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이론(Theory of Mind)

마음이론

By

Brown University

인간의 가장 놀라운 능력 중 하나는 정신 상태를 인지하고 이해하는 능력입니다. 흔히 '마음의 이론'이라고 불리는 이 능력은 인간의 사회생활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일련의 심리적 과정으로 구성됩니다. 이러한 역할 중 일부를 살펴보고, 이 능력이 부족할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살펴보고, 마음을 이해하는 능력을 구성하는 여러 과정을 살펴봅니다.

학습 목표

  • Explain what theory of mind is.
  • Enumerate the many domains of social life in which theory of mind is critical.
  • Describe some characteristics of how autistic individuals differ in their processing of others’ minds.
  • Describe and explain some of the many concepts and processes that comprise the human understanding of minds.
  • Have a basic understanding of how ordinary people explain unintentional and intentional behavior.
  • 마음 이론이 무엇인지 설명하십시오.
    마음 이론이 중요한 사회 생활의 여러 영역을 열거하십시오.
    자폐증 환자들이 다른 사람의 마음을 처리하는 방식이 어떻게 다른지 몇 가지 특징을 설명하세요.
    인간의 마음 이해를 구성하는 많은 개념과 과정 중 몇 가지를 설명하고 설명합니다.
    보통 사람들이 의도하지 않은 행동과 의도적인 행동을 어떻게 설명하는지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갖습니다.

소개

인간의 가장 흥미로운 능력 중 하나는 다른 사람의 행동을 정신 상태 측면에서 인지하고 해석하는 능력입니다. 다른 사람의 정신 작용에 대한 이해는 자연스러운 언어 습득(Baldwin & Tomasello, 1998), 전략적 사회적 상호 작용(Zhang, Hedden, & Chia, 2012), 반사적 사고(Bogdan, 2000), 도덕적 판단(Guglielmo, Monroe, & Malle, 2009)의 전제 조건으로 간주됩니다. 이 능력은 생후 첫해부터 발달하여 성인이 되면 다른 사람의 생각, 감정, 의도를 빠르고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이 능력의 진화적 기원에 대해서는 추측해야 하지만, 지난 수백만 년 동안 이 능력이 진화했다는 증거가 있습니다.

이 모듈에서는 두 가지 질문에 초점을 맞출 것입니다: 인간의 사회생활에서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는 것은 어떤 역할을 할까요? 그리고 그러한 이해의 바탕이 되는 정신적 과정에 대해 알려진 것은 무엇인가요? 이 이해는 말 그대로 사람들이 마음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이론"이 아니라 일부 학자들이 "정신화" 또는 "마인드 리딩"이라고 부르는 능력이지만, 간단히 설명하기 위해 "마음 이론"이라고 부를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모든 명칭의 이면에는 인간의 마음 이해의 근간이 되는 특정 개념과 정신적 과정이라는 뚜렷한 구성 요소로 역량을 세분화하여 살펴볼 것입니다.

먼저, 이러한 이해가 사회생활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명확히 알아봅시다.

사회 생활에서 마음 이론의 역할

A team of people on an obstacle course work together to boost one member of the group over a high wall.
We rely on the theory of mind in social situations to infer what others are thinking and feeling. Among other things, this capability helps us work successfully in teams. [Image: Office of Public Affairs, https://goo.gl/O8zvFj, CC BY-SA 2.0, https://goo.gl/rxiUsF]

이 장면에 자신을 대입해 보세요: 한 사람은 커다란 나무 물체 뒤에 서 있고, 다른 한 사람은 그 뒤로 손을 뻗어 다른 사람 앞에 얇은 물체를 들고 있는 두 사람의 움직임을 관찰합니다. 마음 이론이 없다면 이 움직임의 흐름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할 수도 없고 두 사람의 반응을 예측할 수도 없을 것입니다. 특정 신체 움직임을 정신 상태의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지각자는 이 복잡한 장면을 의도적으로 손을 뻗어 물건을 건네는 행동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Baird & Baldwin, 2001), 적절한 문화적 각본을 통해 고객이 계산대 뒤에서 계산원에게 지불하려는 의도로 신용 카드를 꺼낸 것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간의 마음 이론은 의도적으로 행동할 수 있고 행동을 유도하는 욕망, 신념 및 기타 정신 상태를 가진 행위자에 대한 인식이라는 특정한 방식으로 인간 행동에 대한 인식을 구성하고 해석합니다(Perner, 1991; Wellman, 1990).

마음 이론이 없는 사회적 지각자는 간편 결제 상호작용에서 완전히 길을 잃을 뿐만 아니라, 마음 이론이 없다면 계산원, 신용카드, 결제와 같은 것들도 존재하지 않을 것입니다(Tomasello, 2003). 간단명료하게 말하자면, 인간은 크고 작은 사회 공동체가 필요로 하는 복잡한 상호작용에 참여하기 위해 마음을 이해해야 합니다. 그리고 인류의 문화 진화 과정에서 집, 도시, 국가, 책, 돈, 컴퓨터, 교육, 법률, 과학이 생겨난 것도 바로 이러한 복잡한 사회적 상호작용 덕분입니다.

마음 이론에 깊이 의존하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목록은 매우 길지만, 여기서는 몇 가지 주요 사례만 소개합니다.

  • 학습자가 알고 있는 것과 모르는 것, 그리고 학습자가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하여 다른 사람에게 새로운 행동이나 규칙을 가르칩니다.
  • 다른 사람들이 특정 단어를 사용할 때 주의하고 무엇을 하려고 하는지 모니터링하여 해당 언어의 단어를 학습합니다.
  • 다른 사람들이 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느끼는지 추측하여 사회적 지위를 파악합니다.
  • 친구에게 영화가 얼마나 좋았는지 이야기하거나 아름다운 것을 보여줌으로써 경험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 공동의 목표를 공유하고 이 공동 목표를 추구하려는 상대방의 의도를 이해하고 신뢰한다는 신호를 서로에게 보냄으로써 작업을 공동으로 수행합니다.

자폐증과 마음의 이론

A woman with an expression of disgust or disapproval.
Individuals with autism can have a harder time using the theory of mind because it involves processing facial expressions and inferring people’s intentions. A look that might convey a lot of meaning to most people conveys little or nothing to someone with autism. [Image: WarzauWynn, https://goo.gl/gUO8HE, CC BY-NC 2.0, https://goo.gl/tgFydH]

마음 이론이 사회적 상호 작용에 미치는 막대한 영향을 이해하는 또 다른 방법은 자폐증의 경우처럼 능력이 심각하게 제한될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연구하는 것입니다(Tager-Flusberg, 2007). (고기능) 자폐증 환자가 다른 사람의 마음에 대한 자신의 어려움에 대해 이야기하는 흥미로운 토론에서 한 사람은 이렇게 말합니다(Blackburn, Gottschewski, George, & L-, 2000): "나는 사람들의 얼굴을 턱의 왼쪽 모서리에 있는 여드름 흉터와 눈썹의 머리카락이 어떻게 말리는지까지 알고 있습니다. . . 제가 할 수 있는 최선은 그들과 마주치는 동안 데이터를 조금씩 수집하는 것뿐입니다. . . . 어떤 종류의 정보를 처리하려고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또 다른 자폐성 장애인의 말처럼, "사람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기능"이 빠져 있는 것 같습니다. 일부 자폐증 환자는 다른 사람을 "보다 분석적인 방식으로 인식"한다고 보고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적 처리 방식은 매우 지루하고 느립니다. "주어진 시간이 주어지면 다양한 방식으로 누군가를 분석할 수 있고 좋은 결과를 얻는 것처럼 보이지만 몇 시간 또는 며칠 후에 집착할 때까지 상호 작용의 특정 측면을 포착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Blackburn 외., 2000).

그렇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다른 사람의 마음에 빠르고 자동으로 접근하고 인간 행동의 기저에 있는 의미를 인식할 수 있게 해주는 이 마법의 묘약은 무엇일까요? 지난 수십 년 동안 과학적 연구를 통해 많은 지식이 축적되어 왔으며, 여기에 우리가 알고 있는 내용을 요약해 보았습니다.

마음 이론의 근간이 되는 정신적 과정

가장 먼저 주목해야 할 것은 "마음 이론"이 하나의 것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사람들이 정신 상태를 인식하고 이해하는 능력의 근간을 이루는 것은 다양한 구성 요소, 즉 사회 세계에서 서로 다르지만 관련된 여러 가지 작업을 위한 도구 상자입니다(Malle, 2008). 그림 1은 가장 중요한 몇 가지 도구를 보여주는데, 아래쪽의 단순하고 자동적인 것부터 위쪽의 복잡하고 신중한 것까지 관련 프로세스의 복잡성을 반영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조직은 또한 유아가 처음 6~12개월 이내에 습득하는 도구부터 향후 3~5년 동안 습득해야 하는 도구까지 발달 과정을 반영합니다. 놀랍게도 이 조직은 진화를 반영하기도 하는데, 원숭이는 맨 아래 단계의 도구를, 침팬지는 두 번째 단계의 도구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인간만이 그 위에 있는 나머지 도구를 마스터합니다. 몇 가지 도구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Tools of Theory of Mind displayed as a pyramid with evolutionarily old process lower in the pyramid and evolutionarily recent processes higher in the pyramid. On the bottom level - "Identifying Agents", "Recognizing Goals", "Assessing Intentionality". Level 2 - "Imitation", "Mimicry", "Automatic Empathy". Level 3 - "Joint Attention", "Visual Perspective Taking". Level 4 - "Projection", "Simulation". Top level - "Mental State Inference".
Figure 1. Some of the major tools of theory of mind, with the bottom showing simple, automatic, early developing, and evolutionarily old processes, and the top showing complex, more deliberate, late developing, and evolutionarily recent processes.

에이전트, 목표 및 의도성

에이전트 카테고리를 통해 인간은 세상에서 스스로 행동할 수 있는 움직이는 물체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아주 어린 아이들도 스스로 움직이고, 눈을 가지고 있으며, 시선을 따라가거나 모방하는 등 상호작용 상대방의 행동에 체계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에이전트의 지표로 삼는 특징이 있습니다(Johnson, 2000; Premack, 1990).

목표 인식 과정은 이 에이전트 범주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며, 에이전트는 특징적으로 목표 대상을 향하기 때문에 목표 대상을 찾고, 추적하고, 종종 물리적으로 접촉합니다. 첫 해가 끝나기 전에도 유아는 목표 대상의 위치가 바뀌거나 목표 대상에 이르는 길에 장애물이 있더라도 인간이 목표 대상을 향해 도달한다는 것을 인식합니다(Gergely, Nádasdy, Csibra, & Bíró, 1995; Woodward, 1998). 따라서 목표를 인식한다는 것은 다양한 상황에서 특정 대상을 추구하는 특정 에이전트 간의 체계적이고 예측 가능한 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에이전트가 목표를 추구하는 다양한 방법을 인식하는 학습을 통해 인간은 의도적인 행동을 골라내는 법을 배웁니다. 의도성의 개념은 목표 개념보다 더 정교합니다. 우선, 인간은 데이트 상대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고 싶다는 진지한 목표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의도치 않게 자신을 바보로 만드는 경우와 같이 일부 행동은 목표 지향적일지라도 의도적이지 않을 수 있음을 인식합니다. 의도적으로 행동하려면 목표 외에도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에 대한 올바른 신념이 필요합니다. 또한, 성인용 의도성 개념에서는 해당 의도적 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이 있어야 합니다: 내가 동전을 던져 앞면이 나오게 하려고 하는데 첫 번째 시도에서 앞면이 나오면 앞면이 나오게 하는 행동을 의도적이라고 판단하지 않고 운이 좋았다고 말할 것입니다(Malle & Knobe, 1997).

모방, 동기화 및 공감

Two men stand talking in the street, each making nearly identical hand gestures.
It's natural when having a conversation to unconsciously synchronize with our partners. [Image: Jacopo Aneghini Photos , https://goo.gl/QDpPln, CC BY-NC 2.0, https://goo.gl/VnKlK8]

모방과 공감은 어린 시절부터 마음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또 다른 두 가지 기본 능력입니다(Meltzoff & Decety, 2003). 모방은 다른 사람의 행동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그 행동을 처음 본 경우에도 똑같이 행동하려는 인간의 경향을 말합니다. 미묘하고 자동적인 형태의 모방을 모방이라고 하며, 사람들이 서로를 모방하면 동기화 상태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대화하는 두 사람이 비슷한 제스처, 몸의 위치, 심지어 목소리 톤까지 비슷해지는 것을 본 적이 있나요? 두 사람은 (대부분) 무의식적인 모방을 통해 행동을 '동기화'합니다. 이러한 동기화는 부정적인 생리적 각성과 같은 매우 낮은 수준에서도 발생할 수 있지만(Levenson & Ruef, 1992), 여성의 생리 주기에 대한 유명한 동기화 주장은 신화입니다(Yang & Schank, 2006). 흥미롭게도 상호작용을 즐기는 사람들은 행동을 더 동기화하며, 동기화를 증가시키면(심지어 실험에서 조작할 수도 있음) 사람들이 상호작용을 더 즐기게 됩니다(Chartrand & Bargh, 1999). 일부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동기화는 지각 정보와 운동 정보를 긴밀하게 연결하는 뇌 메커니즘에 의해 가능하다고 합니다(당신이 팔을 움직이는 것을 보면 내 팔을 움직이는 프로그램이 활성화됨). 원숭이의 경우, 고도로 전문화된 소위 거울 뉴런은 원숭이가 특정 행동을 볼 때와 동일한 행동을 수행할 때 모두 발화합니다(Rizzolatti, Fogassi, & Gallese, 2001). 그러나 인간의 경우 상황은 좀 더 복잡합니다. 많은 일상 환경에서 사람들은 셀 수 없이 많은 행동을 인지하지만 다행히도 모든 행동을 모방하지는 않습니다(군중 속에서 걷는다고 생각해보십시오. 수백 개의 거울 뉴런이 혼란스럽게 발동할 것입니다). 인간의 모방과 미러링은 선택적이기 때문에 주로 인식자의 현재 상태나 목표와 관련된 행동을 유발합니다.

자동 감정이입은 모방과 동기화를 영리한 방식으로 구축합니다. 빌이 슬퍼서 얼굴과 몸으로 이 감정을 표현하고 엘레나가 빌을 보거나 상호작용을 하면, 엘레나는 그의 우울한 행동을 미묘하게 모방하고 특정 행동과 감정에 대한 잘 연습된 연상을 통해 자신도 약간 슬프게 느낄 것입니다(Sonnby-Borgström, Jönsson, & Svensson, 2003). 따라서 그녀는 원하든 원하지 않든 그에게 공감합니다. 직접 해보세요. 인터넷 검색 엔진에 "슬픈 사람의 얼굴"을 입력하고 결과에서 이미지를 선택하세요. 20장의 사진을 보고 자신의 얼굴과 기분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주의 깊게 살펴보세요. 얼굴 근육이 거의 '당기는' 느낌이 드나요? 약간의 우울함이 느껴지나요?

공동 주의, 시각적 관점 취하기

인간은 자동적인 것을 넘어, 마리사와 노아가 각각 물체를 보고 있으면서 서로가 그 물체를 보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처럼 공동 주의 상황에 처할 때처럼 다른 사람의 정신 상태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실제보다 더 복잡하게 들립니다. 3세 아이가 주변에 있을 때 사물을 가리키고 아이와 부모가 서로를 확인하면서 실제로 사물에 공동으로 참여하고 있는지 확인하면 됩니다. 이러한 공동 참여는 아이들이 사물의 가치(접근해도 안전하고 보람이 있는가?)와 사물을 지칭하는 단어(이것을 뭐라고 부를까?) 등 사물의 의미를 배우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제가 키보드를 들고 보여줄 때 우리는 키보드를 함께 사용하고 있으며, 제가 독일어로 '타스타투르'라고 말하면 키보드를 가리키는 것이지 키보드를 올려놓은 테이블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참여의 또 다른 중요한 능력은 시각적 관점을 취하는 것입니다: 식탁에 앉아 다른 사람에게 소금이 어디에 있는지 알려줄 때, 소금이 오른쪽에 있는데도 불구하고 왼쪽에 있다고 생각하나요? 이런 식으로 자기 중심적 관점을 극복할 때, 우리는 상대방의 공간적 관점을 상상적으로 받아들이고 상대방의 관점에서 세상이 어떻게 보이는지 판단합니다. 실제로 상대방이 멀리 떨어져 있을수록(예: 60도, 90도, 120도) 상대방의 관점을 받아들이는 데 시간이 더 오래 걸리기 때문에 상대방의 공간적 위치를 향해 정신적으로 "회전"한다는 증거가 있습니다(Michelon & Zacks, 2006).

투영, 시뮬레이션(그리고 자기중심주의의 망령)

다른 사람의 심리적 입장이 된다면 어떨지 상상할 때, 인간은 머릿속을 회전하는 것 이상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상대방의 생각이나 감정을 이해하기 위한 한 가지 도구는 자신의 정신 상태를 다른 사람의 정신 상태의 모델로 사용하는 시뮬레이션입니다: "엄한 심문관 맞은편에 앉아 있으면 어떤 기분이 들까요? 무서운 기분이 들겠지..." 이러한 모델링의 더 간단한 형태는 상대방이 내가 하는 일을 생각하고, 느끼고, 원한다고 가정하는 것인데, 이를 '나와 같은' 가정(Meltzoff, 2007) 또는 사회적 투사 성향(Krueger, 2007)이라고 부릅니다. 어떤 의미에서 이것은 상대방의 관점이 나와 같다고 가정하기 때문에 관점 수용의 부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상대방과 동일한 환경, 배경, 지식, 목표를 공유하는 경우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지만, 이러한 추정된 공통점이 실제로는 부족할 때 문제가 발생합니다. 브리아나가 프레드의 새 커튼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브리아나가 프레드에게 "정말 예쁘다!"라고 외치는 것을 들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제 프레드가 브리아나가 비꼬는 말이라는 것을 알아챌 수 있는지 예측해야 합니다. 이 경우 자신의 지식을 억제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것이며, 프레드가 빈정거림을 알아차리는 것이 얼마나 쉬운지 과대평가할 수 있습니다(Keysar, 1994). 마찬가지로, 턱에 난 여드름이 크고 보기 흉하게 느껴지더라도 실제로는 거의 알아차리지 못할 것이라고 과대평가할 수 있습니다(Gilovich & Savitsky, 1999). 따라서 다음에 나무 높은 곳에서 멋진 새를 발견했을 때 명백히 보이는 것을 보지 못하는 친구에게 조바심을 낼 때, 그 새는 당신에게는 명백하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이 모든 예가 보여주는 것은 사람들이 자신의 현재 지식, 관심사 또는 지각 상태를 이용해 다른 사람의 심리 상태를 파악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종종 올바르게 이해하기도 하지만 때때로 잘못 이해하기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부부 상담사, 정치 고문, 불교도들은 적어도 한 가지에 동의합니다. 우리 모두는 자기중심주의를 인식하고 다른 사람의 관점을 적극적으로 취하기 위해 더 열심히 노력해야 한다는 것, 즉 다른 사람의 실제 정신 상태가 나와 다를지라도(특히 그럴 때) 그들의 실제 정신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더 노력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명시적 정신 상태 추론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진정으로 생각하려면 우리가 원하고, 느끼고, 알고 있는 것과 상대방이 원하고, 느끼고, 알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을 구분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인간은 다양한 정보를 활용합니다. 우선, 일반 지식("총을 든 남자가 위협하면 누구나 긴장할 것이다")과 에이전트별 지식("조는 무술 훈련을 받았기 때문에 두려움이 없었다")과 같이 저장된 지식에 의존합니다. 다른 하나는 상담원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상담원의 표정과 행동, 상담원이 보거나 보지 못한 것 등 구체적인 상황에 대한 인지된 사실에 비판적으로 의존하는 것입니다.

여러 줄의 정보를 정신 상태 추론에 통합하는 이러한 능력은 생후 첫 몇 년 동안 꾸준히 발달하며, 이 과정을 통해 상당한 연구가 진행되었습니다(Wellman, Cross, & Watson, 2001). 이 연구는 아이들이 거짓 믿음 테스트를 통과할 수 있는지 여부를 테스트한 Wimmer와 Perner(1983)의 기발한 실험에서 시작되었습니다(그림 2 참조). 어린이에게 공을 바구니에 넣고 방을 나서는 샐리의 그림 이야기를 보여주었습니다. 샐리가 방에서 나간 사이 앤이 와서 바구니에서 공을 꺼내 상자 안에 넣습니다. 그런 다음 샐리가 방으로 돌아왔을 때 공이 어디에 있을 것 같은지 아이에게 물어봅니다. 샐리는 상자에서 먼저 볼까요, 아니면 바구니에서 볼까요?

정답은 샐리가 공을 넣은 곳이 바구니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바구니를 찾을 것이라는 대답이지만, 우리는 공이 상자 안에 있다는 자신의 더 나은 지식에 대해 이러한 잘못된 믿음을 추론해야 합니다. 이는 4세 이전의 어린이에게는 매우 어려운 일이며, 성인의 경우 일반적으로 인지적 노력이 필요합니다(Epley, Morewedge, & Keysar, 2004).

사람들은 자신의 마음을 다른 사람의 마음에 적합한 모델로 사용하여 자동으로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는 데 능숙합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자신의 관점에서 벗어나 다른 생각, 감정, 의도를 품고 있을 수 있는 상대방의 관점을 진정으로 대변해야 할 때를 인식할 필요가 있습니다.

The Sally-Anne task as described in the preceding paragraphs.
Figure 2. Sally–Anne task to test children’s ability to infer false beliefs.

도구 요약

우리는 인간이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는 데는 많은 도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았습니다. 사람들은 동작, 얼굴, 제스처와 같은 정보를 처리하고 이를 행위자, 의도적 행동, 공포와 같은 개념으로 분류합니다. 모방, 공동 주의, 투사 등 비교적 자동적인 심리적 과정에 의존합니다. 또한 시뮬레이션과 정신 상태 추론과 같은 보다 노력적인 프로세스에 의존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과정은 모두 인간이 관찰하는 행동을 인간이 추론하는 정신 상태와 연결합니다. 이 놀라운 능력을 '이론'이라고 부른다면, 그것은 마음과 행동에 대한 이론입니다.

행동에 대한 민속학적 설명

누군가가 특정 방식으로 행동하거나 느끼는 이유를 이해하려고 할 때 사람들의 행동에 대한 설명보다 더 명확한 마음과 행동의 연결 고리는 어디에도 없습니다. 이웃집 10대 딸이 한겨울에 짧은 치마를 입은 이유, 경찰관이 갑자기 친절해진 이유, 살인범이 세 사람을 죽인 이유 등 사람들은 사소한 것부터 중요한 것까지 '왜'라는 질문에 답하고자 하는 강한 욕구를 가지고 있습니다. 설명의 일반적인 이점이 없기 때문에이 마지막 행동을 설명해야 할 필요성은 당혹스러워 보입니다: 우리는 범죄자와 아무런 관련이 없기 때문에 범죄자의 행동을 예측하거나 통제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 사람의 행동, 그리고 일반적으로 사람들의 행동에서 의미를 찾고 이해하고자 하는 끝없는 욕구를 가지고 있습니다.

A surprised looking man holds up his hands in disbelief.
When people behave in ways that don't make sense to us we often feel compelled to come up with reasonable explanations. What are their motives? What circumstances would lead to this? How could this happen? [Image: lwpkommunikacio, https://goo.gl/5x1SAN, CC BY 2.0, https://goo.gl/axKpvj]

사람들이 행동을 설명하고 이해하는 방법에 대한 오래된 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은 단지 행동의 원인을 파악할 뿐이라고 합니다(예: 켈리, 1967). 이는 넘어지거나, 두통이 있거나, 누군가를 잘못된 이름으로 부르는 등 대부분의 의도하지 않은 행동에 해당됩니다. 그러나 의도적인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사람들은 의도성의 개념과 그들이 추론하는 관련 정신 상태에서 직접적으로 이어지는 보다 정교한 해석 틀을 사용합니다(Malle, 2004). 사람들의 의도성 개념의 복잡성에 대해서는 이미 언급했으며, 여기서는 그 내용을 자세히 설명합니다(Malle & Knobe, 1997): 에이전트가 의도적으로 행동을 수행하려면 결과(우리가 목표라고 부르는 것)에 대한 욕구, 특정 행동이 어떻게 결과를 가져오는지에 대한 믿음, 해당 행동을 수행하려는 의도가 있어야 하며, 에이전트가 실제로 인식과 기술을 가지고 행동을 수행하면 사람들은 이를 의도적인 행동으로 받아들입니다. 에이전트가 왜 그 행동을 했는지 설명하기 위해 인간은 에이전트가 어떤 욕망과 어떤 신념을 가지고 있었기에 그렇게 행동했는지 역추론을 시도하고, 이렇게 추론된 욕망과 신념이 에이전트가 행동한 이유입니다. 겨울에 짧은 치마를 입은 이유는 무엇이었나요? "어머니를 귀찮게 하고 싶었어요." 경찰관이 갑자기 친절해진 이유는 무엇이었나요? "그는 자신이 영향력 있는 정치인과 대화하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세 사람을 죽인 이유는 무엇이었을까요? 사실 이런 극단적인 행동에 대해 사람들은 종종 답을 찾지 못합니다. 답을 제시하더라도 범인 자신의 추론에서 벗어나 보다 일반적인 배경 사실(예: 그가 정신 질환을 앓고 있었다거나 극단주의 단체의 일원이라는 사실 등)을 언급하는 '인과적 역사 설명'(Malle, 1999)으로 후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사람들은 다른 사람의 행동을 설명할 때 그들의 신념과 욕구, 행동의 구체적인 이유를 언급하는 것을 분명히 선호합니다.

앞서 살펴본 두 사람이 서로에게 물건을 건네는 예에서처럼, 마음 이론에 기반한 행동 설명은 설명할 수 없는 행동을 의미 있게 만들어 줍니다. 우리는 고객이 결제를 원했기 때문에 신용카드를 계산원에게 건넸고, 계산원은 신용카드를 받았다는 사실을 알고 신용카드를 긁어주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이 너무나도 명확하고 사소해 보입니다. 하지만 이는 인간에게 마음 이론이 있고 이를 사용하여 관련 지식을 검색하고, 다른 사람의 관점을 시뮬레이션하고, 신념과 욕구를 추론하고, 주어진 행동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설명하기 때문입니다. 인간은 이러한 작업을 쉽고 정확하게 수행합니다. 게다가 몇 초 이내에 이러한 작업을 수행합니다. 무엇이 그렇게 특별한가요? 아이가 이 능력을 발달시키는 데는 수년이 걸리고, 우리 종은 이 능력을 진화시키는 데 수백만 년이 걸렸습니다. 정말 특별한 능력이죠.

Outside Resources

Blog: On the debate about menstrual synchrony
http://blogs.scientificamerican.com/context-and-variation/2011/11/16/menstrual-synchrony/
Blog: On the debates over mirror neurons
http://blogs.scientificamerican.com/guest-blog/2012/11/06/whats-so-special-about-mirror-neurons/
Book: First and last chapters of Zunshine, L. (2006). Why we read fiction: Theory of mind and the novel. Columbus, OH: Ohio State University Press.
https://ohiostatepress.org/Books/Book PDFs/Zunshine Why.pdf
Movie: A movie that portrays the social difficulties of a person with autism: Adam (Fox Searchlight Pictures, 2009)
http://www.imdb.com/title/tt1185836/?ref_=fn_tt_tt_1
ToM and Autism TEDx Talks
https://www.ted.com/playlists/153/the_autism_spectrum
Video: TED talk on autism
http://www.ted.com/talks/temple_grandin_the_world_needs_all_kinds_of_minds.html
Video: TED talk on empathy
http://blog.ted.com/2011/04/18/a-radical-experiment-in-empathy-sam-richards-at-ted-com/
Video: TED talk on theory of mind and moral judgment
http://www.ted.com/talks/rebecca_saxe_how_brains_make_moral_judgments.html
Video: Test used by Baron Cohen (prior to the core study) to investigate whether autistic children had a theory of mind by using a false belief task.
Video: Theory of mind development

Discussion Questions

  1. Recall a situation in which you tried to infer what a person was thinking or feeling but you just couldn’t figure it out, and recall another situation in which you tried the same but succeeded. Which tools were you able to use in the successful case that you didn’t or couldn’t use in the failed case?
  2. Mindfulness training improves keen awareness of one’s own mental states. Look up a few such training programs (easily found online) and develop a similar training program to improve awareness of other people’s minds.
  3. In the near future we will have robots that closely interact with people. Which theory of mind tools should a robot definitely have? Which ones are less important? Why?
  4. Humans assume that everybody has the capacity to make choices and perform intentional actions. But in a sense, a choice is just a series of brain states, caused by previous brain states and states of the world, all governed by the physical laws of the universe. Is the concept of choice an illusion?
  5. The capacity to understand others’ minds is intimately related to another unique human capacity: language. How might these two capacities have evolved? Together? One before the other? Which one?

Vocabulary

Automatic empathy
A social perceiver unwittingly taking on the internal state of another person, usually because of mimicking the person’s expressive behavior and thereby feeling the expressed emotion.
False-belief test
An experimental procedure that assesses whether a perceiver recognizes that another person has a false belief—a belief that contradicts reality.
Folk explanations of behavior
People’s natural explanations for why somebody did something, felt something, etc. (differing substantially for unintentional and intentional behaviors).
Intention
An agent’s mental state of committing to perform an action that the agent believes will bring about a desired outcome.
Intentionality
The quality of an agent’s performing a behavior intentionally—that is, with skill and awareness and executing an intention (which is in turn based on a desire and relevant beliefs).
Joint attention
Two people attending to the same object and being aware that they both are attending to it.
Mimicry
Copying others’ behavior, usually without awareness.
Mirror neurons
Neurons identified in monkey brains that fire both when the monkey performs a certain action and when it perceives another agent performing that action.
Projection
A social perceiver’s assumption that the other person wants, knows, or feels the same as the perceiver wants, know, or feels.
Simulation
The process of representing the other person’s mental state.
Synchrony
Two people displaying the same behaviors or having the same internal states (typically because of mutual mimicry).
Theory of mind
The human capacity to understand minds, a capacity that is made up of a collection of concepts (e.g., agent, intentionality) and processes (e.g., goal detection, imitation, empathy, perspective taking).
Visual perspective taking
Can refer to visual perspective taking (perceiving something from another person’s spatial vantage point) or more generally to effortful mental state inference (trying to infer the other person’s thoughts, desires, emotions).

References

  • Baird, J. A., & Baldwin, D. A. (2001). Making sense of human behavior: Action parsing and intentional inference. In B. F. Malle, L. J. Moses, & D. A. Baldwin (Eds.), Intentions and intentionality: Foundations of social cognition (pp. 193–206). Cambridge, MA:MIT Press.
  • Baldwin, D. A., & Tomasello, M. (1998). Word learning: A window on early pragmatic understanding. In E. V. Clark (Ed.), The proceedings of the twenty-ninth annual child language research forum (pp. 3–23). Chicago, IL: Center for the Study of Language and Information.
  • Blackburn, J., Gottschewski, K., George, E., & L—, N. (2000, May). A discussion about theory of mind: From an autistic perspective. Proceedings of Autism Europe’s 6th International Congress. Glasgow. Retrieved from http://archive.autistics.org/library/AE2000-ToM.html.
  • Bogdan, R. (2000). Minding minds: Evolving a reflexing mind by interpreting others. Cambridge, MA: MIT Press.
  • Chartrand, T. L., & Bargh, J. A. (1999). The chameleon effect: The perception–behavior link and social intera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6, 893–910.
  • Epley, N., Morewedge, C. K., & Keysar, B. (2004). Perspective taking in children and adults: Equivalent egocentrism but differential correction.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0, 760–768.
  • Gergely, G., Nádasdy, Z., Csibra, G., & Bíró, S. (1995). Taking the intentional stance at 12 months of age. Cognition, 56, 165–193.
  • Gilovich, T., & Savitsky, K. (1999). The spotlight effect and the illusion of transparency: Egocentric assessments of how we are seen by others.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8, 165–168.
  • Guglielmo, S., Monroe, A. E., & Malle, B. F. (2009). At the heart of morality lies folk psychology. Inquiry: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Philosophy, 52, 449–466.
  • Johnson, S. C. (2000). The recognition of mentalistic agents in infancy.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4, 22–28.
  • Kelley, H. H. (1967). Attribution theory in social psychology. In D. Levine (Ed.),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Vol. 15, pp. 192–240). Lincol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 Keysar, B. (1994). The illusory transparency of intention: Linguistic perspective taking in text. Cognitive Psychology, 26, 165–208.
  • Krueger, J. I. (2007). From social projection to social behaviour. European Review of Social Psychology, 18, 1–35.
  • Levenson, R. W., & Ruef, A. M. (1992). Empathy: A physiological substrat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3, 234–246.
  • Malle, B. F. (2008). The fundamental tools, and possibly universals, of social cognition. In R. M. Sorrentino & S. Yamaguchi (Eds.), Handbook of motivation and cognition across cultures (pp. 267–296). New York, NY: Elsevier/Academic Press.
  • Malle, B. F. (2004). How the mind explains behavior: Folk explanations, meaning, and social interaction. Cambridge, MA: MIT Press.
  • Malle, B. F. (1999). How people explain behavior: A new theoretical framework.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3, 23–48.
  • Malle, B. F., & Knobe, J. (1997). The folk concept of intentionality.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33, 101–121.
  • Meltzoff, A. N. (2007). “Like me”: A foundation for social cognition. Developmental Science, 10, 126–134.
  • Meltzoff, A. N., & Decety, J. (2003). What imitation tells us about social cognition: A rapprochement between developmental psychology and cognitive neuroscience.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B: Biological Sciences, 358, 491–500.
  • Michelon, P., & Zacks, J. M. (2006). Two kinds of visual perspective taking. Perception & Psychophysics, 68, 327–337.
  • Perner, J. (1991). Understanding the representational mind. Cambridge, MA: MIT Press.
  • Premack, D. (1990). The infant’s theory of self-propelled objects. Cognition, 36, 1–16.
  • Rizzolatti, G., Fogassi, L., & Gallese, V. (2001). Neurophysiological mechanisms underlying the understanding and imitation of action. Nature Reviews Neuroscience, 2, 661–670.
  • Sonnby-Borgström, M., Jönsson, P., & Svensson, O. (2003). Emotional empathy as related to mimicry reactions at different levels of information processing. Journal of Nonverbal Behavior, 27, 3–23.
  • Tager-Flusberg, H. (2007). Evaluating the theory-of-mind hypothesis of autism.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6, 311–315.
  • Tomasello, M. (2003). The key is social cognition. In D. Gentner & S. Goldin-Meadow (Eds.), Language in mind: Advances in the study of language and thought (pp. 47–57). Cambridge, MA: MIT Press.
  • Wellman, H. M. (1990). The child’s theory of mind. Cambridge, MA: MIT Press.
  • Wellman, H. M., Cross, D., & Watson, J. (2001). Meta-analysis of theory-of-mind development: The truth about false belief. Child Development, 72, 655–684.
  • Wimmer, H., & Perner, J. (1983). Beliefs about beliefs: Representation and constraining function of wrong beliefs in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deception. Cognition, 13, 103–128.
  • Woodward, A. L. (1998). Infants selectively encode the goal object of an actor’s reach. Cognition, 69, 1–34.
  • Yang, Z., & Schank, J. C. (2006). Women do not synchronize their menstrual cycles. Human Nature, 17, 433–447.
  • Zhang, J., Hedden, T., & Chia, A. (2012). Perspective-taking and depth of theory-of-mind reasoning in sequential-move games. Cognitive Science, 36, 560–573.

Authors

  • Bertram Malle
    Bertram Malle, Professor at Brown University, was trained in psychology, philosophy, and linguistics in Austria and at Stanford University. He received an SESP Dissertation award, an NSF CAREER award, and was president of the Society of Philosophy and Psychology. His research focuses on social cognition, moral judgment, and more recently human-robot interaction.

Creative Commons License

Creative CommonsAttributionNon-CommericalShare-AlikeTheory of Mind by Bertram Malle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4.0 International License. Permissions beyond the scope of this license may be available in our Licensing Agreement.

How to cite this Noba module using APA Style

Malle, B. (2023). Theory of mind. In R. Biswas-Diener & E. Diener (Eds), Noba textbook series: Psychology. Champaign, IL: DEF publishers. Retrieved from http://noba.to/a8wpytg3

This article was updated on 7월 3, 2023

심리학을 공부하기 위해 noba project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도전을 시작했습니다. 번역에 DeepL과 GPT-4를 적극적으로 활용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