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아 및 정체성(Self and Identity)

자아 및 정체성

By

Northwestern University

인간에게 자아는 "나"와 "나"가 만날 때 일어나는 일입니다. 따라서 자아에 대한 핵심적인 심리적 질문은 바로 이것입니다: 사람은 자신이 누구인지 어떻게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는가? 지난 100년 동안 심리학자들은 자아(및 관련 정체성 개념)에 대한 연구에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해 왔지만, 자아에 대한 세 가지 핵심 은유가 반복적으로 등장합니다. 첫째, 자아는 다른 사람 앞에서 행동을 수행함으로써 역할을 수행하고 특성을 나타내는 사회적 행위자로 볼 수 있습니다. 둘째, 자아는 내면의 욕구에 따라 행동하고 미래의 행동을 안내할 목표, 가치, 계획을 수립하는 동기 부여 주체입니다. 셋째, 자아는 결국 과거, 현재, 미래의 삶을 돌아보고 내가 누구인지, 어떻게 생겨났는지, 내 인생이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만드는 자서전 작가가 되기도 합니다. 이 모듈에서는 배우, 주체, 작가로서의 자아에 대한 핵심 아이디어와 연구 결과를 간략하게 검토하고, 이러한 자아의 특징이 인간의 생애 과정에서 어떻게 발전하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봅니다.

학습 목표

  • Explain the basic idea of reflexivity in human selfhood—how the “I” encounters and makes sense of itself (the “Me”).
  • Describe fundamental distinctions between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self: the self as actor, agent, and author.
  • Describe how a sense of self as a social actor emerges around the age of 2 years and how it develops going forward.
  • Describe the development of the self’s sense of motivated agency from the emergence of the child’s theory of mind to the articulation of life goals and values in adolescence and beyond.
  • Define the term narrative identity, and explain what psychological and cultural functions narrative identity serves.

인간 자아의 반사성, 즉 '나'가 어떻게 자기 자신('나')을 만나고 이해하는지에 대한 기본 개념을 설명합니다.
자아에 대한 세 가지 다른 관점, 즉 행위자, 대리인, 저자로서의 자아 사이의 근본적인 차이점을 설명합니다.
사회적 행위자로서의 자아가 2세 무렵에 어떻게 나타나고 앞으로 어떻게 발전하는지 설명하세요.
아동의 마음 이론의 출현부터 청소년기 이후의 삶의 목표와 가치의 명료화에 이르기까지 자아의 동기 부여된 주체감의 발달을 설명합니다.
내러티브 정체성이라는 용어를 정의하고, 내러티브 정체성이 어떤 심리적, 문화적 기능을 하는지 설명하세요.

소개

고대 그리스인들은 델포이의 아폴로 신전에 이런 글귀를 새겼습니다: "너 자신을 알라." 최소 2,500년, 어쩌면 그보다 더 오랜 시간 동안 인류는 이 고대 격언의 의미를 깊이 생각해 왔습니다. 지난 세기 동안 심리학 과학자들도 이 노력에 동참했습니다. 그들은 인간 자아의 핵심 질문인 '자신이 누구인지 어떻게 알 수 있는가'에 대한 수많은 이론을 정립하고 수많은 가설을 테스트했습니다.

A man stands in front of the bathroom mirror and reaches out to touch an altered reflection of himself.
We work on ourselves as we would any other interesting project. And when we do we generally focus on three psychological categories - The Social Actor, The Motivated Agent, and The Autobiographical Author. [Image: MakuKulden, https://goo.gl/sMUsnJ, CC BY-NC 2.0, https://goo.gl/VnKlK8]

고대 그리스인들은 자아가 본질적으로 반사적인 존재이며, 스스로를 되돌아보는 존재라는 사실을 깨달은 듯합니다. 위대한 심리학자 윌리엄 제임스(1892/1963)가 유명하게 만든 이 단순한 개념에서 자아는 '나'가 '나'를 반성할 때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자아는 '나'이면서 동시에 '나'를 아는 사람이며, 아는 사람이 자신을 되돌아볼 때 아는 것이 바로 자아입니다. 자신을 돌아보면 무엇이 보이나요? 내면을 들여다보면 무엇을 발견할 수 있을까요? 또한 어떤 식으로든 자신을 바꾸려고 할 때 바꾸려고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철학자 찰스 테일러(1989)는 자아를 반사적 프로젝트라고 설명합니다. 테일러는 현대 생활에서 우리는 종종 자아를 관리하고, 규율하고, 다듬고, 개선하고, 발전시키려고 노력한다고 주장합니다. 우리는 다른 흥미로운 프로젝트를 진행하듯이 자아를 위해 노력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작업하는 것은 정확히 무엇일까요?

잠시 자신을 개선하기로 결심했다고 상상해 보세요. 예를 들어, 외모를 개선하기 위해 다이어트를 할 수도 있습니다. 또는 중요한 사회적 역할을 개선하기 위해 어머니에게 더 친절하게 대하기로 결심할 수도 있습니다. 또는 더 나은 직장을 찾거나 학교로 돌아가 다른 직업을 준비해야 하는 등 직장에서 문제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더 열심히 일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정리를 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종교에 다시 헌신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더 많은 행복, 성취감, 평화 또는 흥분을 가져다줄 수 있는 방식으로 인생 전체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하는 것이 핵심일 수도 있습니다.

자아를 성찰하고 개선하기 위해 시도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대부분은 아니더라도 대부분은 크게 세 가지 심리적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McAdams & Cox, 2010). (가) 사회적 행위자로서의 나, (나) 동기를 부여받은 대리인으로서의 나, (다) 자서전 작가로서의 나를 만날 수 있습니다.

소셜 액터

An illustration of William Shakespeare
In some ways people are just like actors on stage. We play roles and follow scripts every day. [Image: Brian, https://goo.gl/z0VI3t, CC BY-SA 2.0, https://goo.gl/i4GXf5]

셰익스피어는 "온 세상이 무대이고 모든 남자와 여자는 그저 배우일 뿐"이라는 유명한 명언을 남기며 인간 본성에 대한 깊은 진실을 드러냈습니다. 하지만 셰익스피어가 말한 "단지"라는 표현은 틀린 말이었습니다. 사회생활이라는 일상적인 극장에서 배우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방식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기 때문입니다. 셰익스피어가 감지했지만 완전히 이해하지 못했던 것은 인간이 사회 집단에서 살도록 진화했다는 사실입니다. 다윈(1872/1965)부터 시작하여 현대의 인간 진화 개념에 이르기까지 과학자들은 인간의 본성을 심오하게 사회적인 것으로 묘사해 왔습니다(Wilson, 2012). 수백만 년 동안 호모 사피엔스와 그 진화적 선조들은 복잡한 사회 집단에서 함께 생활하고 일하며 서로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위협을 극복하고 제한된 자원에 직면하여 서로 경쟁하는 능력 덕분에 생존하고 번영해 왔습니다. 사회적 동물인 인간은 서로 어울리고 앞서 나가기 위해 노력합니다(Hogan, 1982). 사회 집단에서 잘 어울리지 못하거나 동료들 사이에서 필요한 지위를 얻지 못한 불행한 개인은 일반적으로 생존과 번식에 있어 심각한 타격을 입었기 때문에 진화는 우리가 사회적 수용과 사회적 지위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갖도록 준비시켰습니다. 따라서 인간의 '나'가 사회적 행위자로서 '나'를 가장 먼저 인식해야 한다는 것은 진화론적으로 당연한 일입니다.

인간에게 사회적 행위자로서의 자아는 생후 18개월경부터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수많은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의 유아는 두 번째 생일이 되면 거울이나 기타 반사 장치를 통해 자신을 인식합니다(Lewis & Brooks-Gunn, 1979; Rochat, 2003). 유아가 보는 것은 공간과 시간을 이동하는 구체화된 배우입니다. 많은 아이들이 생후 2학년에 '나', '내 것'과 같은 단어를 사용하기 시작하는데, 이는 이제 '나'가 자신에게 반사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언어적 레이블을 갖게 되었음을 의미합니다: 나는 나 자신을 "나"라고 부릅니다. 비슷한 시기에 아이들은 당혹감, 수치심, 죄책감, 자부심과 같은 사회적 감정도 표현하기 시작합니다(Tangney, Stuewig, & Mashek, 2007). 이러한 감정은 사회적 행위자에게 자신이 그룹에서 얼마나 잘 수행하고 있는지 알려줍니다. 다른 사람의 인정을 받는 일을 할 때, 나는 나 자신이 자랑스럽다고 느낍니다. 다른 사람들 앞에서 실패하면 당혹감이나 수치심을 느낄 수 있습니다. 사회적 규칙을 위반했을 때 죄책감을 느끼고 이를 바로잡으려는 동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인간의 자아에 대한 고전적인 심리학 이론 중 다수는 생후 2학년을 중요한 발달 시기로 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프로이트(1923/1961)와 그의 추종자들은 정신분석학 전통에서 자율적 자아의 출현 시기를 생후 2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프로이트는 "자아"(독일어로는 '나'라고도 번역되는 '나')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인격의 실행적 자아를 지칭했습니다. 에릭슨(1963)은 생후 첫해에 신뢰와 대인관계 애착의 경험이 두 번째 해에 자아의 자율성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좀 더 사회학적인 관점에서 보면, 미드(1934)는 자아는 성찰을 통해 나를 알게 되는데, 이는 문자 그대로 거울을 통해 시작되지만 나중에는 타인의 반영된 평가가 포함된다고 제안했습니다. 사회 세계의 다른 사람들이 내 연기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주목함으로써 사회적 행위자로서 내가 누구인지 알게 된다고 미드(Mead)는 주장했습니다. 사회적 행위자로서의 자아가 발달하는 과정에서 다른 사람들은 거울과 같은 역할을 하며, 내가 누구인지 다시 나에게 비춰줍니다.

연구에 따르면 어린 아이들이 자신에 대한 귀속을 만들기 시작할 때는 단순하게 시작한다고 합니다(Harter, 2006). 4살이 된 제시카는 자신이 검은 머리카락을 가지고 있고, 백악관에 산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단순한 행동 특성으로 자신을 다른 사람들에게 설명합니다. 자신이 "착하다", "도움이 된다", "대부분 착한 아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5학년(10세)이 되면 제시카는 "정직하다", "변덕스럽다", "외향적이다", "수줍음이 많다", "열심히 일한다", "똑똑하다", "수학을 잘하지만 체육 수업은 싫어한다", "짜증나는 오빠 옆에 있을 때만 착하다" 등의 특성을 스스로에게 부여하면서 자신을 더 복잡한 방식으로 바라보게 됩니다. 아동기 후반과 청소년기 초반에 이르면 사람들이 스스로에게 돌리는 성격 특성과 타인이 돌리는 성격 특성은 성인 성격 연구에서 반복적으로 도출되고 흔히 빅 5라고 불리는 (1) 외향성, (2) 신경증, (3) 동의성, (4) 성실성, (5) 경험에 대한 개방성의 다섯 가지 광범위한 특성 영역의 잘 확립된 분류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경향이 있습니다(Roberts, Wood, & Caspi, 2008). 또한 아동기 후반에는 자아 개념에 중요한 사회적 역할도 포함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나는 좋은 학생이다.", "나는 장녀다.", "나는 사라의 좋은 친구다." 등이 있습니다.

특성과 역할, 그리고 이러한 개념의 변형은 사회적 행위자로서의 자아의 주요 통화입니다(McAdams & Cox, 2010). 특성 용어는 사회적 성과에서 인지된 일관성을 포착합니다. 이는 부분적으로 다른 사람들이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서 배우로서 나를 어떻게 보는지에 따라 내가 반사적으로 인식하는 나의 전반적인 연기 스타일을 전달합니다. 역할은 제 삶에서 중요한 구조적 관계의 질을 제가 인식하는 대로 포착합니다. 종합하면, 특성과 역할은 내가 내 마음속에서 파악하는 내 사회적 평판의 주요 특징을 구성합니다(Hogan, 1982).

자신을 변화시키기 위해 노력해 본 적이 있다면, 자신의 중심적인 특성이나 사회적 역할을 목표로 삼아 사회적 평판을 개선해 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어느 날 일어나서 더 낙관적이고 정서적으로 낙관적인 사람이 되어야겠다고 결심했을 수도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의 평가에 반영된 것을 고려할 때, 친구들조차도 당신이 그들을 실망시키기 때문에 당신을 피하는 것 같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게다가 항상 기분이 나빠지는 것도 기분이 나쁩니다: 기분이 좋아지고 에너지와 희망이 더 많아지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요? 특성의 언어로 표현하자면, 당신은 "신경증"을 "치료"하기로 결정한 것입니다. 아니면 그 대신 "성실성"이라는 특성이 문제일 수도 있습니다: 귀하는 훈련이 부족하고 충분히 열심히 일하지 않기 때문에 그 부분을 변화시키기로 결심했습니다. 이와 같은 자기 개선 노력, 즉 보다 효과적인 사회적 행위자가 되기 위해 자신의 특성을 바꾸려는 노력은 때때로 성공하기도 하지만, 다이어트와 마찬가지로 매우 어렵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광범위한 특성은 심리 치료의 도움을 받더라도 고집스럽고 변화에 저항하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사람들은 종종 사회적 역할을 직접 수행하는 데 더 큰 성공을 거두기도 합니다. 보다 효과적인 사회적 행위자가 되려면 인생에서 중요한 역할을 목표로 삼는 것이 좋습니다. 더 나은 아들이나 딸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직장, 가족, 친구, 교회 및 지역사회에서 수행할 새롭고 의미 있는 역할을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요? 중요한 사회적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 구체적인 일을 하면 자신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기 시작할 수 있으며, 다른 사람들도 그 변화를 알아차릴 것입니다. 사회적 행위자는 인간의 삶의 과정에서 자신의 연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무대에 오를 때마다 새롭게 시작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집니다.

동기 부여 에이전트

Anonymous people hurry by on a busy street.
When we observe others we only see how they act but are never able to access the entirety of their internal experience. [Iamge: CC0 Public Domain, https://goo.gl/m25gce]

문자 그대로 연극 무대에 대해 이야기하든, 이 모듈에서처럼 인간 행동의 일상적인 사회적 환경에 대해 비유적으로 이야기하든, 관찰자는 아무리 자세히 관찰해도 배우의 머릿속에 무엇이 있는지 완전히 알 수 없습니다. 우리는 배우가 행동하는 것을 볼 수 있지만, 그들이 직접 말하지 않는 한 그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확실히 알 수 없습니다. 사회적 배우로서 어떤 사람은 친절하고 자비로운 사람으로 보일 수도 있고 냉소적이고 비열한 사람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어떤 경우든 우리는 그들의 특성이나 역할에서 그들의 동기를 유추할 수 없습니다. 친절한 사람은 무엇을 원할까요? 냉소적인 아버지는 무엇을 성취하려고 할까요? 자아에 대한 많은 광범위한 심리학 이론은 인간 행동의 동기적 특성, 즉 행동의 방향과 목적을 부여하는 것으로 보이는 내적 욕구, 욕구, 욕망, 목표, 가치, 계획, 프로그램, 두려움, 혐오감을 우선시합니다(Bandura, 1989; Deci & Ryan, 1991; Markus & Nurius, 1986). 이러한 이론은 자아를 동기를 부여하는 행위자로 명시적으로 개념화합니다.

주체가 된다는 것은 방향과 목적을 가지고 행동하며 스스로 선택하고 가치 있는 목표를 추구하며 미래로 나아가는 것입니다. 아기는 분명 목표 지향적인 방식으로 행동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의미에서 인간은 유아기에도 에이전트입니다. 또한 1세가 되면 유아는 무작위적인 행동보다는 타인의 목표 지향적이고 의도적인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하는 것을 선호합니다(Woodward, 2009). 하지만 목표 지향적인 방식으로 행동하는 것과 스스로 선택한 목표, 가치, 기타 바람직한 최종 상태를 추구하며 삶을 전진하는 의도적이고 목적 지향적인 힘으로서의 나(나)를 아는 것은 전혀 다른 문제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사람들이 실제로 마음속에 욕망과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내면의 욕망과 목표가 행동에 동기를 부여(시작, 활력, 실행)한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합니다. 발달 심리학의 강력한 연구 라인에 따르면, 이러한 종류의 이해를 얻는다는 것은 대부분의 어린이가 4세까지 습득하는 마음 이론(Wellman, 1993)을 습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어린이가 다른 사람의 행동이 종종 내면의 욕망과 목표에 의해 동기 부여된다는 것을 이해하면 비슷한 용어로 자아를 이해하는 작은 단계가 시작됩니다.

마음 이론과 기타 인지 및 사회적 발달을 바탕으로, 아이들은 초등학교 시기에 아직 발달 중인 사회적 행위자로서의 자신에 대한 감각 위에 동기가 부여된 주체로서의 자아를 구성하기 시작합니다. 발달 심리학자들이 5~7세 전환기라고 부르는 시기의 이론과 연구에 따르면 이 시기에는 어린이들이 가치 있는 목표를 추구할 때 보다 계획적이고 의도적이며 체계적으로 행동한다고 합니다(Sameroff & Haith, 1996). 학교 교육은 교사와 커리큘럼이 학생들에게 열심히 일하고, 일정을 준수하고, 목표에 집중하고, 특히 잘 정의 된 작업 영역에서 성공을 달성하도록 점점 더 많은 요구를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변화를 강화합니다. 또한 가장 소중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상대적인 성공 여부는 아이들의 자존감을 결정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칩니다(Robins, Tracy, & Trzesniewski, 2008). 동기 부여가 된 상담원은 목표를 달성하고 가장 중요한 가치를 발전시키고 있다고 믿는 정도까지 자신에 대해 좋은 감정을 느낍니다.

청소년기의 자아에게 목표와 가치는 더욱 중요해지며, 청소년들은 에릭슨(1963)이 '정체성의 발달적 도전'이라고 명명한 문제에 직면하기 시작합니다. 청소년과 청년이 심리적으로 효과적인 정체성을 확립하려면 삶의 목표, 가치관, 직업, 친밀한 관계와 관련하여 다양한 선택지를 탐색하고 궁극적으로 성인 생활에 대한 동기 부여 및 이념적 의제, 즉 내가 인생에서 무엇을 원하고 가치를 두며 어떻게 성취할 것인지에 대한 통합적이고 현실적인 감각에 헌신하는 것이 포함됩니다(Kroger & Marcia, 2011). 통합된 삶의 목표와 가치에 자신을 헌신하는 것은 동기 부여 주체로서 자아에게 가장 큰 성취일 것입니다. 성인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은 사회적 행위자로서 삶을 살아가는 방식에도 영향을 미치며, 새로운 역할에 대한 약속과 자신의 기본 성향 특성에 대한 이해의 변화를 수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에릭슨에 따르면 성인은 중년 이후에도 정체성 확립을 위해 계속 노력하며, 새로운 목표를 위해 오래된 목표를 포기하고, 새로운 프로젝트에 투자하고, 새로운 계획을 세우고, 새로운 관계를 탐색하고, 변화하는 삶의 환경에 대응하여 우선순위를 바꾸기도 합니다(Freund & Riediger, 2006; Josselson, 1996).

스스로를 변화시키려고 노력할 때마다 동기 부여를 받는 에이전트의 역할을 맡는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결국 무언가를 변화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에이전트가 하는 일입니다. 그러나 변화시키려는 자아의 특정 특성은 배우, 에이전트, 작가로서의 자아 또는 그 조합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특성이나 역할을 바꾸려고 할 때는 사회적 행위자를 목표로 삼게 됩니다. 반대로 가치관이나 인생 목표를 바꾸려고 할 때는 동기 부여를 받는 주체로서 자신에게 초점을 맞추는 것입니다. 청소년기와 청년기는 인간의 생애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가치관과 인생 목표에 집중하는 시기입니다. 전통적인 가톨릭 신자로 자랐지만 대학에 들어와서 어린 시절에 주입된 가치관이 더 이상 자신에게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했을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톨릭 교회의 핵심 교리를 더 이상 믿지 않고 기존의 가치관을 새로운 가치관으로 대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는 여전히 가톨릭 신자가 되고 싶지만 새로운 신앙을 위해서는 다른 종류의 개인적 이념이 필요하다고 느낄 수도 있습니다. 동기를 부여하는 에이전트의 영역에서는 가치관의 변화가 삶의 목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새로운 가치 체계가 다른 사람의 고통을 덜어주는 것을 우선시한다면, 사회복지학 학위를 취득하거나 공익 변호사가 되거나 물질적 부보다 사람을 우선시하는 단순한 삶을 살기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청소년기와 청년기에 하는 정체성 확립 작업의 상당 부분은 가치관과 목표에 관한 것으로, 미래에 이루고자 하는 개인적인 비전이나 꿈을 명확히 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자서전 작가

'나'가 사회적 행위자이자 동기 부여 주체로서의 '나'에 대한 감각을 계속 발전시켜 나가더라도, 청소년기와 초기 성인기에는 자아에 대한 세 번째 관점이 서서히 등장합니다. 세 번째 관점은 에릭슨(1963)의 정체성에 대한 도전에 대한 반응입니다. 에릭슨에 따르면 정체성을 개발하는 것은 삶의 목표와 가치를 탐구하고 헌신하는 것(동기 부여 주체로서의 자아), 새로운 역할에 헌신하고 오래된 특성을 재평가하는 것(사회적 행위자로서의 자아) 그 이상을 포함합니다. 또한 삶의 시간적 연속성, 즉 내가 어떻게 지금의 내가 되었는지, 달리 말하면 과거의 내가 어떻게 현재의 내가 되었는지, 현재의 내가 어떻게 미래의 내가 될 것인지에 대한 반성적 이해도 포함합니다. 15세기 개신교 개혁자 마르틴 루터의 생애에서 정체성 형성을 분석한 에릭슨(1958)은 청년의 정체성 탐색의 정점을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성인이 된다는 것은 무엇보다도 자신의 삶을 회고와 전망 모두에서 지속적인 관점에서 바라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경제에서의 기능, 세대 서열에서의 위치, 사회 구조에서의 지위 등을 기준으로 자신이 누구인지에 대한 정의를 받아들임으로써 성인은 단계별로 자신이 계획한 것처럼 보이거나 더 나은 방식으로 자신의 과거를 선택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의미에서 심리적으로 우리는 부모, 가족 역사, 왕, 영웅, 신의 역사를 선택합니다. 그것들을 우리 자신의 것으로 만들면 우리는 소유자, 창조자의 내적 위치로 스스로를 조종하게 됩니다."

-- (Erikson, 1958, pp. 111–112; emphasis added).

이 풍부한 구절에서 에릭슨은 청년기에 성숙한 정체성을 형성하는 것은 나에 대한 회고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이야기를 구성하는 능력과 관련이 있다고 암시합니다(McAdams, 1985). 삶의 의미 있는 정체성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젊은 남녀는 에릭슨이 말한 것처럼 자신의 과거를 '선택적으로 재구성'하고 미래를 상상하여 통합적인 삶의 이야기, 즉 오늘날 심리학자들이 흔히 이야기적 정체성이라고 부르는 것을 창조하기 시작합니다. 내러티브 정체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인의 삶에 어느 정도의 통일성, 의미, 목적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과거를 재구성하고 미래를 예측하는 내면화되고 진화하는 자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McAdams, 2008; McLean, Pasupathi, & Pals, 2007). 자아는 일반적으로 성인 초기에 자서전적 저자가 되는데, 이러한 존재 방식은 사회적 행위자 위에 겹겹이 쌓여 있는 동기 부여 주체 위에 겹겹이 쌓여 있습니다. 에릭슨이 정체성이 부여해야 한다고 믿었던 시간적 연속성과 깊은 의미를 삶에 제공하기 위해서는 과거에 누구였는지, 현재 누구인지, 미래에 어떤 사람이 될지에 대한 이해를 통합하는 개인화된 인생 스토리를 작성해야 합니다. 이 이야기는 사회적 행위자가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동기 부여된 행위자가 왜 원하는 것을 원하는지, 과거의 재구성된 시작부터 미래의 상상된 결말까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인 전체가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를 저자와 저자의 세계에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5세 또는 6세가 되면 아이들은 자신의 삶에서 일어난 개인적인 사건에 대해 잘 짜여진 이야기를 할 수 있습니다(Fivush, 2011). 어린 시절이 끝날 무렵에는 일반적으로 일반적인 전기의 내용과 출생부터 사망까지의 순서에 대해 잘 알고 있습니다(Thomsen & Bernsten, 2008). 그러나 연구에 따르면 인간은 청소년기에 이르러서야 고도의 스토리텔링 기술과 심리학자들이 자서전적 추론이라고 부르는 능력을 발휘합니다(Habermas & Bluck, 2000; McLean & Fournier, 2008). 자전적 추론에서 내레이터는 자신의 개인적인 경험을 분석하여 자아에 대한 실질적인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청소년은 사건을 인과적 사슬로 연결하고 일련의 장과 장면에서 삶에 대한 일반적인 주제를 귀납적으로 도출하는 능력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Habermas & de Silveira, 2008). 예를 들어, 16세 소녀는 어린 시절의 가족 경험이 자신의 인생에 대한 소명을 어떻게 형성했는지 자신과 다른 사람들에게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이 청소년은 5살 때 부모님이 이혼했고, 이로 인해 가족에게 큰 스트레스를 받았다고 회상합니다. 그녀의 어머니는 종종 불안하고 우울해 보였지만 그녀(어렸을 때 지금은 10대인 이 이야기의 주인공)는 종종 어머니를 위로하려고 노력했고, 그녀의 노력은 효과가 있는 것 같았습니다. 최근에는 친구들이 남자 친구 문제로 자주 찾아온다고 말합니다. 그녀는 사랑과 관계에 대한 조언에 매우 능숙한 것 같으며, 이는 어머니와의 초기 경험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십대 소녀는 현재 믿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과 관계를 바탕으로 이 십대는 이제 자신이 커서 결혼 상담사가 되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Two teens with colorful Mohawk hairstyles and punk rock clothes
Young people often "try on" many variations of identities to see which best fits their private sense of themselves. [Image: Sangudo, https://goo.gl/Ay3UMR, CC BY-NC-SA 2.0, https://goo.gl/Toc0ZF]

청소년은 어린이와 달리 인간의 삶 전체에 대해 완전하고 설득력 있는 이야기를 할 수 있으며, 적어도 전체 삶에서 눈에 띄는 인과관계를 설명하면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이야기 속 주인공의 연속성과 변화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인지 능력이 갖추어지면 청소년은 자신(나)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는 스토리텔러(나)로서 성장하는 자신에 대한 감각을 공유하고 다듬을 수 있는 대인관계의 기회를 찾습니다. 청소년과 청년은 자신의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다른 사람들에게 들려주고, 그 이야기를 통해 받은 피드백을 모니터링하고, 피드백에 비추어 자신의 이야기를 편집하고, 새로운 경험을 얻고, 그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등의 과정을 통해 자아에 대한 내러티브 감각을 형성하고, 자아가 이야기를 만들어 새로운 자아를 창조하는 과정을 반복합니다(McLean et al., 2007). 점차적으로 대화와 성찰을 통해 나에 대한 설득력 있고 일관된 내러티브를 발전시켜 나갑니다.

자서전 작가로서의 자아에 대한 현대 연구는 내러티브 정체성에 대한 문화의 강력한 영향을 강조합니다(Hammack, 2008). 문화는 자기 정의적인 인생 이야기를 구성하는 데 선호되는 줄거리, 주제, 캐릭터 유형 메뉴를 제공합니다. 자서전 작가는 문화 메뉴에서 자신의 인생 경험과 잘 어울리는 아이디어를 선별하여 적절히 활용합니다. 따라서 인생 이야기는 자서전적 자아의 저술 노력을 반영하는 만큼이나 그 속에 자리 잡은 문화를 반영합니다.

문화와 내러티브 정체성 사이의 긴밀한 연관성을 보여주는 한 가지 예로, McAdams(2013)와 다른 연구자들(예: Kleinfeld, 2012)은 미국 문화에서 구속적 내러티브가 두드러진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아메리칸 드림, 호레이쇼 알거 이야기, 기독교 속죄 이야기와 같은 상징적인 문화적 이상에서 전형적으로 드러나는 구속 이야기는 고통에서 더 나은 지위나 상태로 나아가는 과정을 추적하는 동시에 위험하고 구원받지 못한 세상으로 나아가는 선택된 주인공의 전개를 대본으로 삼습니다(McAdams, 2013). 할리우드 영화는 종종 구원의 퀘스트를 기념합니다. 미국인들은 자기계발서, 12단계 프로그램, 주일 설교, 정치 캠페인의 수사학에서 비슷한 내러티브 메시지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지난 20년 동안 인간의 삶에서 구원의 힘에 대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대변인은 오프라 윈프리일 수 있는데, 그녀는 자신의 어린 시절 역경을 극복한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미디어 매체와 자선 활동을 통해 다른 사람들도 비슷한 종류의 이야기를 자신의 삶에 들려주도록 독려하고 있습니다(McAdams, 2013). 연구에 따르면 높은 수준의 정신 건강과 시민 참여를 누리는 미국 성인들은 죄에서 구원으로, 누더기에서 부로, 억압에서 해방으로, 질병/학대에서 건강/회복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추적하면서 자신의 삶을 구원의 내러티브로 구성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McAdams, Diamond, de St. Aubin, & Mansfield, 1997; McAdams, Reynolds, Lewis, Patten, & Bowman, 2001; Walker & Frimer, 2007). 미국 사회에서 이러한 종류의 이야기는 종종 영감을 주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동시에 McAdams(2011, 2013)는 미국 문화와 유산의 문화적 편견과 고정관념을 반영하는 많은 미국인들이 말하는 구속 이야기의 단점과 한계를 지적했습니다. 맥아담스는 구원 이야기가 일부 미국인의 행복과 사회 참여를 지지하지만, 같은 이야기가 도덕적 의로움과 고통이 항상 구원될 것이라는 순진한 기대를 조장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좋든 나쁘든, 미국인들은 개인적인 구원의 이야기를 좋아하고 종종 자전적 기억과 열망을 구원의 형태에 동화시키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동일한 스토리는 다른 가치와 내러티브 이상을 지지하는 문화권에서는 잘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Hammack, 2008). 모든 문화권에는 선호하는 내러티브 형식의 저장고가 있다는 점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하나의 내러티브 형식이 한 문화의 좋은 점(또는 나쁜 점)을 모두 담아내지는 못한다는 사실을 아는 것도 중요합니다. 미국 사회에서 구원 이야기는 사람들이 자신의 삶을 이해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다양한 종류의 이야기 중 하나일 뿐입니다.

여러분의 이야기는 무엇인가요? 어떤 종류의 내러티브를 만들고 있나요? 과거를 돌아보고 미래를 상상할 때 어떤 연속성, 변화, 의미의 실타래를 발견할 수 있나요? 많은 사람들에게 자아를 변화시키기 위한 가장 극적이고 성취감 있는 노력은 자서전 작가로서 '나'에 대한 새로운 이야기를 구성하고 궁극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할 때 일어납니다. 스토리텔링은 인간이 발명해낸 가장 강력한 자기 변화의 형태일 수 있습니다. 자신의 인생 이야기를 바꾸는 것은 다양한 형태의 심리 치료 및 상담뿐만 아니라 종교적 개종, 직업적 깨달음, 그리고 사람들이 종종 인생의 전환점으로 기념하는 자아의 극적인 변화의 핵심입니다(Adler, 2012). 스토리텔링은 일상생활을 영위하고 삶을 경험하면서, 그리고 나중에 자신과 타인에게 이야기할 때 자아를 조금씩 수정하는 작은 변화의 중심에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론

인간에게 자아는 사회적 행위자로 시작하지만, 결국에는 동기 부여의 주체이자 자서전의 저자가 되기도 합니다. 자아는 처음에는 사회적 공간에서 자신을 구체화된 행위자로 인식하지만, 발달과 함께 스스로 결정한 목표와 가치의 미래 지향적 원천으로, 나중에는 재구성된 과거와 상상된 미래를 지향하는 개인적 경험의 스토리텔러로 자신을 인식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성숙한 성인기에 '자신을 안다는 것'은 (a) 스스로 규정하는 자신의 특성과 역할을 파악하고 사회적 승인을 받아 수행하는 것, (b) 가장 가치 있는 목표와 계획을 활기차고 (이상적으로는) 성공적으로 추구하는 것, (c) 내가 기억하는 과거, 경험하는 현재, 희망하는 미래를 통합하여 내가 어떻게 지금의 사람이 되었는지 생생하고 문화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삶의 이야기를 구성하는 것, 이 세 가지를 수행하는 것입니다.

Outside Resources

Web: The website for the Foley Center for the Study of Lives, at Northwestern University. The site contains research materials, interview protocols, and coding manuals for conducting studies of narrative identity.
http://www.sesp.northwestern.edu/foley/

Discussion Questions

  1. Back in the 1950s, Erik Erikson argued that many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experience a tumultuous identity crisis. Do you think this is true today? What might an identity crisis look and feel like? And, how might it be resolved?
  2. Many people believe that they have a true self buried inside of them. From this perspective, the development of self is about discovering a psychological truth deep inside. Do you believe this to be true? How does thinking about the self as an actor, agent, and author bear on this question?
  3. Psychological research shows that when people are placed in front of mirrors they often behave in a more moral and conscientious manner, even though they sometimes experience this procedure as unpleasant. From the standpoint of the self as a social actor, how might we explain this phenomenon?
  4. By the time they reach adulthood, does everybody have a narrative identity? Do some people simply never develop a story for their life?
  5. What happens when the three perspectives on self—the self as actor, agent, and author—conflict with each other? Is it necessary for people’s self-ascribed traits and roles to line up well with their goals and their stories?
  6. William James wrote that the self includes all things that the person considers to be “mine.” If we take James literally, a person’s self might extend to include his or her material possessions, pets, and friends and family. Does this make sense?
  7. To what extent can we control the self? Are some features of selfhood easier to control than others?
  8. What cultural differences may be observ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self? How might gender, ethnicity, and class impact the development of the self as actor, as agent, and as author?

Vocabulary

Autobiographical reasoning
The ability, typically developed in adolescence, to derive substantive conclusions about the self from analyzing one’s own personal experiences.
Big Five
A broad taxonomy of personality trait domains repeatedly derived from studies of trait ratings in adulthood and encompassing the categories of (1) extraversion vs. introversion, (2) neuroticism vs. emotional stability, (3) agreeable vs. disagreeableness, (4) conscientiousness vs. nonconscientiousness, and (5) openness to experience vs. conventionality. By late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people’s self-attributions of personality traits, as well as the trait attributions made about them by others, show patterns of intercorrelations that confirm with the five-factor structure obtained in studies of adults.
Ego
Sigmund Freud’s conception of an executive self in the personality. Akin to this module’s notion of “the I,” Freud imagined the ego as observing outside reality, engaging in rational though, and coping with the competing demands of inner desires and moral standards.
Identity
Sometimes used synonymously with the term “self,” identity means many different things in psychological science and in other fields (e.g., sociology). In this module, I adopt Erik Erikson’s conception of identity as a developmental task for late adolescence and young adulthood. Forming an identity in adolescence and young adulthood involves exploring alternative roles, values, goals, and relationships and eventually committing to a realistic agenda for life that productively situates a person in the adult world of work and love. In addition, identity formation entails commitments to new social roles and reevaluation of old traits, and importantly, it brings with it a sense of temporal continuity in life, achieved though the construction of an integrative life story.
Narrative identity
An internalized and evolving story of the self designed to provide life with some measure of temporal unity and purpose. Beginning in late adolescence, people craft self-defining stories that reconstruct the past and imagine the future to explain how the person came to be the person that he or she is becoming.
Redemptive narratives
Life stories that affirm the transformation from suffering to an enhanced status or state. In American culture, redemptive life stories are highly prized as models for the good self, as in classic narratives of atonement, upward mobility, liberation, and recovery.
Reflexivity
The idea that the self reflects back upon itself; that the I (the knower, the subject) encounters the Me (the known, the object). Reflexivity is a fundamental property of human selfhood.
Self as autobiographical author
The sense of the self as a storyteller who reconstructs the past and imagines the future in order to articulate an integrative narrative that provides life with some measure of temporal continuity and purpose.
Self as motivated agent
The sense of the self as an intentional force that strives to achieve goals, plans, values, projects, and the like.
Self as social actor
The sense of the self as an embodied actor whose social performances may be construed in terms of more or less consistent self-ascribed traits and social roles.
Self-esteem
The extent to which a person feels that he or she is worthy and good. The success or failure that the motivated agent experiences in pursuit of valued goals is a strong determinant of self-esteem.
Social reputation
The traits and social roles that others attribute to an actor. Actors also have their own conceptions of what they imagine their respective social reputations indeed are in the eyes of others.
The Age 5-to-7 Shift
Cognitive and social changes that occur in the early elementary school years that result in the child’s developing a more purposeful, planful, and goal-directed approach to life, setting the stage for the emergence of the self as a motivated agent.
The “I”
The self as knower, the sense of the self as a subject who encounters (knows, works on) itself (the Me).
The “Me”
The self as known, the sense of the self as the object or target of the I’s knowledge and work.
Theory of mind
Emerging around the age of 4, the child’s understanding that other people have minds in which are located desires and beliefs, and that desires and beliefs, thereby, motivate behavior.

References

  • Adler, J. M. (2012). Living into the story: Agency and coherence in a longitudinal study of narrative identity development and mental health over the course of psychotherap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02, 367–389.
  • Bandura, A. (1989). Human agency in social-cognitive theory. American Psychologist, 44, 1175–1184.
  • Darwin, C. (1872/1965). The expression of emotions in man and animal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Deci, E. L., & Ryan, R. M. (1991). A motivational approach to self: Integration in personality. In R. Dienstbier & R. M. Ryan (Eds.),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Vol. 38, pp. 237–288). Lincoln, N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 Erikson, E. H. (1963). Childhood and society (2nd ed.). New York, NY: Norton.
  • Erikson, E. H. (1958). Young man Luther. New York, NY: Norton.
  • Fivush, R. (2011). The development of autobiographical memory. In S. T. Fiske, D. L. Schacter, & S. E. Taylor (Ed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 62, pp. 559–582). Palo Alto, CA: Annual Reviews, Inc.
  • Freud, S. (1923/1961). The ego and the id. In J. Strachey (Ed.), The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 (Vol. 19). London, UK: Hogarth.
  • Freund, A. M., & Riediger, M. (2006). Goals as building blocks of personality and development in adulthood. In D. K. Mroczek & T. D. Little (Eds.), Handbook of personality development (pp. 353–372). Mahwah, NJ: Erlbaum.
  • Habermas, T., & Bluck, S. (2000). Getting a life: The emergence of the life story in adolescence. Psychological Bulletin, 126, 748–769.
  • Habermas, T., & de Silveira, C. (2008). The development of global coherence in life narrative across adolescence: Temporal, causal, and thematic aspects. Developmental Psychology, 44, 707–721.
  • Hammack, P. L. (2008). Narrative and the cultural psychology of identity.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12, 222–247.
  • Harter, S. (2006). The self. In N. Eisenberg (Ed.) & W. Damon & R. M. Lerner (Series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3.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pp. 505–570). New York, NY: Wiley.
  • Hogan, R. (1982). A socioanalytic theory of personality. In M. Paige (Ed.),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Vol. 29, pp. 55–89). Lincoln, N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 James, W. (1892/1963). Psychology. Greenwich, CT: Fawcett.
  • Josselson, R. (1996). Revising herself: The story of women’s identity from college to midlife.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 Kleinfeld, J. (2012). The frontier romance: Environment, culture, and Alaska identity. Fairbanks, AK: University of Alaska Press.
  • Kroger, J., & Marcia, J. E. (2011). The identity statuses: Origins, meanings, and interpretations. In S. J. Schwartz, K. Luyckx, & V. L. Vignoles (Eds.), Handbook of identity theory and research (pp. 31–53). New York, NY: Springer.
  • Lewis, M., & Brooks-Gunn, J. (1979). Social cognition and the acquisition of self. New York, NY: Plenum.
  • Markus, H., & Nurius, P. (1986). Possible selves. American Psychologist, 41, 954–969.
  • McAdams, D. P. (2013). The redemptive self: Stories Americans live by (revised and expanded edition).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 McAdams, D. P. (2011). George W. Bush and the redemptive dream: A psychological portrait.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 McAdams, D. P. (2008). Personal narratives and the life story. In O. P. John, R. W. Robins, & L. A. Pervin (Eds.),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research (3rd ed., pp. 242–262). New York, NY: Guilford Press.
  • McAdams, D. P. (1985). Power, intimacy, and the life story: Personological inquiries into identity. New York, NY: Guilford Press.
  • McAdams, D. P., & Cox, K. S. (2010). Self and identity across the life span. In M. E. Lamb & A. M. Freund (Eds.), The handbook of life-span development: Vol. 2.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pp. 158–207). New York, NY: Wiley.
  • McAdams, D. P., Diamond, A., de St. Aubin, E., & Mansfield, E. D. (1997). Stories of commitment: The psychosocial construction of generative liv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2, 678–694.
  • McAdams, D. P., Reynolds, J., Lewis, M., Patten, A., & Bowman, P. J. (2001). When bad things turn good and good things turn bad: Sequences of redemption and contamination in life narrative, and their relation to psychosocial adaptation in midlife adults and in student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7, 472–483.
  • McLean, K. C., & Fournier, M. A. (2008). The content and process of autobiographical reasoning in narrative identity.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2, 527–545.
  • McLean, K. C., Pasupathi, M., & Pals, J. L. (2007). Selves creating stories creating selves: A process model of self-development.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11, 262–278.
  • Mead, G. H. (1934). Mind, self, and society.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Roberts, B. W., Wood, D., & Caspi, A. (2008).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traits in adulthood. In O. P. John, R. W. Robins, & L. A. Pervin (Eds.),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research (3rd ed., pp. 375–398). New York, NY: Guilford Press.
  • Robins, R. W., Tracy, J. L., & Trzesniewski, K. H. (2008). Naturalizing the self. In O. P. John, R. W. Robins, & L. A. Pervin (Eds.),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research (3rd ed., pp. 421–447). New York, NY: Guilford Press.
  • Rochat, P. (2003). Five levels of self-awareness as they unfold early in life. Consciousness and Cognition, 12, 717–731.
  • Sameroff, A. J., & Haith, M. M. (Eds.), (1996). The five to seven year shift.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Tangney, J. P., Stuewig, J., & Mashek, D. J. (2007). Moral emotions and moral behavior. In S. Fiske and D. Schacter (Ed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 58, pp. 345–372). Palo Alto, CA: Annual Reviews, Inc.
  • Taylor, C. (1989). Sources of the self: The making of the modern identit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 Thomsen, D. K., & Bernsten, D. (2008). The cultural life script and life story chapters contribute to the reminiscence bump. Memory, 16, 420–435.
  • Walker, L. J., & Frimer, J. A. (2007). Moral personality of brave and caring exempla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3, 845–860.
  • Wellman, H. M. (1993). Early understanding of mind: The normal case. In S. Baron-Cohen, H. Tager-Flusberg, & D. J. Cohen (Eds.), Understanding other minds: Perspectives from autism (pp. 10–39).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 Wilson, E. O. (2012). The social conquest of earth. New York, NY: Liveright.
  • Woodward, A. (2009). Infants’ grasp of others’ intentions.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8, 53–57.

Authors

  • Dan P. McAdams
    Dan P. McAdams is the Henry Wade Rogers Professor of Psychology and Human Development at Northwestern University, and the Director of the Foley Center for the Study of Lives.  He is the 2012 winner of the Jack Block Award for distinguished contributions to personality psychology, and the 2006 winner of the William James Award for his book, THE REDEMPTIVE SELF:  STORIES AMERICANS LIVE BY. 

Creative Commons License

Creative CommonsAttributionNon-CommericalShare-AlikeSelf and Identity by Dan P. McAdams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4.0 International License. Permissions beyond the scope of this license may be available in our Licensing Agreement.

How to cite this Noba module using APA Style

McAdams, D. P. (2023). Self and identity. In R. Biswas-Diener & E. Diener (Eds), Noba textbook series: Psychology. Champaign, IL: DEF publishers. Retrieved from http://noba.to/3gsuardw

This article was updated on 7월 3, 2023

심리학을 공부하기 위해 noba project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도전을 시작했습니다. 번역에 DeepL과 GPT-4를 적극적으로 활용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