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효능감(Self-Efficacy)

자기 효능감

By and

George Mason University

"자기 효능감"이란 가치 있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을 말합니다. 자기 효능감은 자신의 능력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신의 능력을 사용할 수 있다고 얼마나 강하게 믿는지를 의미합니다. 자기효능감은 단일한 구성 요소나 특성이 아니라 학업적 자기효능감, 문제 해결적 자기효능감, 자기 조절적 자기효능감 등 다양한 영역에 대한 자기효능감 신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기효능감이 강할수록 성적 향상, 운동 능력 향상, 행복한 연애 관계, 건강한 라이프스타일과 같은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납니다.

학습 목표

  • Define self-efficacy.
  • List the major factors that influence self-efficacy.
  • Explain how self-efficacy develops.
  • Understand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andwell-being as well as academic and vocational success.
  • Define collective efficacy and explain why it is important.

자기 효능감을 정의합니다.
자기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나열합니다.
자기 효능감이 어떻게 발달하는지 설명합니다.
자기 효능감이 학업 및 직업적 성공뿐만 아니라 심리적, 신체적 건강과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합니다.
집단 효능감을 정의하고 이것이 중요한 이유를 설명합니다.

소개: 자기 효능감이란 무엇인가요?

A student works on math homework with an open book, spiral notebook, and calculator.
It makes intuitive sense that if you believe you’re going to do well on a math test, you’ll do better than if you believe you won’t do well. But why should this be the case? [Image: Steve S., https://goo.gl/4JOZdG, CC BY 2.0, https://goo.gl/BRvSA7]

샐리와 루시라는 두 학생이 같은 수학 시험을 치른다고 가정해 봅시다. 샐리와 루시는 수학을 잘하는 능력, 지능 수준,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내고자 하는 동기 부여가 똑같습니다. 그들은 또한 함께 공부했습니다. 심지어 같은 브랜드의 신발을 신고 있기도 합니다. 둘의 유일한 차이점은 샐리는 수학 능력과 시험 응시 능력에 매우 자신감이 있는 반면 루시는 그렇지 않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누가 시험에서 더 잘할 가능성이 높을까요? 물론 샐리는 자신의 수학적 능력과 시험 응시 능력을 활용하여 어려운 수학 문제를 해결하고 자신에게 중요한 목표(이 경우에는 시험을 잘 보는 것)를 달성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있기 때문입니다. 샐리와 루시(각각 A를 받은 학생과 B를 받은 학생)의 이러한 차이는 바로 자기 효능감입니다. 나중에 읽게 되겠지만, 자기 효능감은 사람들이 도전을 더 잘 관리하고 가치 있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특정한 방식으로 행동과 정서에 영향을 미칩니다.

1977년 앨버트 반두라가 처음 소개한 개념인 자기 효능감은 가치 있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개인의 신념을 의미합니다(반두라, 1977). 그 이후로 자기효능감은 심리학에서 가장 철저하게 연구된 개념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인간 행동의 거의 모든 중요한 영역이 자기효능감 이론을 사용하여 조사되었습니다(Bandura, 1997; Maddux, 1995; Maddux & Gosselin, 2011, 2012). 자기효능감은 자신의 능력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능력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신념을 의미합니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특정 유형의 사람들이 높은 자기효능감을 가지고 있고 낮은 자기효능감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며, 자기효능감은 하나의 특성이 아닙니다(Stajkovic & Luthans, 1998). 오히려 사람들은 특정 목표와 삶의 영역에 대한 자기효능감 신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신이 학교 공부를 잘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여 뛰어난 성과를 거둘 수 있다고 믿는다면 학업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입니다.

자기효능감은 이미 익숙한 개념인 자존감과 비슷하게 들릴 수 있지만, 두 개념은 매우 다른 개념입니다. 자존감은 자신을 얼마나 좋아하거나 '존중'하는가, 즉 자신이 훌륭하고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믿는 정도를 말합니다. 반면 자기효능감은 학교, 직장, 인간관계 등 삶의 특정 영역에서 잘 수행하고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말합니다. 자기효능감이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자신에게 중요한 영역에서 잘 수행하고 가치 있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자신감에 의해 전반적으로 자신에 대해 느끼는 방식이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운동에서 좋은 성적을 내는 것이 자신에게 매우 중요하다면 운동에 대한 자기 효능감이 자존감에 큰 영향을 미치겠지만, 운동에서 좋은 성적을 내는 것이 자신에게 전혀 중요하지 않다면 운동에 대한 자기 효능감은 자존감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입니다.

자기 효능감은 어떻게 측정하나요?

심리학의 다른 많은 개념과 마찬가지로 자기효능감도 간단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많은 고민이 필요합니다. 자기효능감은 체중계를 사용하여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쉬운 체중이나 줄자를 사용하여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쉬운 키와는 다릅니다. 오히려 자기효능감은 만지거나 볼 수 없는 추상적인 개념입니다. 자기 효능감과 같은 추상적인 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우리는 자기 보고 측정이라는 것을 사용합니다. 자기보고 측정은 설문조사와 같은 설문지의 한 유형으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어떤 구성 요소의 전체 지수를 만들기 위해 합산할 수 있는 수치에 해당하는 답변으로 질문에 답합니다. 예를 들어, 잘 알려진 자가 보고 척도로는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erceived Stress Scale)가 있습니다(Cohen, Kamarck, & Mermelstein, 1983). 이 척도는 "지난 한 달 동안 예기치 않게 일어난 일 때문에 얼마나 자주 화가 났습니까?", "지난 한 달 동안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일 때문에 얼마나 자주 화를 냈습니까?" 등의 질문을 던집니다. 참가자는 1부터 5까지의 척도로 질문에 답하며, 1은 "자주 그렇지 않다"를, 5는 "매우 자주 그렇다"를 의미합니다. 그런 다음 모든 답변을 합산하여 총 "스트레스" 점수를 산출하고, 점수가 높을수록 스트레스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기효능감에 대한 사람들의 주관적인 믿음을 가장 객관적인 측정치로 전환하는 자기효능감 측정 도구를 개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즉, 한 사람이 자기효능감 측정에서 10점 만점에 6점을 받은 것은 다른 사람이 같은 측정에서 10점 만점에 6점을 받은 것과 비슷할 것입니다.

A woman jogs through a park with three young children in a stroller.
How confident would you be about doing daily exercise if you had small children to take care of? Task specific measures of self efficacy would take this sort of circumstance into account. [Image: Ed Yourdon, https://goo.gl/DH582s, CC BY-NC-SA 2.0, https://goo.gl/Toc0ZF]

여기서는 자기효능감에 대한 두 가지 유형의 자기보고 측정에 대해 설명합니다. 첫 번째 범주에는 일반적인 자기 효능감을 측정하는 척도가 포함됩니다(예: Schwarzer & Jerusalem, 1995; Sherer et al., 1982). 이 척도에서는 "나는 목표에 충실하고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쉽다", "나는 보통 어떤 일이 닥쳐도 잘 처리할 수 있다"와 같은 일반적인 항목에 대해 스스로를 평가하도록 요청합니다. 하지만 이 모듈의 앞부분에서 기억하시겠지만 자기효능감은 전 세계적인 특성이 아니므로 모든 유형의 자기효능감을 하나의 측정치로 묶는 데는 문제가 있습니다. 따라서 자기 효능감 측정의 두 번째 범주에는 과제별 자기 효능감 측정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측정은 일반적인 자기 효능감을 측정하기보다는 특정 과제에 대한 개인의 자기 효능감 신념에 대해 묻습니다. 이러한 유형의 측정은 무제한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과제별 자기 효능감 측정은 행동과 관련된 몇 가지 상황을 설명한 다음 참가자에게 해당 행동을 하는 것에 대해 얼마나 자신감을 느끼는지 적어보도록 요청합니다. 예를 들어, 다이어트 자기 효능감 측정에는 휴가 중, 지루할 때, 다이어트를 하지 않는 사람들과 외식을 할 때 등 다이어트를 지속하기 어려운 다양한 상황이 나열됩니다. 운동 자기 효능감 측정에는 우울할 때, 피곤할 때, 운동하고 싶지 않은 사람들과 함께 있을 때 등 운동하기 어려운 다양한 상황이 나열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어린이 또는 청소년의 자기조절 자기효능감 측정에는 성질 조절, 담배를 피우라는 또래의 압력 저항, 무방비 성관계 압력 거부 등 충동에 저항하기 어려운 다양한 상황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과제별 자기효능감 측정이 일반적인 자기효능감 측정보다 행동을 더 잘 예측한다는 데 동의합니다(Bandura, 2006).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주요 영향은 무엇인가요?

자기 효능감 신념은 다섯 가지 방식으로 영향을 받는데(Bandura, 1997), 표 1 에 요약되어 있습니다.


This table lists 5 influences of self-efficacy beliefs. These include: performance experiences, vicarious performance, verbal persuasion, imaginal performances, and affective states/Physical sensations.
Table 1: Major Influences on Self-efficacy

이러한 다섯 가지 유형의 자기 효능감은 거의 모든 사람이 경험한 다양한 실제적인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거둔 경험이 학업 자기 효능감에 영향을 미쳐 다음 시험에서도 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었을 수 있습니다. 가장 친한 친구가 처음으로 스케이트보드를 타는 것을 보고 자신도 스케이트보드를 잘 탈 수 있다고 생각했을 때 대리 수행이 운동 자기 효능감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습니다. 존경하는 선생님이 수능을 열심히 공부하면 원하는 대학에 갈 수 있다고 말했을 때 언어적 설득이 학업적 자기 효능감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습니다. 모든 사람이 언어적 설득을 통해 자기 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똑같이 높지는 않다는 것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뢰할 수 있거나 매력적으로 보이거나 전문가처럼 보이는 사람은 이러한 자질을 갖추지 않은 사람보다 자기 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Petty & Brinol, 2010). 그렇기 때문에 존경하는 선생님은 존경하지 않는 선생님보다 자기 효능감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상상은 자기 효능감을 높이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면접에서 잘하는 자신의 모습을 상상하면 실제로 더 효과적인 면접을 볼 수 있습니다(Knudstrup, Segrest, & Hurley, 2003). 수업 시간에 프레젠테이션을 했을 때를 생각해보면 감정 상태와 신체적 감각이 풍부해집니다. 예를 들어, 프레젠테이션을 하는 동안 심장이 뛰는 것을 느꼈을 수 있습니다. 방금 카페인을 많이 마셔서 심장이 두근거린다고 생각했다면 발표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발표를 제대로 하지 못해서 심장이 두근거린다고 생각했다면 프레젠테이션을 제대로 할 수 없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는 불안감을 실패와 연관 짓고 불안감을 느낄 때 실패할 것이라고 예상하기 때문입니다.

자기 효능감은 언제 어떻게 발달하나요?

A baseball coach gives encouragement to a little league pitcher as they stand together on the mound.
Our assessments of our own self-efficacy aren’t created in a vacuum. Those around us (e.g., our parents, our friends) greatly influence our perceptions of self-efficacy. [Image: CC0 Public Domain, https://goo.gl/m25gce]

자기효능감은 아주 어린 아이부터 발달하기 시작합니다. 자기효능감은 한 번 발달하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일생 동안 다양한 경험을 하면서 변화하고 성장할 수 있습니다. 자녀가 아주 어릴 때는 부모의 자기효능감이 중요합니다(Jones & Prinz, 2005). 부모의 자기효능감이 높은 부모의 자녀는 부모가 자신의 욕구에 더 잘 반응하는 것으로 인식합니다(Gondoli & Silverberg, 1997). 12세에서 16세 사이에는 청소년의 친구도 자기효능감 신념의 중요한 원천이 됩니다. 학업적 동기가 없는 또래 집단과 어울리는 청소년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Wentzel, Barry, & Caldwell, 2004). 그러나 또래 친구들의 성공을 지켜본 청소년은 학업적 자기 효능감이 상승하는 것을 경험합니다(Schunk & Miller, 2002). 이는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대리 수행을 통해 자기 효능감을 얻는 예입니다. 청소년기에 발달하는 자기 효능감의 효과는 오래 지속됩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14~18세 청소년의 사회적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5년 후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Vecchio, Gerbino, Pastorelli, Del Bove, & Caprara, 2007).

높은 자기 효능감의 이점은 무엇인가요?

학업 성취도

자신의 삶에서 학업적 자기 효능감을 고려하고 앞서 소개한 샐리와 루시의 예를 떠올려 보세요. 여러분은 학업 자기효능감이 높고 자신의 능력을 활용하여 학교 공부를 잘할 수 있다고 믿는 샐리와 비슷합니까, 아니면 자신의 학업 능력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학교 공부를 잘할 수 있다고 믿지 않는 루시와 비슷합니까? 자신의 자기 효능감이 학업 능력에 영향을 미친 적이 있다고 생각하나요? 자신의 능력을 믿었거나 믿지 않았기 때문에 공부를 더 열심히 하거나 덜 열심히 한 적이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많은 연구자들이 학업 환경에서 자기효능감이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해 연구해 왔는데, 결론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 성취의 모든 영역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입니다(Pajares, 1996).

학업적으로 잘할 수 있다고 믿는 학생은 학교에서 더 많은 동기를 부여받는 경향이 있습니다(Schunk, 1991).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은 목표를 달성하면 계속해서 더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합니다(Schunk, 1990). 이는 모두 더 높은 성적과 더 도전적인 수업 수강이라는 측면에서 학교에서의 더 나은 성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Multon, Brown, & Lent, 1991). 예를 들어, 학업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은 자신의 능력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에 더 열심히 공부할 수 있습니다. 열심히 공부했기 때문에 다음 시험에서 A를 받을 수 있습니다. 교사의 자기효능감은 학생의 학교 성적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교사는 학부모가 자녀의 학습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여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킵니다(Hoover-Dempsey, Bassler, & Brissie, 1987).

자기 효능감이 학령기 아동에게 얼마나 유익한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지만, 대학생도 자기 효능감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대학에서 잘할 수 있다는 자기효능감이 높은 신입생은 자기효능감이 낮은 신입생보다 대학 첫해에 더 잘 적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Chemers, Hu, & Garcia, 2001). 자기효능감의 이점은 학창 시절 이후에도 계속 이어집니다. 학교에서 잘할 수 있다는 강한 자기효능감을 가진 사람들은 더 넓은 범위의 직업 선택지를 인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Lent, Brown, & Larkin, 1986). 또한, 자신의 직업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강한 사람은 더 성공적인 커리어를 쌓는 경향이 있습니다(Stajkovic & Luthans, 1998).

A woman stands triumphant but slightly disheveled after solving a complicated math problem on the whiteboard.
Consider getting a math problem you automatically believe you can’t solve. Will you even attempt to answer it? Our perception of self-efficacy affects our motivation to engage with challenges in the first place. [Image: Andrea Allen, https://goo.gl/EdsSwo, CC BY 2.0, https://goo.gl/BRvSA7]

자기 효능감과 학업 성취도에 대한 한 가지 질문은 학생의 실제 학업 능력이 자기 효능감과 어떻게 상호 작용하여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입니다. 정답은 학생의 실제 능력이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자기 효능감의 영향도 받는다는 것입니다. 능력이 뛰어난 학생은 능력이 부족한 학생보다 더 나은 성과를 냅니다. 그러나 동일한 수준의 학업 능력을 가진 학생 그룹 중에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강한 학생은 자기효능감이 약한 학생보다 더 높은 성과를 보입니다. 한 연구(Collins, 1984)에서는 수학 능력 수준과 수학 자기 효능감이 서로 다른 학생 그룹 간의 어려운 수학 문제 수행 능력을 비교했습니다. 평균 수준의 수학 능력을 가진 학생 그룹 중 수학 자기 효능감이 약한 학생은 수학 문제의 약 25%를 정답으로 맞혔습니다. 평균 수준의 수학 능력과 강한 수학 자기효능감을 가진 학생들은 약 45%의 문제를 맞혔습니다. 즉, 수학 자기 효능감이 강하기만 해도 수학 능력이 평균인 학생은 수학 능력은 비슷하지만 수학 자기 효능감이 약한 학생보다 20% 더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기효능감이 평균 또는 평균 이하의 능력을 가진 사람들에게만 차이를 만드는지 궁금할 수도 있습니다. 자기효능감은 평균 이상의 학생에게도 중요합니다. 이 연구에서 수학 능력이 평균 이상이고 수학 자기효능감이 낮은 학생들은 문제의 약 65%만 정답을 맞혔고, 수학 능력이 평균 이상이고 수학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들은 문제의 약 75%만 정답을 맞혔습니다.

건강한 행동

식이요법, 운동, 수면 시간 늘리기 등 건강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했던 때를 생각해 보세요. 건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신의 기술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믿는다면 이러한 계획을 실행에 옮길 가능성이 더 높을까요? 많은 연구자들은 건강에 대한 자기 효능감(예: 운동 자기 효능감, 다이어트 자기 효능감)이 강한 사람들이 건강 문제를 예방하고 전반적인 건강을 개선하는 행동에 더 많이 참여한다는 데 동의합니다(Strecher, DeVellis, Becker, & Rosenstock, 1986). 금연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강한 사람은 금연에 더 쉽게 성공할 수 있습니다(DiClemente, Prochaska, & Gibertini, 1985). 음주량을 줄일 수 있다는 자기효능감이 강한 사람은 음주 문제로 치료를 받을 때 더 성공적입니다(Maisto, Connors, & Zywiak, 2000). 심장마비에서 회복할 수 있다는 자기 효능감이 강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더 빨리 회복합니다(Ewart, Taylor, Reese, & DeBusk, 1983).

한 연구 그룹(Roach Yadrick, Johnson, Boudreaux, Forsythe, & Billon, 2003)은 체중 감량을 시도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했습니다. 연구에 참여한 모든 사람은 미 공군을 위해 고안된 체중 감량 프로그램에 참여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이미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지만, 연구진은 사람들의 자기효능감을 높이면 프로그램이 더 효과적일 수 있는지 알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연구진은 참가자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은 다이어트 프로그램과 함께 체중 감량 자기 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고안된 중재를 받도록 하고, 다른 그룹은 다이어트 프로그램만 받도록 했습니다. 연구진은 참가자들에게 닥터 수스(1990)의 '오, 네가 갈 곳'을 읽게 하고 체중 감량에 성공한 사람과 이야기를 나누게 하는 등 자기 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했습니다. 다이어트 프로그램과 자기 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개입을 받은 참가자들은 연구 기간 12주 동안 평균 8.2파운드의 체중을 감량한 반면, 다이어트 프로그램만 받은 참가자들은 5.8파운드만 감량했습니다. 따라서 체중 감량에 대한 자기 효능감을 높이는 것만으로도 참가자들은 50% 이상 체중을 더 감량할 수 있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영양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높이면 과일과 채소를 더 많이 섭취할 수 있다고 합니다(Luszczynska, Tryburcy, & Schwarzer, 2006). 자기효능감은 성공적인 신체 운동에 큰 역할을 합니다(Maddux & Dawson, 2014). 운동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은 운동 프로그램 시작을 계획하고, 실제로 프로그램을 시작하고(DuCharme & Brawley, 1995), 지속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Marcus, Selby, Niaura, & Rossi, 1992). 자기 효능감은 안전한 성관계에 있어 특히 중요합니다. 콘돔 사용에 대한 자기 효능감이 높은 사람은 안전한 성관계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으며(Kaneko, 2007), HIV와 같은 성병을 피할 가능성이 높습니다(Forsyth & Carey, 1998).

운동 성능

A skateboarder performs a trick at a skate park.
Self-efficacy can work in an upward, feedback loop. That is, when you do well in a sport, you have greater self-efficacy, and by having greater self-efficacy, you subsequently do better in the sport! [Image: CC0 Public Domain, https://goo.gl/m25gce]

운동선수에게 자기효능감은 인생에서 특히 중요합니다. 자신의 운동 능력에 대한 자기 효능감이 강한 프로 및 아마추어 운동선수는 자기 효능감이 약한 운동선수보다 더 좋은 성적을 냅니다(Wurtele, 1986). 이는 육상(Gernigon & Delloye, 2003), 테니스(Sheldon & Eccles, 2005), 골프(Bruton, Mellalieu, Shearer, Roderique-Davies, & Hall, 2013)를 포함한 모든 유형의 스포츠 선수에게 해당되는 사실입니다. 한 연구 그룹은 운동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강한 농구 선수가 자기효능감이 약한 농구 선수보다 파울 슛을 더 많이 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Haney & Long, 1995). 이 연구자들은 또한 파울 슛을 더 많이 던진 선수들은 파울 슛을 적게 던지고 자기 효능감이 증가하지 않은 선수들에 비해 파울 슛을 던진 후 자기 효능감이 더 크게 증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이는 성과 경험을 통해 자기효능감을 얻는 방법을 보여주는 예입니다.

자기 제어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일반적으로 더 나은 성과와 더 큰 성공으로 이어지는 주요 이유 중 하나는 자기 효능감이 자기 조절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자기 조절은 자신의 생각, 감정, 행동을 통제하는 복잡한 과정입니다(Gross, 1998). 이는 삶의 거의 모든 영역에서 성공과 웰빙에 매우 중요합니다. 우리는 매일 사회적으로 부적절하거나 장기적으로 건강에 해로울 수 있는 특정 방식으로 행동하거나 느끼고 싶은 상황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루한 수업 시간에 휴대폰을 꺼내 친구에게 문자를 보내거나, 신발을 벗고 낮잠을 자고 싶거나, 너무 지루해서 소리를 지르고 싶을 수도 있습니다. 자기 조절은 이러한 행동을 피하고 대신 조용히 수업에 집중하기 위해 사용하는 과정입니다. 자기 조절은 많은 노력이 필요하며, 종종 지칠 수 있는 근육에 비유되기도 합니다(Baumeister, Bratslavsky, Muraven, & Tice, 1998). 예를 들어, 어린이가 쿠키가 있는 방에 단 몇 분만 있으면 맛있는 쿠키 더미를 먹지 않을 수 있지만, 몇 시간 동안 쿠키와 함께 있어야 한다면 쿠키를 먹고 싶은 욕구를 조절하는 능력이 지쳐 버릴 수 있습니다. 결국 자기 조절 능력은 소진되고 아이는 쿠키를 먹게 될 것입니다. 자기효능감이 강한 사람은 자기효능감이 약한 사람보다 실패에 직면했을 때 덜 괴로워할 수 있습니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은 괴로워할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자기조절 능력을 덜 소모하기 때문에 도전에 직면했을 때 더 오래 버틸 수 있습니다.

A stack of oatmeal cookies.
Self-efficacy is all about your belief of control over your environment. But when cookies that look this good are nearby, you may feel like you have no control to resist eating one (or more). [Image: CC0 Public Domain, https://goo.gl/m25gce]

자기효능감은 더 나은 성과와 더 큰 성공을 위해 여러 가지 방식으로 자기 조절에 영향을 미칩니다(Maddux & Volkmann, 2010). 첫째,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은 자기효능감이 높은 영역에서 성과에 대한 동기가 더 강합니다(Bandura & Locke, 2003). 즉, 사람들은 자신이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고 믿는 영역에서 더 열심히 일하려는 동기를 갖게 됩니다. 둘째,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은 목표 달성에 어려움을 겪을 때 인내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Vancouver, More, & Yoder, 2008). 예를 들어,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은 자신의 노력이 보상을 받을 것이라고 믿기 때문에 어려운 수업을 듣고 학위를 취득하는 등의 도전을 인내할 수 있는 동기를 더 잘 부여할 수 있습니다. 셋째,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은 자신이 상황을 더 잘 통제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상황을 더 잘 통제할 수 있다는 것은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이 원하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행동을 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은 문제 해결 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높기 때문에 특히 도전과 좌절에 직면했을 때 인지적 자원을 더 잘 활용하고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Cervone, Jiwani, & Wood, 1991).

집단 효능감

집단 효능감은 자기 효능감과 관련된 개념입니다. 집단 효능감은 가치 있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그룹의 능력에 대한 구성원 간의 공유된 신념을 말합니다(Bandura, 1997). 집단 효능감이 높은 그룹과 팀은 집단 효능감이 낮은 그룹과 팀보다 더 나은 성과를 냅니다(Marks, 1999). 집단 효능감은 많은 팀워크가 필요한 작업에서 특히 중요합니다(Katz-Navon & Erez, 2005). 예를 들어, 각 그룹 구성원이 최종 프로젝트의 일부에 기여하는 그룹 프로젝트를 수행해야 할 때 모든 구성원이 필요한 작업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을 공유한다면 그룹의 성과가 훨씬 더 좋아질 것입니다. 집단 효능감은 연애 관계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공동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강하게 믿는 부부는 효능감이 약한 부부보다 더 행복하다고 합니다(Kaplan & Maddux, 2002). 집단 효능감이 팀이나 그룹의 성과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지만, 자기 효능감도 팀 상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의사 결정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야구와 같은 팀 스포츠에서 더 나은 성과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Hepler & Feltz, 2012).

결론

자기 효능감은 가치 있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과제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말하며, 일상 생활에 다양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청소년은 학교에서 더 나은 성과를 내고, 자기효능감이 높은 성인은 직장에서 더 나은 성과를 냅니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은 연애 관계도 더 행복하고 팀워크도 더 좋습니다. 자기효능감이 강한 사람은 자기효능감이 약한 사람보다 건강이 더 좋으며, 건강 문제를 예방하고 실제로 건강을 증진하는 행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이들은 운동을 시작하고 지속할 가능성이 더 높으며, 더 안전한 성관계를 갖고, 더 좋은 음식을 섭취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자기효능감이 높으면 나쁜 습관에서 벗어나는 데도 유용합니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은 자기효능감이 낮은 사람보다 체중 감량, 금연, 알코올 섭취량 감소에 더 성공할 수 있습니다. 잘 알려진 동화책 '할 수 있는 작은 엔진(파이퍼, 1930)'에서도 알 수 있듯이, 스스로에게 "나는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하는 것은 강력한 동기부여가 될 수 있으며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자기 효능감에 대한 마지막 조언도 아동 문학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에 진학하거나 대학을 졸업하고 직장에 입사하는 등 중요한 이정표에 도달할 때 오, 네가 갈 곳은! 오, 당신이 갈 곳들! 은 본인이나 책을 선물한 사람이 알고 있든 모르든 자기 효능감에 관한 책입니다. 이 책은 여정에서 직면할 수 있는 모든 도전에 대해 이야기함으로써 독자들에게 직접적으로 이야기합니다. 책 전반에 걸쳐 화자는 독자들이 이러한 도전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자신의 능력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마지막으로 닥터 수스의 현명한 말을 남깁니다: "여러분은 스스로 알아서 하세요. 그리고 당신은 당신이 아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어디로 갈지는 여러분이 결정할 것입니다.... 성공할 수 있을까요? Yes! 정말 성공할 것입니다! 98과 3/4 퍼센트가 보장됩니다."

Outside Resources

Video: Association for Psychological Science presents an interview with Albert Bandura
Video: Self-efficacy’s role and sources
Web: Professor Frank Pajares’ self-efficacy site.
http://www.uky.edu/~eushe2/Pajares/self-efficacy.html

Discussion Questions

  1. Can you think of ways your own self-efficacy beliefs play a role in your daily life? In which areas do you have strong self-efficacy? In which areas would you like your self-efficacy to be a bit stronger? How could you increase your self-efficacy in those areas?
  2. Can you think of a time when a teacher, coach, or parent did something to encourage your self-efficacy? What did he or she do and say? How did it enhance your self-efficacy?
  3. What are some ways that you can help strengthen the self-efficacies of the people in your life?
  4. Can you think of a time when collective efficacy played a role in your team or group activities? What did you notice about being on a team or in a group that had high collective efficacy? What about a team or group with low collective efficacy?

Vocabulary

Collective efficacy
The shared beliefs among members of a group about the group’s ability to effectively perform the tasks needed to attain a valued goal.
Imaginal performances
When imagining yourself doing well increases self-efficacy.
Performance experiences
When past successes or failures lead to changes in self-efficacy.
Self-efficacy
The belief that you are able to effectively perform the tasks needed to attain a valued goal.
Self-regulation
The complex process through which people control their thoughts, emotions, and actions.
Self-report measure
A type of questionnaire in which participants answer questions whose answers correspond to numerical values that can be added to create an overall index of some construct.
Task-specific measures of self-efficacy
Measures that ask about self-efficacy beliefs for a particular task (e.g., athletic self-efficacy, academic self-efficacy).
Verbal persuasion
When trusted people (friends, family, experts) influence your self-efficacy for better or worse by either encouraging or discouraging you about your ability to succeed.
Vicarious performances
When seeing other people succeed or fail leads to changes in self-efficacy.

References

  • Bandura, A. (2006). Guide for constructing self-efficacy scales. In F. Pajares & T. C. Urdan (Eds.), Self-efficacy beliefs of adolescents (pp. 307–337). Charlotte, NC: Information Age Publishing.
  •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orth Publishers.
  •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doi:10.1037/0033-295X.84.2.191
  • Bandura, A., & Locke, E. A. (2003). Negative self-efficacy and goal effects revisited.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8(1), 87–99. doi:10.1037/0021-9010.88.1.87
  • Baumeister, R. F., Bratslavsky, E., Muraven, M., & Tice, D. M. (1998). Ego depletion: Is the active self a limited resour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5), 1252–1265. doi:10.1037/0022-3514.74.5.1252
  • Bruton, A. M., Mellalieu, S. D., Shearer, D., Roderique-Davies, G., & Hall, R. (2013). Performance accomplishment information as predictors of self-efficacy as a function of skill level in amateur golf. Journal of Applied Sport Psychology, 25(2), 197–208. doi:10.1080/10413200.2012.705802
  • Cervone, D., Jiwani, N., & Wood, R. (1991). Goal setting and the differential influence of self-regulatory processes on complex decision-making performa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2), 257–266.
  • Chemers, M. M., Hu, L., & Garcia, B. F. (2001). Academic self-efficacy and first year college student performance and adjust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3(1), 55–64. doi:10.1037/0022-0663.93.1.55
  • Cohen, S., Kamarck, T., & Mermelstein, R. (1983).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4(4), 385. doi:10.2307/2136404
  • Collins, J. L. (1984). Self-efficacy and ability in achievement behavior. Redwood City, CA: Stanford University.
  • DiClemente, C. C., Prochaska, J. O., & Gibertini, M. (1985). Self-efficacy and the stages of self-change of smoking.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9(2), 181–200. doi:10.1007/BF01204849
  • DuCharme, K. A., & Brawley, L. R. (1995). Predicting the intentions and behavior of exercise initiates using two forms of self-efficacy.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18(5), 479–497.
  • Ewart, C. K., Taylor, C. B., Reese, L. B., & DeBusk, R. F. (1983). Effects of early postmyocardial infarction exercise testing on self-perception and subsequent physical activity.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51(7), 1076–1080.
  • Forsyth, A. D., & Carey, M. P. (1998). Measuring self-efficacy in the context of HIV risk reduction: research challenges and recommendations. Health Psychology 17(6), 559–568.
  • Gernigon, C., & Delloye, J.-B. (2003). Self-efficacy, causal attribution, and track athletic performance following unexpected success or failure among elite sprinters. Sport Psychologist, 17(1), 55.
  • Gondoli, D. M., & Silverberg, S. B. (1997). Maternal emotional distress and diminished responsiveness: The mediating role of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al perspective taking. Developmental Psychology, 33(5), 861–868.
  • Gross, J. J. (1998). The emerging field of emotion regulation: An integrative review.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2(3), 271.
  • Haney, C. J., & Long, B. C. (1995). Coping effectiveness: A path analysis of self-efficacy, control, coping, and performance in sport competition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5(19), 1726–1746.
  • Hepler, T. J., & Feltz, D. L. (2012). Path analysis examining self-efficacy and decision-making performance on a simulated baseball task.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83(1), 55–64. doi:10.1080/02701367.2012.10599825
  • Hoover-Dempsey, K. V., Bassler, O. C., & Brissie, J. S. (1987). Parent involvement: Contributions of teacher efficacy, school socioeconomic status, and other school characteristic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4(3), 417–435. doi:10.3102/00028312024003417
  • Jones, T. L., & Prinz, R. J. (2005). Potential roles of parental self-efficacy in parent and child adjustment: A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25(3), 341–363. doi:10.1016/j.cpr.2004.12.004
  • Kaneko, N. (2007). Association between condom use and perceived barriers to and self-efficacy of safe sex among young women in Japan. Nursing & Health Sciences, 9(4), 284–289. doi:10.1111/j.1442-2018.2007.00338.x
  • Kaplan, M., & Maddux, J. E. (2002). Goals and marital satisfaction: Perceived support for personal goals and collective efficacy for collective goals.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1(2), 157–164. doi:10.1521/jscp.21.2.157.22513
  • Katz-Navon, T. Y., & Erez, M. (2005). When collective- and self-efficacy affect team performance the role of task interdependence. Small Group Research, 36(4), 437–465. doi:10.1177/1046496405275233
  • Knudstrup, M., Segrest, S. L., & Hurley, A. E. (2003). The use of mental imagery in the simulated employment interview situation.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18(6), 573–591. doi:10.1108/02683940310494395
  • Lent, R. W., Brown, S. D., & Larkin, K. C. (1986). Self-efficacy in the prediction of academic performance and perceived career option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3(3), 265–269. doi:10.1037/0022-0167.33.3.265
  • Luszczynska, A., Tryburcy, M., & Schwarzer, R. (2006). Improving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 self-efficacy intervention compared with a combined self-efficacy and planning intervention. Health Education Research, 22(5), 630–638. doi:10.1093/her/cyl133
  • Maddux, J. E. (Ed.) (1995). Self efficacy, adaptation, and adjustment: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New York: Plenum
  • Maddux, J. E., & Dawson, K. (2014). Promoting physical fitness in adulthood: A focus on exercise. In T. Gullotta & M. Bloom (Eds), Encyclopedia of primary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2nd ed., 821-827). New York: Kluwer/Plenum.
  • Maddux, J. E., & Gosselin, J. T. (2011). Self-efficacy. In D. S. Dunn (Ed.), Oxford bibliographies online: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Retrived from: http://www.oxfordbibliographies.com/view/document/obo-9780199828340/obo-9780199828340-0088.xml?rskey=twCabi&result=105
  • Maddux, J. E., & Volkmann, J. R. (2010). Self-efficacy and self-regulation. In R. Hoyle (Ed.), Handbook of personality and self-regulation (315-321). New York: Wiley-Blackwell.
  • Maisto, S. A., Connors, G. J., & Zywiak, W. H. (2000). Alcohol treatment changes in coping skills, self-efficacy, and levels of alcohol use and related problems 1 year following treatment initiation. Psychology of Addictive Behaviors, 14(3), 257–266. doi:10.1037/0893-164X.14.3.257
  • Marcus, B. H., Selby, V. C., Niaura, R. S., & Rossi, J. S. (1992). Self-efficacy and the stages of exercise behavior change.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63(1), 60–66. doi:10.1080/02701367.1992.10607557
  • Marks, M. A. (1999). A test of the impact of collective efficacy in routine and novel performance environments. Human Performance, 12(3–4), 295–309. doi:10.1080/08959289909539873
  • Multon, K. D., Brown, S. D., & Lent, R. W. (1991). Relation of self-efficacy beliefs to academic outcomes: A meta-analytic investig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8(1), 30–38. doi:10.1037/0022-0167.38.1.30
  • Pajares, F. (1996). Self-efficacy beliefs in academic setting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6(4), 543–578. doi:10.3102/00346543066004543.
  • Petty, R., & Brinol, P. (2010). Attitude change. In R. F. Baumeister & E. J. Finkel (Eds.), Advanced social psychology: The state of the science. Oxford University Press.
  • Piper, W. (1930). The little engine that could. New York: Platt & Munk.
  • Roach, J. B., Yadrick, M. K., Johnson, J. T., Boudreaux, L. J., Forsythe, W. A., & Billon, W. (2003). Using self-efficacy to predict weight loss among young adults.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03(10), 1357–1359.
  • Schunk, D. H. (1991). Self-efficacy and academic motiva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26(3–4), 207–231. doi:10.1080/00461520.1991.9653133
  • Schunk, D. H. (1990). Goal setting and self-efficacy during self-regulated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25(1), 71–86. doi:10.1207/s15326985ep2501_6
  • Schunk, D. H., & Miller, S. D. (2002). Self-efficacy and adolescents’ motivation. In F. Pajares & T. C. Urdan (Eds.), Academic Motivation of Adolescents (pp. 29–52). Charlotte, NC: Information Age Publishing.
  • Schwarzer, R., & Jerusalem, M. (1995). Generalized self-efficacy scale. Measures in Health Psychology: A User’s Portfolio. Causal and Control Beliefs, 1, 35–37.
  • Seuss, Dr. (1990). Oh, the places you’ll go! New York: Random House.
  • Sheldon, J. P., & Eccles, J. S. (2005). Physical and psychological predictors of perceived ability in adult male and female tennis players. Journal of Applied Sport Psychology, 17(1), 48–63. doi:10.1080/10413200590907568
  • Sherer, M., Maddux, J.E., Mercadante, B., Prentice Dunn, S., Jacobs, B., & Rogers, R.W. (1982). The self 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 Stajkovic, A. D., & Luthans, F. (1998). Self-efficacy and work-related performance: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24(2), 240–261. doi:10.1037/0033-2909.124.2.240
  • Strecher, V. J., DeVellis, B. M., Becker, M. H., & Rosenstock, I. M. (1986). The role of self-efficacy in achieving health behavior change. Health Education & Behavior, 13(1), 73–92. doi:10.1177/109019818601300108
  • Vancouver, J. B., More, K. M., & Yoder, R. J. (2008). Self-efficacy and resource allocation: Support for a discontinuous mode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3(1), 35-47. doi: 10.1037/0021-9010.93.1.35.
  • Vecchio, G. M., Gerbino, M., Pastorelli, C., Del Bove, G., & Caprara, G. V. (2007). Multi-faceted self-efficacy beliefs as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in late adolescenc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3(7), 1807–1818. doi:10.1016/j.paid.2007.05.018
  • Wentzel, K. R., Barry, C. M., & Caldwell, K. A. (2004). Friendships in middle school: Influences on motivation and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6(2), 195–203. doi:10.1037/0022-0663.96.2.195
  • Wurtele, S. K. (1986). Self-Efficacy and athletic performance: A review.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4(3), 290–301. doi:10.1521/jscp.1986.4.3.290

Authors

  • James E Maddux
    James. E. Maddux is University Professor Emeritus in the Department of Psychology and Senior Scholar at the Center for the Advancement of Well-Being at George Mason University in Fairfax, Virginia His research has been concerned primarily with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beliefs about personal effectiveness and control on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health-related behavior. He is a Fellow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s Divisions of General, Clinical, and Health Psychology and a Fellow of the Association for Psychological Science.
  • Evan Kleiman
    Evan Kleiman is a doctoral candidate at George Mason University. He primarily studies intra- and interpersonal suicide resiliency factors.

Creative Commons License

Creative CommonsAttributionNon-CommericalShare-AlikeSelf-Efficacy by James E Maddux and Evan Kleiman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4.0 International License. Permissions beyond the scope of this license may be available in our Licensing Agreement.

How to cite this Noba module using APA Style

Maddux, J. E. & Kleiman, E. (2023). Self-efficacy. In R. Biswas-Diener & E. Diener (Eds), Noba textbook series: Psychology. Champaign, IL: DEF publishers. Retrieved from http://noba.to/bmv4hd6p

This article was updated on 7월 3, 2023

심리학을 공부하기 위해 noba project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도전을 시작했습니다. 번역에 DeepL과 GPT-4를 적극적으로 활용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