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 심리학 연구 방법(Research Methods in Developmental Psychology)

발달 심리학 연구 방법

By and

University of Calfornia, Irvine

유아는 자신이 살고 있는 세상에 대해 무엇을 알고 있으며, 나이가 들면서 어떻게 성장하고 변화할까요? 발달 과학자들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 있습니다. 이 모듈에서는 영유아의 심리 현상을 연구하는 데 사용되는 다양한 연구 기법, 연령에 따른 발달 변화를 조사하는 데 사용되는 연구 설계, 영유아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할 때 발생하는 고유한 과제와 특수한 문제에 대해 설명합니다. 아동 발달은 매혹적인 연구 분야이며, 미래 세대의 발달 과학자들이 연구해야 할 흥미로운 질문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 여러분도 그 중 하나가 될 수 있을 거예요!

학습 목표

  • Describe different research methods used to study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 Discuss different research designs, as well as their strengths and limitations
  • Report on the unique challenges associated with conducting developmental research
  • 영유아 발달을 연구하는 데 사용되는 다양한 연구 방법을 설명합니다.
    다양한 연구 설계와 그 강점 및 한계에 대해 토론합니다.
    발달 연구 수행과 관련된 고유한 과제에 대해 보고합니다.

소개

한 무리의 아이들이 마당에서 숨바꼭질을 하고 있었어요. 필라르는 여섯 살짜리 사촌 루카스가 "... 여섯, 일곱, 여덟, 아홉, 열!"이라고 큰 소리로 세는 동안 숨은 장소로 달려갔습니다. 준비됐든 안 됐든, 내가 간다!". 필라르는 루카스가 조금 전에 여동생을 발견했던 바로 그 위치에서 그녀를 찾으러 달려오자 작은 낄낄거림을 내뱉었습니다. 언뜻 보기에는 필라가 왜 다른 사람이 방금 발견된 바로 그 장소에 숨었을까요? 나이가 많은 아이들과 어른들은 이전에 수색되지 않은 장소에 숨는 것이 가장 좋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어린 아이들은 이와 같은 인지적 정교함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능력은 언제 처음 발달할까요?

A young girl smiles as she peeks out from a hiding place.
Children's games are more than just fun. They can be opportunities for researchers to learn about how children think, feel, and behave. [Image: gomattolson, https://goo.gl/kajAEn, CC BY-NC-SA 2.0, https://goo.gl/i6LJ8m]

발달 심리학자들은 연구 대상 영유아의 특정 능력에 맞는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이와 같은 질문을 조사합니다. 중요한 것은 발달 심리학 연구는 단순히 숨바꼭질 게임에서 아이들의 행동을 조사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발달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육아, 교육 및 정책의 모범 사례를 알리는 데 사용되어 왔습니다.

이 모듈에서는 영유아의 심리 현상을 연구하는 데 사용되는 다양한 연구 기법, 연령과 관련된 발달 과정의 변화와 시간에 따른 변화를 조사하는 데 사용되는 연구 설계, 영유아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할 때 발생하는 고유한 과제와 특수한 문제에 대해 설명합니다.

연구 방법

영유아, 특히 어린 아동은 성인 대상 연구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영유아 발달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여러 가지 창의적인 방법을 개발해 왔습니다. 이 섹션에서는 영유아 및 아동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이 사용해 온 몇 가지 방법을 비자발적 또는 의무적 반응, 자발적 반응, 심리생리학적 반응의 세 가지 범주로 구분하여 살펴봅니다. 또한 설문조사 및 설문지 사용과 같은 다른 방법도 논의할 것입니다. 이 섹션의 마지막에는 영유아나 아주 어린 아이에게는 사용할 수 없는 방법인 인터뷰 기법을 사용하여 나이가 많은 어린이와 성인의 신념과 인식을 연구하는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합니다.

비자발적 또는 의무적 응답

아주 어린 영아를 연구할 때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는 운동 조절 능력이 제한되어 있어 짧은 시간 동안 고개를 들고 있을 수 없고, 흥미로운 장난감을 잡거나 피아노를 치거나 문고리를 돌리는 것도 어렵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유아는 나이가 많은 어린이나 성인과 같은 방식으로 환경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발달 과학자들은 비자발적 또는 의무적 반응을 평가하는 연구 방법을 고안했습니다. 이러한 반응은 사람들이 의식적인 생각이나 노력 없이 참여하는 행동입니다. 예를 들어, 파티에서 마지막으로 자신의 이름을 들었을 때를 생각해 보세요. 아마도 아무 생각 없이 고개를 돌려 누가 말하는지 확인했을 것입니다. 영유아는 또한 환경의 자극에 대해 비자발적인 반응을 보입니다. 예를 들어, 영아는 엄마의 목소리를 들으면 심박수가 증가하는 반면, 낯선 사람의 목소리를 들으면 심박수가 감소합니다(Kisilevsky 외., 2003). 연구자들은 유아가 주변 세계에 대해 무엇을 알고 있는지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비자발적 행동을 연구합니다.

An infant lies on its back with its eyes fixed on a nearby object.
Even when infants are so young that they have very little motor control, researchers can observe and record involuntary responses, such as an infant's eye movements, to get valuable insight into what they understand about the world around them. [Image: Greg Kintz, https://goo.gl/mqD52S, CC BY-NC-SA, https://goo.gl/i6LJ8m]

비자발적 또는 의무적 반응을 활용하는 연구 방법 중 하나는 습관화라고 알려진 절차입니다. 습관화 연구에서는 유아가 지루해할 때까지 얼굴 사진과 같은 자극을 반복해서 제시합니다. 영아는 지루해지면 사진에서 눈을 돌립니다. 그런 다음 다른 얼굴 사진과 같은 새로운 사진을 보여주면 유아는 다시 관심을 갖고 새로운 사진을 보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디시습관화라고 합니다. 유아는 일반적으로 익숙한 것에 비해 새로운 자극을 더 오래 바라보기 때문에 습관화 절차가 효과적입니다. 이 연구 기법은 유아가 지속적으로 주변을 둘러보고 환경을 관찰하기 때문에 비자발적 또는 의무적 반응을 활용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세상과 소통하도록 가르칠 필요가 없습니다.

고전적인 습관화 연구 중 하나는 Baillargeon과 동료들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1985). 이 연구자들은 대상 영속성, 즉 사물이 보이거나 들리지 않더라도 존재한다는 개념에 관심을 가졌습니다. 예를 들어 칫솔을 지금 당장 볼 수는 없지만 칫솔이 존재한다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생후 5개월 유아의 사물 영속성을 조사하기 위해 연구진은 기대 위반 패러다임을 사용했습니다. 연구진은 먼저 영아에게 도개교처럼 앞뒤로 움직이는 불투명한 화면을 습관화했습니다(이전 단락에서 방금 배운 것과 동일한 절차 사용). 유아가 움직이는 화면에 지루함을 느끼면 물리적 사건에 대한 이해를 테스트하기 위해 두 가지 다른 시나리오를 보여주었습니다. 이 두 가지 테스트 시나리오에서는 움직이는 화면 뒤에 불투명한 상자를 배치했습니다. 그러나 이 두 시나리오의 차이점은 두 개의 단단한 물체가 동시에 같은 공간을 차지할 수 없다는 솔리디티 원칙을 확인하거나 위반하는지에 있었습니다. 가능한 시나리오에서 유아들은 움직이는 도개교가 불투명한 상자에 부딪히면 멈추는 것을 지켜보았습니다(견고성 원칙에 따라 예상되는 결과). 불가능한 시나리오에서는 도개교가 불투명 상자가 차지하고 있는 공간을 통과하여 바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이 불가능한 시나리오는 마치 의자에서 일어나 벽을 뚫고 걸어가면 반대편에 다시 나타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견고성 원리를 위반하는 것입니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유아들은 가능한 테스트 이벤트보다 불가능한 테스트 이벤트를 더 오래 바라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저자들은 유아들이 두 개의 고체가 서로 움직일 수 없다는 예상에 어긋나는 실험에 놀랐기 때문에 이런 반응을 보인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5개월 된 유아는 상자가 보이지 않더라도 상자가 계속 존재한다는 것을 이해했습니다. 후속 연구에 따르면 생후 3개월 반 및 4개월 반 영아도 유사한 테스트 조건에서 물체 영속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Baillargeon, 1987). 이러한 결과는 영아가 자발적 반응을 조사한 연구에서 이전에 보고된 것보다 훨씬 일찍 물체의 영속성을 이해한다는 것을 시사하기 때문에 주목할 만합니다(Cashon & Cohen, 2000의 최근 연구 참조).

자발적 응답 

A woman inspects tomatoes as she puts them into a shopping bag.
Filling your basket at the supermarket is an example of a voluntary response behavior. The choices you make are under your control. [Image: Ikayama, https://goo.gl/SvGDCz, CC BY-NC-SA 2.0, https://goo.gl/i6LJ8m]

영유아의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연구자들은 자발적 반응을 통해 세상에 대한 이해를 연구할 수 있는 방법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습니다. 자발적 반응은 개인의 선택에 의해 완성되는 행동입니다. 예를 들어, 식료품점에 갈 때 장바구니를 사용할지 장바구니를 사용할지 선택하고, 매장의 어느 구역을 지나갈지 결정하고, 장보기 목록을 고수할지 과시할지 선택하는 등의 행동을 생각해 보세요. 중요한 것은 이러한 행동이 전적으로 사용자에게 달려 있으며 사용자가 통제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장보기를 많이 하지는 않지만 영유아도 자신의 행동을 자발적으로 통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들은 어떤 장난감을 가지고 놀지 선택합니다.

연구자들은 영유아의 자발적 반응을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합니다. 예를 들어 발달 과학자들은 영유아의 자발적 반응을 살펴봄으로써 영유아의 회상 기억을 연구합니다. 회상 기억이란 어제 오후에 무엇을 했는지, 지난 생일에 무엇을 했는지 등 과거의 사건이나 에피소드를 기억하는 것을 말합니다. 나이가 많은 어린이와 성인은 단순히 과거 경험에 대해 이야기하도록 요청받는 반면, 언어를 사용하여 과거에 대해 이야기할 수 없는 영유아의 경우 회상 기억을 다른 방식으로 연구해야 합니다. 이러한 대상의 기억을 연구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유도 모방(유도 모방)이라는 행동적 방법을 사용합니다(Lukowski & Milojevich, 논문 발표 중).

유도 모방 절차에서 유아는 실험실에서 유아가 일반적으로 집에서 가지고 있는 장난감과는 다르게 설계된 장난감을 가지고 놀게 됩니다. 이러한 장난감(또는 연구자들이 이벤트 시퀀스라고 부르는)을 특정 방식으로 조합하여 유아가 일반적으로 즐기는 결과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벤트 중 하나가 '서프라이즈 찾기'입니다. 그림 1에서 볼 수 있듯이 이 장난감의 앞면에는 걸쇠로 고정된 문이 있고 안쪽에는 작은 플라스틱 피겨가 숨겨져 있습니다. 연구의 첫 번째 부분에서 유아는 몇 분 동안 원하는 방식으로 장난감을 가지고 놀게 됩니다. 그런 다음 연구자가 유아에게 (1) 걸쇠를 젖혀서 장난감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보여주고 (2) 문을 열어 내부의 플라스틱 장난감을 드러냅니다. 유아는 시연이 끝난 후 즉시 또는 조금 더 기다린 후 장난감을 다시 가지고 놀 수 있습니다. 유아가 놀이를 하는 동안 연구자는 유아가 시연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여 깜짝 선물을 찾는지 여부를 기록합니다.

The two-step event sequence Find the Surprise. The picture on the left shows all of the toys needed to complete the event. The picture in the middle shows a hand flipping the latch out of the way so the door can be opened (step 1). The picture on the right shows a hand opening the door, ultimately revealing a plastic figurine hidden inside (step 2).
Figure 1. The two-step event sequence Find the Surprise. The picture on the left shows all of the toys needed to complete the event. The picture in the middle shows a hand flipping the latch out of the way so the door can be opened (step 1). The picture on the right shows a hand opening the door, ultimately revealing a plastic figurine hidden inside (step 2). These images are from a larger figure initially published in Lukowski and Milojevich (2013) (reprinted with permission).

유도 모방 절차의 사용은 발달 과학자들에게 회상 기억이 어떻게 발달하는지에 대해 많은 것을 가르쳐주었습니다. 예를 들어, 생후 6개월 영아는 3단계 시퀀스의 한 단계를 24시간 동안 기억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Barr, Dowden, & Hayne, 1996; Collie & Hayne, 1999). 9개월 영아는 2단계 이벤트 시퀀스를 구성하는 개별 단계를 1개월 동안 기억하지만, 50%의 영아만이 시퀀스의 첫 번째 단계를 두 번째 단계보다 먼저 수행한 것을 기억합니다(Bauer, Wiebe, Carver, Waters, & Nelson, 2003; Bauer, Wiebe, Waters, & Bangston, 2001; Carver & Bauer, 1999). 생후 20개월이 되면 4단계 사건의 개별 단계와 시간적 순서를 최소 12개월 동안 기억하는데, 이는 지금까지 테스트된 것 중 가장 긴 지연 시간입니다(Bauer, Wenner, Dropik, & Wewerka, 2000).

정신 생리학

행동 연구는 영유아가 세상에 대해 무엇을 알고 있는지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알려주었습니다. 하지만 행동에 대한 연구만으로는 뇌 발달이나 생물학적 변화가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또는 영향을 받는지) 과학자들이 알 수 없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연구자들은 심박수, 호르몬 수치 또는 뇌 활동 측정과 같은 정신생리학적 데이터를 기록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측정값은 생물학과 행동 간의 양방향 관계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단독으로 또는 행동 데이터와 함께 기록될 수 있습니다.

An infant wears an EEG cap.
Special equipment has been developed to allow researchers to record the brain activity of very young and very small research subjects. [Image: Matt Cain, https://goo.gl/XIAIOe, CC BY-NC-SA 2.0, https://goo.gl/i6LJ8m]

두뇌 발달과 행동 발달 사이의 연관성을 이해하는 한 가지 방법은 사건 관련 잠재력(ERP)을 기록하는 것입니다. ERP는 연구 참여자에게 여러 개의 작은 센서 또는 전극이 들어 있는 신축성 있는 모자를 씌워 기록합니다. 이 전극은 그림이나 소리와 같은 특정 자극을 제시하면 이에 반응하여 참가자의 두피에 미세한 전류를 기록합니다(영유아의 ERP 기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DeBoer, Scott, & Nelson, 2005 참조). 녹음된 반응은 특수 장비를 사용하여 수천 배 증폭되어 봉우리와 계곡이 있는 구불구불한 선처럼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뇌 반응 중 일부는 심리적 현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구자들은 기록된 파형에서 N170이라고 부르는 음의 피크를 확인했습니다(Bentin, Allison, Puce, Perez, & McCarthy, 2010). 이 피크는 음수(따라서 N)이고 자극이 제시된 후 약 140밀리초에서 170밀리초 사이에 발생하기 때문에(따라서 170밀리초) 이런 식으로 명명되었습니다. 이 피크는 참가자에게 사물 사진보다 얼굴 사진을 제시할 때 일반적으로 더 부정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얼굴의 제시 여부에 특히 민감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연구자들은 실제 사고 및 행동과 관련된 뇌 활동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ERP의 사용은 영유아가 주변 세계를 이해하는 방식에 대한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했습니다. 한 연구(Webb, Dawson, Bernier, & Panagiotides, 2006)에서 연구자들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 발달 지연 아동, 정상 발달 아동의 얼굴 및 사물 처리 능력을 조사했습니다. 아이들은 전극 모자를 쓰고 얼굴(어머니 또는 낯선 사람의 얼굴)과 물체(친숙하거나 낯선 물체 포함)의 정지 사진을 보면서 뇌 활동을 기록했습니다. 연구진은 prN170이라고 부르는 뇌파의 구성 요소를 관찰하여 그룹별 얼굴 및 사물 처리의 차이를 조사했습니다(이 뇌파는 성인 N170의 전구체로 여겨지기 때문에). 연구 결과, 일반적으로 발달 중인 아동에게 얼굴이나 사물을 제시했을 때 prN170 피크의 높이(일반적으로 진폭이라고 함)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자폐 아동을 고려할 때는 얼굴을 보여줄 때보다 물체를 보여줄 때 피크가 더 높았습니다. 뇌가 음의 최고점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일반적으로 반응의 지연 시간이라고 함)에서도 차이가 발견되었습니다. 일반적인 발달 아동의 경우 사물에 비해 얼굴을 제시했을 때 피크에 더 빨리 도달하는 반면, 자폐 아동의 경우 그 반대의 결과가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자폐 아동이 일반 아동(그리고 원고에 보고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발달 지연이 있는 아동)과는 어떤 방식으로든 얼굴을 다르게 처리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학부모 보고 설문지 

A mother and infant lie together on the grass.
Parents spend countless hours together with children observing their behavior. Developmental psychologists sometimes use surveys to collect information from parents that can be used to answer important research questions. [Image: JerryLai0208, https://goo.gl/ICw3Tb, CC BY-NC-SA 2.0, https://goo.gl/i6LJ8m]

발달 과학은 행동과 심리 생리학을 통해 영유아 발달의 다양한 측면을 평가하는 데 큰 발전을 이루었으며, 매일 새로운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어린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의 발달에 대해 제공할 수 있는 정보가 매우 제한적입니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영유아를 가장 잘 아는 사람(일반적으로 부모나 보호자)에게 영유아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설문조사나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요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부모 보고 데이터는 단독으로 또는 수집된 행동 또는 심리 생리학 데이터와 함께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모 보고 설문지 중 하나는 아동 행동 체크리스트(CBCL; Achenbach & Rescorla, 2000)입니다. 부모는 아동의 강점, 행동 문제, 장애 등에 관한 질문에 답함으로써 이 미취학 아동용 설문지를 작성합니다. 부모가 제공한 답변은 아동에게 수면 장애, 공격적인 행동, 우울증 또는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 문제와 같은 행동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임신 중 어머니가 경험한 스트레스 수준과 관련하여 미취학 아동의 기능을 조사하기 위해 CBCL-Preschool 설문지(Achenbach & Rescorla, 2000)를 사용했습니다(Ronald, Pennell, & Whitehouse, 2011). 약 3,000명의 임산부가 임신 기간 동안 연구에 참여하여 스트레스가 많은 생활 경험에 대해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나중에 자녀가 2세가 되었을 때 어머니들은 CBCL-Preschool 설문지를 작성했습니다. 연구 결과, 임신 중 산모의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예: 이혼 또는 새 집으로 이사) 2년 후 자녀의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 문제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태아기 발달 과정에서 경험한 스트레스가 몇 년 후 아동의 행동 기능 문제와 관련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하지만,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인터뷰 기법 

영유아와 아주 어린 아이들은 자신의 생각과 행동에 대해 이야기할 수 없지만, 나이가 많은 어린이와 성인은 일반적으로 언어를 사용하여 자신의 생각과 세상에 대한 지식을 이야기합니다. 실제로 이러한 언어적 보고 패러다임은 심리학 연구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예를 들어, 연구자가 어린이에게 도덕적 딜레마를 설명하는 그림이나 짧은 이야기를 제시하면 어린이는 자신의 생각과 신념을 말하도록 요청받을 수 있습니다(Walrath, 2011). 예를 들어, 어린이는 다음과 같은 반응을 보일 수 있습니다:

"코훗 씨의 아내는 아픈데 약 하나만 있으면 목숨을 구할 수 있어요. 그 약은 매우 비싸서 코훗 씨는 감당할 수 없어요. 약사는 약값을 낮추지 않을 것입니다. 코훗 씨는 어떻게 해야 하며,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어린이는 이러한 유형의 시나리오에 대해 서면 또는 구두로 답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약물 사용에 대한 태도, 잠들었을 때의 두려움 경험, 공공장소에서 길을 잃었던 기억 등 다양한 문제에 대해 자신의 관점을 제시할 수 있으며, 그 가능성은 무궁무진합니다. 인터뷰 및 설문조사와 같은 구두 보고서를 통해 어린이는 자신이 경험한 세상에 대해 설명할 수 있습니다.

연구 설계

이제 영유아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몇 가지 도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연구 방법은 정보를 수집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라는 점을 기억하세요. 하지만 연구 방법과 연구 설계를 혼동하기 쉽습니다. 연구 설계는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전략 또는 청사진입니다. 연구 설계는 어떤 방법을 어떻게 사용할지 결정합니다.

연구자는 일반적으로 영유아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할 때 두 가지 유형의 비교에 중점을 둡니다. 첫 번째 유형의 비교는 개인 내 변화를 조사하는 것입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유형의 분석은 특정 사람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는 방식(또는 동일하게 유지되는 방식)을 측정합니다. 예를 들어, 발달 과학자는 동일한 유아 그룹을 12개월, 18개월, 24개월에 연구하여 어휘와 문법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조사하는 데 관심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종류의 질문은 종단적 연구 설계를 사용하여 가장 잘 답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종류의 비교는 그룹 간의 변화에 초점을 맞춥니다. 이러한 유형의 분석에서 연구자들은 연령대가 다른 그룹 간의 평균적인 행동 변화를 연구합니다. 언어의 예로 돌아가서, 과학자는 12개월, 18개월, 24개월이 사용하는 어휘와 문법을 연구하여 언어 능력이 연령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조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종류의 질문은 단면 연구 설계를 사용하여 가장 잘 답할 수 있습니다. 

종단적 연구 설계

종단 연구 설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동일한 영유아의 행동을 조사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미취학 아동의 숨바꼭질 행동에 대한 예를 고려할 때, 연구자는 2세 아동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잘 숨는 아이로 성장하는지 조사하기 위해 종단 연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2세 어린이 그룹이 숨바꼭질을 하는 모습을 관찰한 후 4세가 되었을 때 다시 관찰하고 6세가 되었을 때 다시 관찰할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이 연구는 연구자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동일한 어린이를 연구할 계획이기 때문에 종단적 성격이 강합니다. 연구자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2세 아동은 나이가 들면서 숨는 능력이 더 성숙해진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연구자들이 숨바꼭질과 같은 게임을 조사하는 이유는 게임 자체에 관심이 있기 때문이 아니라 다양한 연령대의 아이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지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기 때문이라는 점을 기억하세요.

Chart of a longitudinal research design. Child "A" is first observed in 2004 at the age of two. Child "A' is next observed in 2006 at age four. The next observation is in 2008 when Child "A" is six. Finally, in 2010 at the age of eight Child "A" is observed again.
Example of longitudinal research design

종단 연구는 단기간(Wiebe, Lukowski, & Bauer, 2010)에 걸쳐 수행될 수도 있고, 훨씬 더 긴 기간(Lukowski et al., 2010)에 걸쳐 수행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종단적 연구 설계는 시간에 따른 안정성과 변화를 연구하는 데 최적입니다. 하지만 종단 연구에도 한계가 있습니다. 첫째, 종단 연구는 연구자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참가자와 지속적으로 연락을 유지해야 하고, 과학자들이 장기간(Lukowski 외., 2010에서 참가자가 유아기부터 19세가 될 때까지)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자금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듭니다. 또 다른 위험은 소모입니다. 소모는 참가자가 연구의 모든 부분을 완료하지 못할 때 발생합니다. 참가자가 이사를 가거나 전화번호를 변경하거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참여에 흥미를 잃을 수 있습니다. 연구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부 참가자가 중도 탈락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초기에 더 많은 표본을 연구에 등록하여 소모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종단 연구의 결과는 반복적인 평가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일주일 동안 매일 똑같은 시험을 치른다면 수학 시험을 얼마나 잘 볼 수 있을지 생각해 보세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적이 향상되는 것은 수학 능력이 향상되었기 때문이 아니라 동일한 수학 문제를 지속적으로 연습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연습 효과라고 합니다. 연습 효과는 참가자가 자연스러운 심리적 발달이 아니라 반복해서 과제를 수행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과제를 더 잘하게 될 때 발생합니다. 종단 연구의 마지막 한계는 결과가 코호트 효과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코호트 효과는 연구 결과가 참가자가 검사를 받은 역사적 시간의 특정 시점에 의해 영향을 받을 때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Facebook이 설립된 2004년 2월 이후 어린 시절의 또래 관계가 어떻게 변화했을지 생각해 보세요. 코호트 효과는 종단 연구에서 문제가 될 수 있는데, 한 시점에 한 그룹의 참가자만 조사하기 때문에 같은 연령대의 참가자가 역사적 시간의 다른 시점에 조사를 받았다면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단면 디자인 

횡단면 연구 설계는 같은 시점에 테스트를 받는 다양한 연령대의 참가자의 행동을 조사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어린이들의 숨바꼭질 행동을 예로 들면, 연구자는 나이가 많은 어린이가 어린 어린이에 비해 새로운 장소(같은 게임에서 다른 어린이가 이전에 숨어본 적이 없는 장소)에 더 자주 숨는지 조사하고 싶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연구자는 2세, 4세, 6세 어린이가 게임을 플레이하는 동안 관찰할 수 있습니다(다양한 연령대가 '단면'을 나타냅니다). 연구자는 동일한 연구 내에서 다양한 연령대의 어린이들의 행동을 동시에 조사할 계획이므로 이 연구는 본질적으로 횡단면 연구입니다. 연구자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2세 어린이가 6세 어린이에 비해 이전에 검색한 위치에 더 자주 숨는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A chart shows an example of a cross-sectional design. The year is 2004 and three separate cohorts are included in a study. Participants in Cohort "A" are two tears old. Participants in Cohort "B" are six years old. Participants in Cohort "C" are eight years old.
Example of cross-sectional research design

단면 디자인은 여러 가지 이유로 유용합니다. 다양한 연령대의 참가자가 같은 시점에 테스트를 받기 때문에 데이터 수집이 빠른 속도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또한 참가자는 한 시점에서만 테스트를 받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과제를 더 잘할 수 있는 기회가 없는 연습 효과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또한 횡단면 디자인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참가자와 연락을 유지하고 후속 조치를 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종단면 연구 디자인보다 비용 효율적입니다.

그러나 횡단적 연구의 주요 한계 중 하나는 연구 결과가 발달 자체가 아니라 연령과 관련된 변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입니다. 즉, 위에서 설명한 연구에서는 6세 아동이 2세 아동보다 숨기는 행동이 더 발달했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지만, 이러한 결론을 도출하는 데 사용된 데이터는 서로 다른 아동으로부터 수집된 것입니다. 예를 들어, 이 특정 표본의 6세 어린이가 우연히 숨바꼭질에 특히 영리했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연구자는 2세 아동이 나이가 들면서 더 잘 숨는다고 결론을 내릴 수 없으며, 평균적으로 6세 아동이 4세 아동에 비해 더 정교하게 숨는다고 말할 수 있을 뿐입니다.

순차적 연구 설계

순차적 연구 설계에는 종단적 연구 설계와 횡단적 연구 설계의 요소가 모두 포함됩니다. 종단적 설계와 마찬가지로 순차적 연구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참가자를 추적하는 것이 특징이며, 횡단적 설계와 마찬가지로 순차적 연구에는 다양한 연령대의 참가자가 포함됩니다. 이 연구 설계는 연령과 관련된 변화, 연령에 따른 동일한 개인 내 발달을 조사하고 코호트 효과의 가능성을 고려하기 위해 다양한 연령의 아동을 다양한 시점에 연구에 등록한다는 점에서 앞서 논의한 연구 설계와도 구별됩니다.

숨바꼭질 행동의 예를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겠습니다. 순차적 설계를 사용하는 연구에서 연구자는 세 개의 개별 아동 그룹(그룹 A, B, C)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A 그룹에 속한 아동은 2세 때 등록하고 4세와 6세에 다시 테스트를 받게 됩니다(앞서 설명한 종단 연구와 유사한 설계). 그룹 B에 속한 아동은 4세에 등록하고 6세와 8세에 다시 검사를 받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C 그룹에 속한 어린이는 6세에 등록하고 8세와 10세에 다시 검사를 받게 됩니다.

A chart of a sequential design: The study begins in 2002 with Cohort "A" who are two years old. The study continues in 2004. Cohort "A" are now fours years old. They are joined in the study by Cohort "B" who are two years old. The final year of the study is 2006. Cohort "A" is six years old, Cohort "B" is four years old, and third cohort is added, Cohort "C" who are two years old.
Example of sequential research design

순차적 설계를 사용한 연구는 종단적 비교와 횡단적 비교가 모두 가능하기 때문에 강력합니다. 또한 이 연구 설계는 코호트 효과를 조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구자는 6세 아동의 숨바꼭질 행동을 그룹 A, B, C로 나누어 참가자의 연령이 같을 때 그룹별로 수행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행 능력의 차이가 발견되면 코호트 효과의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 숨바꼭질의 예에서, 이는 서로 다른 시기의 아이들이 낄낄거리는 정도나 숨은 사람을 찾기 위해 기다리는 인내심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순차적 설계는 연구자가 비교적 짧은 시간에 발달에 대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는 점에서도 매력적입니다. 앞의 예에서 4년간의 연구는 2세부터 10세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아동을 등록하여 8년간의 발달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종단 및 횡단 설계의 요소를 포함하기 때문에 순차적 연구에는 이러한 다른 접근 방식과 동일한 강점과 한계가 많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순차적 연구는 종단적 연구보다는 시간과 노력이 덜 들지만 횡단적 연구보다는 시간과 노력이 더 많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참가자에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동일한 과제나 평가를 완료하도록 요청하는 경우 연습 효과가 문제가 될 수 있지만, 참가자가 오랜 기간 연구에 참여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종단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경험하는 것보다 소진이 덜 문제될 수 있습니다.

연구에 사용할 최상의 연구 디자인을 고려할 때 과학자들은 주요 연구 질문과 답을 도출하는 가장 좋은 방법을 생각합니다. 여기에 설명된 각 연구 설계에 대한 장단점 표는 이러한 다양한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어떤 종류의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가장 좋을지 고려할 때 도움이 될 것입니다.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different research designs are summarized from the text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different research designs

발달 연구 수행과 관련된 과제

이전 섹션에서는 영유아기의 발달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 도구와 연구 설계를 사용하여 연령에 따른 변화와 발달을 추적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발달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는 고유한 어려움이 따른다는 점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이 모듈의 마지막 섹션에서는 가장 어린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할 때 직면하는 몇 가지 주요 문제를 검토합니다. 특히 윤리적 문제, 모집 문제, 참여자 이탈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합니다.

윤리적 문제 

심리학을 전공하는 학생이라면 대학, 병원 및 기타 기관에서 수행되는 모든 연구 프로젝트에 대해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가 검토하고 승인한다는 사실을 이미 알고 계실 것입니다. IRB는 일반적으로 연구 제안서를 읽고 평가하는 전문가들로 구성된 패널입니다. IRB 위원은 제안된 연구가 윤리적으로 수행되고 연구의 잠재적 이익이 참여자의 위험과 피해보다 큰지 확인하고자 합니다. 하지만 IRB는 일부 참가자 그룹이 다른 참가자 그룹보다 더 취약하거나 위험에 처해 있다고 간주한다는 사실을 모를 수도 있습니다. 대학생은 일반적으로 취약하거나 위험에 처한 것으로 간주되지 않지만, 영유아는 일반적으로 이 범주에 속합니다. 영유아가 성인보다 연구 과정에서 더 취약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영유아가 고위험군으로 인식되는 이유 중 하나는 영유아의 인지 능력이 제한되어 있어 연구 참여 의사를 밝히거나 연구자에게 연구 중도 탈락을 원할 때 이를 알릴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영유아는 연구 과정에 참여할 때 특별한 편의가 필요합니다.

발달 연구에서의 특별 편의 제공에 대해 생각할 때는 사전 동의 절차를 고려하세요. 심리학 연구에 참여해 본 적이 있다면, 성인이 연구에 대해 알게 된 후 일반적으로 사전 동의서(연구 참여에 동의한다는 내용의 계약서)에 서명한다는 사실을 자신의 경험을 통해 알고 있을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참가자는 연구에 사용될 절차와 예상되는 위험 또는 혜택에 대해 설명을 듣게 됩니다. 영유아는 참여 의사를 구두로 표현할 수 없으며, 잠재적 위험과 혜택의 균형을 이해하기도 어렵습니다. 따라서 연구자는 아동 참여자의 부모 또는 법적 보호자(연구 진행 시 거의 항상 동석하는 성인)로부터 서면 동의서를 받아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아동은 약 7세가 되기 전까지는 연구에 참여할 것인지 여부(동의라고 하는 절차)를 전혀 묻지 않습니다. 또한 영유아는 연구 참여를 중단하고 싶은지 쉽게 알 수 없기 때문에 연구자는 참여자의 상태 변화(아이가 너무 피곤하거나 화가 나서 계속할 수 없는지 판단)와 부모의 욕구(경우에 따라 부모가 연구 참여를 중단하고 싶어 할 수 있음)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합니다. 성인 연구와 마찬가지로 연구자는 발달 과학을 수행할 때 항상 미성년자 참여자와 부모의 권리와 복지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채용 

발달 과학의 또 다른 과제는 참여자 모집입니다. 성인 연구에 참여할 대학생을 모집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쉽습니다. 많은 대학에서 연구 참여에 대한 추가 학점을 제공하며, 게시판이나 학교 신문 등을 통해 연구를 홍보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심리학 개론 과목에 공고를 내거나 캠퍼스에 광고를 게시하거나 Amazon Mechanical Turk와 같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서는 어린 아동을 모집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제한을 고려할 때, 연구자들은 어떻게 영유아를 연구에 참여시킬 수 있을까요?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다양합니다. 연구자는 무엇보다도 필요한 참여자 수와 사용 가능한 재정 자원을 고려해야 합니다. 위치 또한 중요한 고려 사항일 수 있습니다. 많은 수의 영유아가 필요한 연구자는 영유아가 거주하는 주, 카운티 또는 지방에서 영유아 출생 기록을 입수하여 이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이 정보를 무료로 공개적으로 제공하는 반면, 다른 지역에서는 출생 기록을 구매해야 합니다(일부 지역에서는 출생 기록을 모집 도구로 전혀 사용할 수 없을 수도 있습니다). 출생 기록을 구할 수 있는 경우, 연구자는 확보한 정보를 사용하여 가족에게 전화로 연락하거나 가능한 연구 기회를 설명하는 편지를 우편으로 보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모집 전략을 사용할 수 없다고 해서 모든 것이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연구자는 리크루트 에이전시에게 비용을 지불하여 가족에게 연락하고 모집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은 빠르고 효과적인 경향이 있지만 비용이 상당히 많이 들 수 있습니다. 보다 경제적인 모집 방법으로는 엄마랑 나랑 교실, 지역 쇼핑몰,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등 가족들이 자주 찾는 장소에 광고와 전단지를 게시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한 페이스북과 같은 온라인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여 적은 비용으로 모집 광고를 게시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다양한 모집 기법에는 각각 IRB의 승인이 필요합니다.

소모

A tired looking mother closes her eyes and rubs her forehead as her baby cries.
Participating in developmental research can sometimes be difficult for both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is can contribute to a higher attrition rate than is typical in other types of research. [Image: Tina Franklin, https://goo.gl/bN19Gm, CC BY 2.0, https://goo.gl/5YbMw6]

영유아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할 때 고려해야 할 또 다른 중요한 사항은 소멸입니다. 특히 종단 연구에서 소모는 매우 흔한 문제이지만,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성인 대상 연구보다 소모율이 높은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발달 과학에서도 일반적으로 문제가 됩니다. 예를 들어, 영유아는 어둡고 조용한 방에서 컴퓨터 화면의 정지 사진을 보기 전에 가만히 앉아서 머리에 젖은 모자를 쓰고 있어야 하는 등, ERP 연구에서 높은 소실률은 종종 작업의 요구 사항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다른 경우에는 동기 부여(또는 동기 부여의 부족) 때문일 수 있습니다. 성인은 돈이나 추가 학점을 받기 위해 연구에 참여하려는 동기가 있을 수 있지만, 영유아는 쉽게 유혹을 받지 않습니다. 또한 영유아는 성인에 비해 쉽게 지치고 까다로워지며 연구 절차에 흥미를 잃을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연구 조사는 가능한 한 짧게 설계해야 하며, 한 번의 긴 연구실 방문에 모든 과제를 몰아넣는 것보다 큰 연구를 여러 개의 짧은 세션으로 나누는 것이 더 좋습니다. 또한 연구자는 연구 프로토콜에 휴식 시간을 두어 유아가 필요에 따라 휴식을 취하거나 간식을 먹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행복하고 편안한 참여자가 최고의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결론

아동 발달은 흥미로운 연구 분야이지만, 연구자가 영유아 행동을 조사할 때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고, 올바른 실험 설계를 사용하여 질문에 답하며, 발달 연구의 일부이자 특별한 과제를 인식할 수 있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이 모듈을 읽은 후에는 이러한 다양한 문제를 확실히 이해하고 관심 있는 연구 질문에 대해 보다 비판적으로 생각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미취학 아동의 숨바꼭질 행동에 대한 첫 번째 예를 고려할 때, 아동의 숨바꼭질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은 무엇인지 질문할 수 있습니다. 형제가 있는 어린이는 형제가 없는 어린이보다 이전에 자주 찾지 않던 장소에 숨는 경우가 있나요? 숨는 기술 발달과 관련된 다른 능력은 무엇인가요? 미취학 아동일 때 더 정교한 숨기기를 사용하는 아동이 고등학교에 진학했을 때 다른 인지 기능 테스트에서 더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나요? 미래 세대의 발달 과학자들이 조사해야 할 흥미로운 질문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어쩌면 다음 세대의 큰 발견 중 하나가 이루어질지도 모릅니다!

Outside Resources

Sample Child Behavior Checklist for Ages 6-18
https://aseba.org/wp-content/uploads/2019/02/schoolagecbcl.pdf
Video: A 3 and a half minute video depicting the violation of expectation paradigm.
Video: A popular TED talk by Dr. Laura Schulz on the topic of how babies make decisions.
Video: A popular TED talk by Dr. Patricia Kuhl on the topic of how babies learn language.
Video: A two and a half minute video showing how ERP (brain activity) can be measured with children in the laboratory.
Web: A link to Angela Lukowski’s research laboratory. The site includes descriptions of the research and researchers as well as a list of publications.
http://memorydevelopment.soceco.uci.edu/
Web: The International Congress on Infant Studies - a professional society focused on infant research
http://www.infantstudies.org/
Web: The Society for Research on Adolescence - a professional society focused on research on adolescence
http://www.s-r-a.org/
Web: The Society for Research on Child Development - a professional society focused on child development research
http://www.srcd.org/

Discussion Questions

  1. Why is it important to conduct research on infants and children?
  2. What are some possible benefits and limitations of the various research methods discussed in this module?
  3. Why is it important to examine cohort effects in developmental research?
  4. Think about additional challenges or unique issues that might be experienced by developmental scientists. How would they handle the challenges and issues you’ve addressed?
  5. Work with your peers to design a study to identify whether children who were good hiders as preschoolers are more cognitively advanced in high school. What research design would you use and why? What are the 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the design you selected?

Vocabulary

Assent
When minor participants are asked to indicate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a study. This is usually obtained from participants who are at least 7 years old, in addition to parent or guardian consent.
Attrition
When a participant drops out, or fails to complete, all parts of a study.
Bidirectional relations
When one variable is likely both cause and consequence of another variable.
Cohort effects
When research findings differ for participants of the same age tested at different points in historical time.
Cross-sectional research
A research design used to examine behavior in participants of different ages who are tested at the same point in time.
Dishabituation
When participants demonstrated increased attention (through looking or listening behavior) to a new stimulus after having been habituated to a different stimulus.
Elicited imitation
A behavioral method used to examine recall memory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recording of participant brain activity using a stretchy cap with small electrodes or sensors as participants engage in a particular task (commonly viewing photographs or listening to auditory stimuli).
Habituation
When participants demonstrated decreased attention (through looking or listening behavior) to repeatedly-presented stimuli.
The process of getting permission from adults for themselves and their children to take part in research.
Institutional Review Boards (IRBs)
A committee that reviews and approves research procedures involving human participants and animal subjects to ensure that the research i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federal, institutional, and ethical guidelines.
Interview techniques
A research method in which participants are asked to report on their experiences using language, commonly by engaging in conversation with a researcher (participants may also be asked to record their responses in writing).
Involuntary or obligatory responses
Behaviors in which individuals engage that do not require much conscious thought or effort.
Longitudinal research
A research design used to examine behavior in the same participants over short (months) or long (decades) periods of time.
Motor control
The use of thinking to direct muscles and limbs to perform a desired action.
Object permanence
The understanding that objects continue to exist even when they cannot be directly observed (e.g., that a pen continues to exist even when it is hidden under a piece of paper).
Practice effect
When participants get better at a task over time by “practicing” it through repeated assessments instead of due to actual developmental change (practice effects can be particularly problematic in longitudinal and sequential research designs).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Recording of biological measures (such as heart rate and hormone levels) and neurological responses (such as brain activity) that may be associated with observable behaviors.
Recall memory
The process of remembering discrete episodes or events from the past, including encoding, consolidation and storage, and retrieval.
Research design
The strategy (or “blueprint”) for deciding how to collect and analyze research information.
Research methods
The specific tools and techniques used by researchers to collect information.
Sequential research designs
A research design that includes elements of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research designs. Similar to cross-sectional designs, sequential research designs include participants of different ages within one study; similar to longitudinal designs, participants of different ages are followed over time.
Solidity principle
The idea that two solid masses should not be able to move through one another.
Verbal report paradigms
Research methods that require participants to report on their experiences, thoughts, feelings, etc., using language.
Vignette
A short story that presents a situation that participants are asked to respond to.
Violation of expectation paradigm
A research method in which infants are expected to respond in a particular way because one of two conditions violates or goes against what they should expect based on their everyday experiences (e.g., it violates our expectations that Wile E. Coyote runs off a cliff but does not immediately fall to the ground below).
Voluntary responses
Behaviors that a person has control over and completes by choice.

References

  • Achenbach, T. M., & Rescorla, L. A. (2000). Manual for the ASEBA preschool forms and profiles: An integrated system of multi-informant assessment.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Department of Psychiatry.
  • Baillargeon, R. (1987). Object permanence in 3½- and 4½-month-old infants. Developmental Psychology, 23, 655-664. doi: 10.1037/0012-1649.23.5.655
  • Baillargeon, R., Spelke, E., & Wasserman, S. (1985). Object permanence in five-month-old infants. Cognition, 20, 191-208. doi: 10.1016/0010-0277(85)90008-3
  • Barr, R., Dowden, A., & Hayne, H. (1996). Developmental changes in deferred imitation by 6- to 24-month-old infants.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19, 159-170. doi: 10.1016/s0163-6383(96)90015-6
  • Bauer, P. J., Wenner, J. A., Dropik, P. L., & Wewerka, S. S. (2000). Parameters of remembering and forgetting in the transition from infancy to early childhood.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65, 1-204. doi: 10.1016/j.imlet.2014.04.001
  • Bauer, P. J., Wiebe, S. A., Carver, L. J., Waters, J. M., & Nelson, C. A. (2003). Developments in long-term explicit memory late in the first year of life: Behavioral and electrophysiological indices. Psychological Science, 14, 629-635. doi: 10.1046/j.0956-7976.2003.psci_1476.x
  • Bauer, P. J., Wiebe, S. A., Waters, J. M., & Bangston, S. K. (2001). Reexposure breeds recall: Effects of experience on 9-month-olds’ ordered recall.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80, 174-200. doi: 10.1006/jecp.2000.2628
  • Bentin, S., Allison, T., Puce, A., Perez, E., & McCarthy, G. (2010). Electrophysiological studies of face perception in humans. 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 8, 551-565. doi: 10.1162/jocn.1996.8.6.551
  • Carver, L. J., & Bauer, P. J. (1999). When the event is more than the sum of its parts: 9-month-olds’ long-term ordered recall. Memory, 7, 147-174. doi: 10.1080/741944070
  • Cashon, C. H., & Cohen, L. B. (2000). Eight-month-old infants’ perception of possible and impossible events. Infancy, 1, 429-446. doi: 10.1016/s0163-6383(98)91561-2
  • Collie, R., & Hayne, H. (1999). Deferred imitation by 6- and 9-month-old infants: More evidence for declarative memory. Developmental Psychobiology, 35, 83-90. doi: 10.1002/(sici)1098-2302(199909)35:2<83::aid-dev1>3.0.co;2-s
  • DeBoer, T., Scott, L. S., & Nelson, C. A. (2005). ERPs in developmental populations. In T. C. Handy (Ed.), Event-related potentials: A methods handbook (pp. 263-297). Cambridge, MA: The MIT Press.
  • Lukowski, A. F., & Milojevich, H. M. (2016). Examining recall memory in infancy and early childhood using the elicited imitation paradigm. Journal of Visualized Experiments, 110, e53347.
  • Lukowski, A. F., Koss, M., Burden, M. J., Jonides, J., Nelson, C. A., Kaciroti, N., … Lozoff, B. (2010). Iron deficiency in infancy and neurocognitive functioning at 19 years: Evidence of long-term deficits in executive function and recognition memory. Nutritional Neuroscience, 13, 54-70. doi: 10.1179/147683010x12611460763689
  • Ronald, A., Pennell, C. E., & Whitehouse, A. J. O. (2011). Prenatal maternal stress associated with ADHD and autistic traits in early childhood. Frontiers in Psychology, 1, 1-8. doi: 10.3389/fpsyg.2010.00223
  • Walrath, R. (2011). Kohlberg’s theory of moral development. In Encyclopedia of Child Behavior and Development (pp. 859–860).
  • Webb, S. J., Dawson, G., Bernier, R., & Panagiotides, H. (2006). ERP evidence of atypical face processing in young children with autism.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6, 884-890. doi: 10.1007/s10803-006-0126-x
  • Wiebe, S. A., Lukowski, A. F., & Bauer, P. J. (2010). Sequence imitation and reaching measures of executive control: A longitudinal examination in the second year of life.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35, 522-538. doi: 10.1080/87565641.2010.494751

Authors

  • Angela Lukowski
    Angela Lukowski is an Assistant Professor of Psychology and Social Behavior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Irvine. Her research examines how early cognitive abilities are shaped by the social context in which children are raised. She is a previous recipient of the UCI Chancellor’s Award for Excellence in Undergraduate Research.
  • Helen Milojevich
    Helen Milojevich is a doctoral candidate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Irvine. Her research focuses on cognitive and emotional development in maltreated children an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She will be joining the Center for Developmental Science at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Chapel Hill as a postdoctoral fellow in Fall 2016.

Creative Commons License

Creative CommonsAttributionNon-CommericalShare-AlikeResearch Methods in Developmental Psychology by Angela Lukowski and Helen Milojevich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4.0 International License. Permissions beyond the scope of this license may be available in our Licensing Agreement.

How to cite this Noba module using APA Style

Lukowski, A. & Milojevich, H. (2023). Research methods in developmental psychology. In R. Biswas-Diener & E. Diener (Eds), Noba textbook series: Psychology. Champaign, IL: DEF publishers. Retrieved from http://noba.to/zk3s8yrp

This article was updated on 7월 3, 2023

심리학을 공부하기 위해 noba project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도전을 시작했습니다. 번역에 DeepL과 GPT-4를 적극적으로 활용했습니다.

You should also 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