Clark, M., & Karp, L. (1978). Affect, accessibility of material in memory, and behavior: A cognitive loop?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6, 1–12.
  • Leban, W., & Zulauf, C. (2004). Linking emotional intelligence abilities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tyles. Leadership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25, 554–564.
  • Locke, E.A. (2005). Why emotional intelligence is an invalid concep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6, 425-431.
  • Lopes, P. N., & Salovey, P. (2004). Toward a broader education: Social, emotional, and practical skills. In J. E. Zins, R. P. Weissberg, M. C. Wang, & H. J. Walberg (Eds.), Building academic success on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What does the research say? (pp. 76–93). New York, NY: Teachers College Press.
  • Lopes, P. N., Grewal, D., Kadis, J., Gall, M., & Salovey, P. (2006). Evidence that emotional intelligence is related to job performance and affect and attitudes at work. Psicothema, 18(Suppl.), 132–138.
  • Lyons, W. (1999). The philosophy of emotion and cognition. In T. Dalgleish & M. J. Power (Eds.), Handbook of cognition and emotion (pp. 21–44). Chichester, UK: Wiley.
  • Mayer, J. D., & Salovey, P. (1997).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P. Salovey & D. J. Sluyter (Ed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al implications (pp. 3–34). New York, NY: Basic.
  • Mayer, J. D., Caruso, D. R., & Salovey, P. (1999). Emotional intelligence meets traditional standards for an intelligence. Intelligence, 27, 267–298.
  • Mayer, J. D., Salovey, P., & Caruso, D. R. (2008). Emotional intelligence: New ability or eclectic traits? American Psychologist, 63, 503–517.
  • Mayer, J. D., Salovey, P., & Caruso, D. R. (2002). The Mayer-Salovey-Caruso Emotional Intelligence Test (MSCEIT), Version 2.0. Toronto, Canada: Multi Health Systems.
  • Mayer, J. D., Salovey, P., Caruso, D. R., & Sitarenios, G. (2003). Measuring emotional intelligence with the MSCEIT V2.0. Emotion, 3, 97–105.
  • Mestre, J. M., Guil, R., Lopes, P. N., Salovey, P., & Gil-Olarte, P. (2006).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and academic adaptation to school. Psicothema, 18(Suppl.), 112–117.
  • Mueller, J. S., & Curhan, J. R. (2006).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unterpart mood induction in a negoti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onflict Management, 17, 110–128.
  • O’Boyle, E. H., Humphrey, R. H., Pollack, J. M., Hawver, T. H., & Story, P. A. (2010).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performance: A meta-analysi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32, 788–818.
  • Paulhus, D. L., Lysy, D. C., & Yik, M. S. M. (1998). Self-report measures of intelligence: Are they useful as proxy IQ tests? Journal of Personality, 66, 525–554.
  • Petrides, K. V., & Furnham, A. (2003). Trait emotional intelligence: Behavioural validation in two studies of emotion recognition and reactivity to mood induction.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17, 39-57.
  • Reyes, M. R., Brackett, M. A., Rivers, S. E., White, M., & Salovey, P. (2012). Classroom emotional climate, student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4, 700–712.
  • Rivers, S. E., Brackett, M. A., Salovey, P., & Mayer, J. D. (2007). Measuring emotional intelligence as a set of mental abilities. In G. Matthews, M. Zeidner, & R. D. Roberts (Eds.), The sci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pp. 230–257).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 Rivers, S.E., Brackett, M.A., Reyes, M.R., Elbertson, N.A., & Salovey, P. (2013). Improving the social and emotional climate of classroms: A cluster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esting The RULER Approach. Prevention Science, 14, 77-87.
  • Salovey, P., &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 185–211.
  • Sternberg, R. J. (1985). The triarchic mind: A new theory of human intelligence. New York, NY: Penguin.
  • Sutton, R. E., & Wheatly, K. F. (2003). Teachers’ emotions and teach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5, 327–358.
  • Travers, C. J. (2001). Stress in teaching: Past, present, and future. In J. Dunham (Ed.), Stress in the workplace: Past, present, and future (pp. 130–163). Philadelphia, PA: Whurr.
  • Young, P. T. (1943). Emotion in man and in animal: Its nature and relation to attitude and motive. New York, NY: Wiley.

Authors

  • Marc Brackett
    Marc Brackett, Ph.D., is Director of the Yale Center for Emotional Intelligence, a Senior Research Scientist in Psychology and Faculty Fellow in the Edward Zigler Center in Child Development and Social Policy. He has authored 100 scholarly publications and co-developed the RULER approach to fostering emotional intelligence skills. His research focuses on (1) the role of emotions in learning, decision making, relationship quality, and mental health, (2) the measur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3) emotional intelligence training.
  • Sarah Delaney
    Sarah Delaney is a Research Assistant at the Yale Center for Emotional Intelligence at Yale University. Her research interests include bullying prevention among adolescents, emotional skills and their impact on classroom climate, and the efficacy of emotional intelligence training. She also assists with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High School RULER—an evidence-based approach to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 Peter Salovey
    Peter Salovey is the 23rd president of Yale University, and the Chris Argyris Professor of Psychology. Salovey has authored or edited over a dozen books and published hundreds of journal articles and essays, focused primarily on human emotion and health behavior. With John D. Mayer, he developed a broad framework called “Emotional Intelligence,” the theory that just as people have a wide range of intellectual abilities, they also have a wide range of measurable emotional skills that profoundly affect their thinking and action.

Creative Commons License

Creative CommonsAttributionNon-CommericalShare-AlikeEmotional Intelligence by Marc Brackett, Sarah Delaney, and Peter Salovey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4.0 International License. Permissions beyond the scope of this license may be available in our Licensing Agreement.

How to cite this Noba module using APA Style

Brackett, M., Delaney, S., & Salovey, P. (2023). Emotional intelligence. In R. Biswas-Diener & E. Diener (Eds), Noba textbook series: Psychology. Champaign, IL: DEF publishers. Retrieved from http://noba.to/xzvpfun7

This article was updated on 7월 3, 2023

심리학을 공부하기 위해 noba project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도전을 시작했습니다. 번역에 DeepL과 GPT-4를 적극적으로 활용했습니다.

You should also read:

지능(Intelligence)

지능 By Robert Biswas-Diener Portland State University 지능은 심리학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오랫동안 연구된 주제 중 하나입니다. 이 개념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의 개발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