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견, 차별, 고정관념

By

Princeton University

사람들은 종종 자신이 속한 사회 집단 이외의 다른 사람들에 대해 편견(정서적 편견), 고정관념(인지적 편견), 차별(행동적 편견)을 보이는 편향성을 보입니다. 편견은 명시적(명백하고 의식적)일 수도 있고 암묵적(자동적, 모호하고 양가적)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21세기에는 사회 집단의 범주가 훨씬 더 복잡해지면서 편견의 형태도 변화하고 있습니다.

학습 목표

  • Distinguish prejudice, stereotypes, and discrimination.
  • Distinguish blatant biases from subtle biases.
  • Understand biases such as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and right-wing authoritarianism.
  • Understand subtle, unexamined biases that are automatic, ambiguous, and ambivalent.
  • Understand 21st century biases that may break down as identities get more complicated.

편견, 고정관념, 차별을 구분하세요.
노골적인 편견과 미묘한 편견을 구분합니다.
사회적 지배 지향성, 우익 권위주의와 같은 편견을 이해합니다.
자동적이고 모호하며 양가적인 미묘한 편견을 이해합니다.
정체성이 더욱 복잡해짐에 따라 무너질 수 있는 21세기 편견을 이해합니다.

소개

우리는 흔히 다른 사람을 '분류해서는 안 된다'고 말하지만, 어쩔 수 없이 그렇게 할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는 국적, 성별, 스포츠 팀에 대한 충성도, 대학 소속 등 여러 가지 특성에 따라 사람들을 분류합니다. 분류는 유용할 수 있지만, 분류가 개인이나 집단의 가치와 연관될 경우 심각하고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이 모듈에서는 그룹 소속에 따른 개인에 대한 편견과 그룹에 대한 편견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룹니다.

A line of identically dressed stormtroopers from the Star Wars films.
You are an individual, full of beliefs, identities, and more that help make you unique. You don’t want to be labeled just by your gender or race or religion. But as complex as we perceive ourselves to be, we often define others merely by their most distinct social group. [Image: caseorganic, https://goo.gl/PuLI4E, CC BY-NC 2.0, https://goo.gl/VnKlK8]

카테고리에서 전투로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정신적 범주를 만듭니다. 우리는 가재도구를 '가구'로, 특정 가축을 '애완동물'로, 특정 책을 '고전'으로 그룹화합니다. 카테고리는 새로운 상황에서 어떻게 상호작용할지에 대한 정신적 로드맵을 제공하기 때문에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힌두교 결혼식에 가본 적이 없는 사람은 '결혼식'이라는 일반적인 카테고리를 통해 무엇을 기대해야 하고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결혼식은 일반적으로 행복한 행사이고("정말 죄송합니다"라는 말보다는 "축하합니다"라는 말이 더 적절함), 공식적인 행사이며(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옷을 차려입음), 일반적으로 음식이 포함됩니다(결혼식에 참석하기 전에 멈춰서 식사를 할 필요는 없음).

카테고리를 인간에게 적용하면 더 복잡해집니다. 우리는 자연스럽게 나이, 언어, 직업, 인종, 소득 및 기타 여러 가지 특성으로 사람들을 분류합니다. 추상적으로 이러한 멘탈 맵은 새로운 사람의 범주에 대한 교육적인 추측을 바탕으로 새로운 사람과 상호 작용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분류하는 우리의 경향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첫째, 고정관념의 문제가 있습니다. 고정관념이란 특정 범주가 그 사람을 정확하게 묘사한다는 잘못된 믿음으로 인해 그 사람에 대해 편향된 생각을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마가렛은 정기적으로 하프 마라톤 대회에 참가한다는 점에서 80세의 '전형적인'(또는 고정관념적인) 노인이 아닐 수 있습니다. 그녀는 노인은 약하거나 건강하지 않다는 일반적인 생각에 반하는 사람입니다.

다음으로, 범주화는 편견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고정관념과 마찬가지로 편견은 집단에 속해 있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입니다. 고정관념이 사고와 관련이 있다면 편견은 본질적으로 더 감정적입니다.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노인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마가렛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다면 이는 편견입니다.

마지막으로, 분류하는 경향은 차별과 연관될 수 있습니다. 차별이란 특정 집단에 대한 고정관념을 바탕으로 특정 사람(또는 집단)에 대해 편견을 가지고 행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사람들이 마가렛이 너무 느리게 움직일까 봐(노인을 바라보는 일반적인 시각) 마가렛을 휴가에 초대하지 않으려 한다면 마가렛을 차별하는 것입니다. 

역사적 편견

오늘날 많은 국가에서 헌법에 평등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슬란드는 남성과 여성 간의 법적 평등을 보장합니다. 마찬가지로 에콰도르도 성적 지향과 성 정체성에 대한 기본권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일부 국가에서는 법적 보호 장치를 마련하더라도 '평등'이 특정 집단에만 적용된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미국 헌법은 모든 국민이 정부에 의해 대표되고 정부 구성에 참여할 수 있도록 보장하려고 했습니다. 그러나 헌법이 작성될 당시에는 여성과 소수자(특히 노예 출신)는 이러한 취지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어떻게 특정 집단이 정치 참여, 정의, 자유에서 배제된 것일까요?

한 가지 설명은 역사적 편견이 널리 퍼져 있고 제도화되어 있었다는 것입니다. 특정 집단을 공개적으로 폄하하고 이러한 집단을 제한하거나 해를 끼치는 법을 통과시키는 것이 허용되는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불과 80년 전만 해도 미국 대학생들은 터키인을 "잔인하고, 매우 종교적이며, 배신적"이라고 부끄러움 없이 생각했습니다(Katz & Braly, 1933). 이러한 유형의 고정관념은 노골적이고, 변명하지 않았으며, 다른 사람들도 공유할 것으로 예상되었는데, 이를 오늘날 우리는 "노골적인 편견"이라고 부릅니다.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터키 출신 사람들과 교류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편견은 한 집단에 대한 일반화였습니다.

노골적인 편견('명시적 편견'이라고도 함)은 사람들이 기꺼이 인정하는 의식적인 신념, 감정, 행동으로, 자신이 속한 집단(집단 내)을 지나치게 편애하는 반면 다른 집단(집단 외)에 대해서는 적대감을 표출하는 것입니다. 노골적인 편견의 대표적인 예로는 카우 클럭스 클랜과 같은 증오 단체의 구성원이나 히틀러의 나치 당원들의 견해가 있습니다.

하지만 노골적인 편견은 과거의 일이 아닙니다. 사람들은 언제나 그랬고 지금도 공공연하게 타집단 구성원을 비인간화하고 적대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편견의 대상은 시대에 따라 변화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중국인, 아일랜드인, 이탈리아인과 같은 새로운 이민자들의 물결이 밀려오자 공개적인 적대감을 드러냈고, 태도는 종종 가장 최근의 이민자 그룹으로 옮겨갔습니다. 최근에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일부 사람들이 코로나 바이러스와 관련이 있다고 인식하는 아시아계 미국인에 대해 적대적인 견해를 보였습니다(Misra, Le, Goldmann & Yang, 2020).

이러한 노골적인 편견은 무리를 지어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한 집단을 공개적으로 혐오하는 사람들은 다른 많은 집단도 혐오합니다. 이러한 패턴을 설명하기 위해 편견과 관련된 두 가지 이데올로기를 살펴보겠습니다.

편견에 사로잡힌 사람들은 어떤 생각을 하나요?

사회적 우위 지향성

A group of police officers hearing helmets and face shields.
People with a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are more likely to be attracted to certain types of careers, such as law enforcement, that maintain group hierarchies. [Image: Thomas Hawk, https://goo.gl/qWQ7jE, CC BY-NC 2.0, https://goo.gl/VnKlK8]

사회적 우위 지향성(SDO)은 모든 사회에서 집단 위계는 불가피하며 심지어 질서와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좋은 생각이라는 믿음을 설명합니다(Sidanius & Pratto, 1999). SDO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들은 어떤 집단은 본질적으로 다른 집단보다 우월하며, 이 때문에 집단 "평등"과 같은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믿습니다. 하지만 SDO는 단순히 다른 사람을 개인적으로 지배하고 통제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그룹은 상위에 있고 어떤 그룹은 하위에 있는 바람직한 그룹 배치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SDO가 높은 사람은 하위 그룹에 속하는 사람이 자신의 이웃으로 이사하면 화를 낼 가능성이 높습니다. SDO가 높은 사람이 이 아웃그룹 구성원이 하는 일을 '통제'하려는 것이 아니라, 이 '좋은 동네'로 이사가면 SDO가 높은 사람이 믿는 사회적 위계가 깨지기 때문입니다(즉, 좋은 동네에 산다는 것은 사회적 위계에서 자신의 위치, 즉 그룹 내 구성원들을 위해 마련된 자리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SDO가 높은 사람일수록 정치적으로 보수적일 가능성이 높지만, SDO를 더 강력하게 예측하는 다른 특성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구자들은 SDO 점수가 높은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관용, 공감, 이타주의, 공동체 지향성에서 평균보다 낮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일반적으로 SDO 점수가 높은 사람들은 열심히 일하면 반드시 보상을 받고 여가는 시간 낭비라는 직업 윤리에 대한 강한 신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SDO가 높은 사람은 기존의 집단 위계질서를 유지하는 직업(경찰, 검사, 비즈니스)을 선택하고 성공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SDO가 낮은 사람은 보다 평등한 직업(사회복지, 공공 방위, 심리학)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요점은 불평등을 정상적이고 자연스러운 것으로 선호하는 SDO는 남성, 토박이, 이성애자, 지배 종교 신자 등 특정 집단의 우월성을 지지하는 것으로도 예측된다는 것입니다. 이는 여성, 소수자, 동성애자, 비신자를 열등한 존재로 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당연히 첫 번째 그룹에 속하는 사람들은 SDO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는 경향이 있고, 두 번째 그룹에 속하는 사람들은 더 낮은 점수를 받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SDO 성별 차이(남성 상위, 여성 하위)는 전 세계적으로 나타납니다. SDO의 핵심은 세상은 한정된 자원으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는 근본적인 믿음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따라서 SDO가 높은 그룹은 이러한 자원을 놓고 서로 경쟁하며, 승자는 사회 계층 구조의 상단에 있고 패자는 하단에 있다고 봅니다(표 1 참조).

This table explains the difference between a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and right-wing authoritarianism. Where authoritarians are more likely to see competition as being about differences in values, and out-group members as having "bad values" people with a high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believe something different. They believe that groups compete for resources and that this competition is inevitable. People with high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are likely to believe that out-group members are "trying to beat us" but are not necessarily bad people.
Table 1. Biases

우파 권위주의

우익 권위주의(RWA)는 권위에 대한 순응 또는 복종을 강조하는 이데올로기입니다(Altemeyer, 1988). SDO가 잠재적인 경제적 갈등을 강조하는 반면, RWA는 가치 갈등에 초점을 맞춥니다. 앞의 예로 돌아가서, SDO가 높은 주택 소유자는 자신의 경제적 자원을 '위협'하기 때문에(예: 집값 하락, 학교 정원의 감소 등) 자신의 이웃으로 이사 오는 아웃그룹 구성원을 싫어할 수 있습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RWA가 높은 사람들은 이웃으로 이사하는 아웃그룹 구성원을 똑같이 싫어할 수 있지만 다른 이유로 싫어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이 아웃그룹 구성원이 RWA가 높은 사람이 동의하지 않는 가치나 신념을 가져와 집단의 집단적 가치에 '위협'을 가하기 때문입니다. RWA는 개인의 선호보다 집단의 단합을 존중하며, 서로 다른 의견에도 불구하고 집단의 가치를 유지하고자 합니다. 반대 의견을 용납하지 않는 국가적 단합과 애국심에 대한 요구가 그 예입니다.

하지만 이름과는 달리 RWA가 반드시 우파(보수주의자)에만 국한된 것은 아닙니다. SDO와 마찬가지로 이 이데올로기(질서, 명확성, 전통적 가치에 대한 선호)와 보수적 신념 사이에는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정치적 이데올로기와 관계없이 RWA는 경쟁하는 가치 체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는 잠재적으로 기존의 진보적 가치를 장려하고 반대 목소리를 침묵시키려는 좌파 권위주의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Manson, 2020). 특히, 높은 RWA와 높은 SDO의 조합은 소수 집단, 이민자, 동성애자, 비주류 종교 신자 등에 대한 공격을 공개적으로 지지하는 혐오 단체에 가입할 가능성을 예측합니다(Altemeyer, 2004).

암묵적 편견

오늘날에는 모든 편견이 집단 구성원에 대한 개인적인 적개심에 기반한 명백한 적대감은 아니라는 사실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미묘한 편견('자동적' 또는 '암묵적' 편견이라고도 함)은 검사되지 않고 때로는 무의식적이지만, 그 결과도 마찬가지로 현실적입니다. 이러한 편견은 자동적이고 모호하며 양면성을 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편향적이고 불공정하며 평등에 대한 신념을 무시합니다.

자동 바이어스

A screenshot shows a portion of the Implicit Associations Test. At the center a photo of a black man's face, from just above the eyebrows to just above the mouth, can be seen. At the top left corner the words "African American or Good" appear. At the top right the words "European American or Bad" appear. At the bottom of the screen the following instructions appear, "If the keys do not work, click the mouse inside the white box and try again. If the red X appears, press the other key to make the red X go away."
An actual screenshot from an IAT (Implicit Association Test) that is designed to test a person’s reaction time (measured in milliseconds) to an array of stimuli that are presented on the screen. This particular item is testing an individual’s unconscious reaction towards members of various ethnic groups. [Image: Courtesy of Anthony Greenwald from Project Implicit]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은 자신이 좋은 가치관, 합리적인 사고, 강점을 가지고 있다고 믿습니다. 또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특정 그룹의 구성원이지만 다른 그룹의 구성원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캐나다인이거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팬이거나 의사입니다. 그렇다면 논리에 따르면 우리는 자신을 좋아하기 때문에 자신이 속한 그룹도 좋아합니다. 고향 사람들에게 친근감을 느끼거나, 같은 대학에 다니는 사람들과 유대감을 느끼거나, 성 정체성, 종교 또는 민족을 공유하는 사람들의 경험에 위로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자신과 자신이 속한 그룹을 좋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자신이 속한 집단을 선호하면 다른 집단을 덜 좋아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편애'를 잘못된 것으로 인식하든 그렇지 않든, 이러한 트레이드오프는 비교적 자동적으로(의도하지 않고 즉각적으로, 그리고 거부할 수 없이) 이루어집니다.

사회 심리학자들은 이러한 자동적 선호를 측정하는 여러 가지 방법을 개발했는데, 가장 유명한 것은 암묵적 연상 테스트(IAT; Greenwald, Banaji, Rudman, Farnham, Nosek, & Mellott, 2002; Greenwald, McGhee, & Schwartz, 1998)입니다. 테스트 자체는 매우 간단합니다(여기에서 직접 체험해 볼 수 있습니다). IAT는 단어나 그림을 여러 범주로 얼마나 빨리 분류할 수 있는지를 측정합니다. 예를 들어, '아이스크림'을 좋은 것과 나쁜 것으로 분류하라는 요청을 받으면 금방 좋은 것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이스크림을 먹을 때마다 뇌가 얼어붙는다고 상상해 보세요. 아이스크림을 좋은지 나쁜지 분류해야 할 때에도 여전히 "좋다"로 분류할 수 있지만, 이러한 판단에 도달하는 속도가 조금 더 느려지거나 심지어 몇 분의 1초 더 느려질 수도 있습니다. 판단하는 데 걸리는 시간의 미세한 차이를 측정하는 것이 바로 IAT의 작동 방식입니다.

이 테스트는 사람들에게 단순히 타인을 차별하는 정도를 공개적으로 보고하도록 요청하지 않기 때문에 잠재적 편견을 측정하는 데 특히 유용한 방법입니다. 대신, 사람들이 다양한 집단의 선악에 대해 얼마나 빨리 판단하는지를 측정합니다. IAT는 자동적 또는 무의식적 편견으로 인한 아주 사소한 망설임에 민감합니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자신이 속한 그룹을 '좋은' 범주에 더 빨리 짝짓는 경향이 있습니다. 실제로 이러한 결과는 인종, 연령, 종교, 국적, 심지어 일시적이고 중요하지 않은 멤버십에 따라 그룹을 측정하든 상관없이 일반적으로 적용됩니다.

자신이 속한 집단을 더 빠르고 유리하게 처리하려는 지극히 인간적인 경향에 대한 IAT의 연구 결과를 무시하기 쉬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IAT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 시간은 외부 집단 구성원에 대한 실제 감정, 그들에 대한 결정, 그들에 대한 행동, 특히 비언어적 행동을 예측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Greenwald, Poehlman, Uhlmann, & Banaji, 2009).

 

Table 2: Subtle Biases

예를 들어, 면접관에게 자격을 갖춘 지원자 두 명(남성과 여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면접관이 '노골적인 편견'을 가지고 있지는 않더라도 '자동적 또는 암묵적인 편견'은 지원자 중 한 명에게 해가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면접관이 여성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어 여성 지원자를 면접하는 동안 자신도 모르게 거리감을 두고 위축된 태도를 보일 수 있습니다. 이는 지원자를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거나, 직무에 적합하지 않거나, 채용 가능성이 낮다는 미묘한 신호를 지원자에게 보내는 것입니다. 이러한 사소한 상호작용은 면접 희망자의 업무 수행 능력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Word, Zanna, & Cooper, 1974).

불공평하지만, 때때로 사회의 고정관념에 의한 자동적 연상이 우리 자신의 명시적 가치보다 우선하는 경우가 있습니다(Devine, 1989). 안타깝게도 이는 혐오하는 아웃그룹에 더 적은 자원을 할당하는 등의 결과적인 차별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Rudman & Ashmore, 2009). 

모호한 편견

A group of people stand holding signs labeling them as others perceive them. The signs include, "Muslim", "Indian", "Criminal", "Immigrant", "Privileged", and "Queer".
Whether we are aware of it or not (and usually we're not), we sort the world into "us" and "them" categories. We are more likely to treat with bias or discrimination anyone we feel is outside our own group. [Image: Keira McPhee, https://goo.gl/gkaKBe, CC BY 2.0, https://goo.gl/BRvSA7]

IAT를 사용한 연구 결과는 사회 정체성 이론과 일치합니다. 사회 정체성 이론(Tajfel, Billig, Bundy, & Flament, 1971)은 다른 아웃그룹보다 자신의 인그룹을 선호하는 경향을 설명합니다. 결과적으로, 아웃그룹 혐오는 이러한 인그룹 선호에서 비롯됩니다(Brewer & Brown, 1998). 예를 들어, 두 반의 어린이가 같은 축구장에서 뛰고 싶어한다면, 두 반은 상대방 집단에 대한 실제적이고 불쾌한 특성 때문이 아니라 서로를 싫어하게 될 것입니다. 혐오감은 각 반이 자신에 대한 편애와 한 번에 한 그룹만 축구장에서 놀 수 있다는 사실에서 비롯됩니다. 자신의 그룹을 우대하는 관점으로 인해 사람들은 다른 그룹을 처벌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그룹을 위해 다른 그룹을 무시합니다. 축구의 예에서 한 그룹의 아이들은 다른 그룹의 비슷한 욕구를 동등하고 정당한 것으로 간주하지 않고 자신의 플레이 욕구에 집중할 것입니다. 그러나 특혜를 정당화하기 위해 사람들은 종종 자신이 속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의 차이를 과장합니다. 특히, 사람들은 아웃그룹의 구성원을 실제보다 성격이 더 비슷하다고 여깁니다. 그 결과 보조금을 받는 주택에 사는 사람, 만화책을 좋아하는 사람, 종교를 믿는 사람, 자폐증을 앓고 있는 사람 등을 다양성이 거의 없는 하나의 동질적인 집단으로 간주하게 됩니다.

사람들은 가구나 음식을 한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는 것처럼 자연스럽게 사람들을 그룹으로 분류합니다. 차이점은 자기 범주화 이론이 지적하는 것처럼 우리 스스로를 범주화한다는 것입니다(Turner, 1975). 그룹 범주의 속성은 좋을 수도 있고 나쁠 수도 있기 때문에 우리는 나와 같은 사람들이 있는 그룹은 선호하고 그렇지 않은 그룹은 선호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룹 내 편애는 배제를 통해 외부 그룹을 선호하지 않기 때문에 모호한 형태의 편견입니다. 예를 들어, 권위주의적 지도자는 자신의 부족, 종교 종파 또는 정당 구성원에게 더 많은 국가 자원을 할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사람들이 자신이나 타인에게 자신의 인종적 편견을 인정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기 때문에 내부 집단을 편애하는 특정 사례를 혐오성 인종주의라고 합니다(Dovidio & Gaertner, 2010). 예를 들어, 백인 자신의 선한 의도와 흑인과의 긴밀한 상호작용에 대한 불편함 사이의 긴장으로 인해 백인은 경직된 행동을 하거나 주의가 산만해질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백인은 이러한 어색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 좋은 핑계를 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반응은 양쪽 모두에게 모호하고 해석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두 사람 모두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상황을 피한 백인의 행동이 옳았나요? 백인은 접촉을 피하면 결코 편안해지는 법을 배울 수 없기 때문에 백인이 틀린 것일까요? 혐오성 인종차별의 지표는 좋은 의도가 나빠진 모호한 결과임에도 불구하고 차별적 행동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양가적 편견

소수 집단에 대한 고정관념이 모두 나쁜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미국에 거주하는 아시아계는 교육, 소득, 사회적 안정과 같은 분야에서 성공했다는 인식 때문에 흔히 모범적인 소수민족으로 불립니다. 또 다른 예로는 전통적인 여성에게는 호의적이지만 비전통적인 여성에게는 적대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또는 노인에게 호감을 느끼지만 동시에 노인들이 스스로를 부양할 능력이 없다고 생각하며 공공 복지 프로그램에 대한 부담을 걱정하는 연령차별주의자들도 있습니다. 고정관념 콘텐츠 모델에 따르면 다양한 집단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엇갈린 감정을 이해하는 간단한 방법은 사회 집단을 따뜻함과 유능함으로 인식하는 정도에 따라 바라본다는 것입니다. (Fiske, Cuddy, & Glick, 2007).

고정관념 콘텐츠 모델은 다른 사람을 평가할 때 따뜻함과 유능함이라는 두 가지 주요 차원에 주목합니다. 첫째, 사람들은 다른 사람의 의도를 이해하는 데 관심이 있습니다. 밤에 경비원이 말하듯이: "누가 저기 가는가, 친구인가 적인가?" 상대방이 선하고 협력적인 의도를 가지고 있다면 우리는 그들을 "따뜻하다"고 여기고 종종 "우리 편"으로 간주합니다. 그러나 상대방이 "차갑다"면 우리는 종종 그들을 위협으로 간주하고 그에 따라 그들을 대합니다. 또한 우리는 그 그룹의 구성원이 좋은 의도를 가지고 행동할 만큼 유능한 사람인지도 알고 싶어합니다. 이 두 가지 간단한 차원, 즉 따뜻함과 유능함은 사회에서 집단이 서로 관계를 맺는 방식을 매핑합니다. 

Figure 1: Stereotype Content Model - 4 kinds of stereotypes that form from perceptions of competence and warmth

모든 종류의 범주와 직종에 속한 사람들에 대한 일반적인 고정관념은 이 두 가지 차원에 따라 사람들을 분류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그림 1 참조). 예를 들어, 대부분의 사회에서 내집단은 따뜻하고 유능한 것으로 간주되는 일반 시민입니다. 다른 쪽 끝에는 노숙자와 마약 중독자가 있는데, 이들은 선한 의도가 없고(아마도 신뢰할 수 없을 것이며) 마찬가지로 유용한 일을 할 수 없는 무능한 존재라는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부 집단의 고정관념은 한 차원에서는 높고 다른 차원에서는 낮은 혼합형입니다. 예를 들어, 부자는 유능하지만 차가운 사람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전형적인 '노인'은 따뜻함은 높지만 능력은 낮은 것으로 간주됩니다. 물론 실제 노인이 유능하지 않다는 뜻은 아니지만, 축적된 지혜로 인해 널리 존경받지 못한다는 뜻입니다.

따뜻함과 유능함의 차원에 대한 집단의 입장은 우리가 구성원들을 존경으로 대할지, 비인간적인 경멸로 대할지, 경쟁적인 질투로 대할지, 가부장적인 돌봄으로 대할지를 결정합니다. 이러한 네 가지 고정관념과 이와 관련된 정서적 편견(그림 2 참조)은 전 세계에서 발생하며 각 사회의 모든 집단에 적용됩니다. 이 집단 지형도는 특정 집단에 대한 특정 유형의 차별을 예측합니다.

 

 

This 2 by 2 table also shows the stereotype content model. Where the earlier Figure outlined 4 distinct attitudes based on perceptions of warmth and competence, this Figure shows 4 distinct emotions.  High warmth and low competence elicits pity. High warmth and high competence elicits pride. Low warmth and low competence elicits disgust. Low warmth and high competence elicits envy.
Figure 2: Combinations of perceived warmth and competence and the associated behaviors/emotional prejudices.

결론 오늘날의 편견

국가 간 협력, 다양한 집단 간의 결혼 등 세계가 더욱 긴밀하게 연결되면서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일상에서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고 있습니다. "당신은 누구세요?"라는 질문을 받아본 적이 있는지 스스로에게 물어보세요. 이 질문은 인종, 출신 국가, 성 정체성, 종교 및 기타 그룹 소속에 대해 사람들에게 자주 묻는 질문입니다. 같은 그룹에 속한 사람들만 모여 있다면 이런 질문은 터무니없는 질문일 것입니다. 따라서 범주는 점점 더 불확실하고 불분명하며 불안정하고 복잡해지고 있습니다(Bodenhausen & Peery, 2009). 사람들의 정체성은 성별, 인종, 계급, 연령, 지역 등에 걸쳐 교차하는 다면적인 것입니다. 정체성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지만,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우리는 고정관념이 아닌 각자의 개성으로 서로를 인식하게 될지도 모릅니다.

Outside Resources

Web: Website exploring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prejudice.
http://www.understandingprejudice.org/
Web: Website that provides helpful information about prejudice including definition and statistics. This content is provided by OnlinePsychology@Pepperdine, the Online Master of Psychology program from Pepperdine University.
https://onlinepsych.pepperdine.edu/blog/prejudice-discrimination-coping-skills/

Discussion Questions

  1. Do you know more people from different kinds of social groups than your parents did?
  2. How often do you hear people criticizing groups without knowing anything about them?
  3. Take the IAT. Could you feel that some associations are easier than others?
  4. What groups illustrate ambivalent biases, seemingly competent but cold, or warm but incompetent?
  5. Do you or someone you know believe that group hierarchies are inevitable? Desirable?
  6. How can people learn to get along with people who seem different from them?

Vocabulary

Automatic
Automatic biases are unintended, immediate, and irresistible.
Aversive racism
Aversive racism is unexamined racial bias that the person does not intend and would reject, but that avoids inter-racial contact.
Blatant biases
Blatant biases are conscious beliefs, feelings, and behavior that people are perfectly willing to admit, are mostly hostile, and openly favor their own group.
Discrimination
Discrimination is behavior that advantages or disadvantages people merely based on their group membership.
Implicit Association Test
Implicit Association Test (IAT) measures relatively automatic biases that favor own group relative to other groups.
Model minority
A minority group whose members are perceived as achieving a higher degree of socioeconomic success than the population average.
Prejudice
Prejudice is an evaluation or emotion toward people merely based on their group membership.
Right-wing authoritarianism
Right-wing authoritarianism (RWA) focuses on value conflicts but endorses respect for obedience and authority in the service of group conformity.
Self-categorization theory
Self-categorization theory develops social identity theory’s point that people categorize themselves, along with each other into groups, favoring their own group.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SDO) describes a belief that group hierarchies are inevitable in all societies and even good, to maintain order and stability.
Social identity theory
Social identity theory notes that people categorize each other into groups, favoring their own group.
Stereotype Content Model
Stereotype Content Model shows that social groups are viewed according to their perceived warmth and competence.
Stereotypes
Stereotype is a belief that characterizes people based merely on their group membership.
Subtle biases
Subtle biases are automatic, ambiguous, and ambivalent, but real in their consequences.

References

  • Altemeyer, B. (2004). Highly dominating, highly authoritarian personalities.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44(4), 421-447. doi:10.3200/SOCP.144.4.421-448
  • Altemeyer, B. (1988). Enemies of freedom: Understanding right-wing authoritarianism. San Francisco: Jossey-Bass.
  • Bodenhausen, G. V., & Peery, D. (2009). Social categorization and stereotyping in vivo: The VUCA challenge.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3(2), 133-151. doi:10.1111/j.1751-9004.2009.00167.x
  • Brewer, M. B., & Brown, R. J. (1998). Intergroup relations. In D. T. Gilbert, S. T. Fiske, & G. Lindzey (Eds.), Th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Vols. 1 and 2 (4th ed.) (pp. 554-594). New York: McGraw-Hill.
  • Devine, P. G. (1989). Stereotypes and prejudice: Their automatic and controlled componen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6(1), 5-18. doi:10.1037/0022-3514.56.1.5
  • Dovidio, J. F., & Gaertner, S. L. (2010). Intergroup bias. In S. T. Fiske, D. T. Gilbert, & G. Lindzey (Eds.),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Vol. 2 (5th ed.) (pp. 1084-1121). Hoboken, NJ: John Wiley.
  • Fiske, S. T., Cuddy, A. J. C., & Glick, P. (2007). Universal dimensions of social cognition: Warmth and competence.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11(2), 77-83. doi:10.1016/j.tics.2006.11.005
  • Greenwald, A. G., Banaji, M. R., Rudman, L. A., Farnham, S. D., Nosek, B. A., & Mellott, D. S. (2002). A unified theory of implicit attitudes, stereotypes, self-esteem, and self-concept. Psychological Review, 109(1), 3-25. doi:10.1037/0033-295X.109.1.3
  • Greenwald, A. G., McGhee, D. E., & Schwartz, J. L. K. (1998). Measu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implicit cognition: The implicit association t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6), 1464-1480. doi:10.1037/0022-3514.74.6.1464
  • Greenwald, A. G., Poehlman, T. A., Uhlmann, E. L., & Banaji, M. R. (2009). Understanding and using the Implicit Association Test: III. Meta-analysis of predictive valid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7(1), 17-41. doi:10.1037/a0015575
  • Katz, D., & Braly, K. (1933). Racial stereotypes of one hundred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28(3), 280-290. doi:10.1037/h0074049
  • Manson, J. H. (2020). Right-wing authoritarianism, left-wing authoritarianism, and pandemic-mitigation authoritarianis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67, 1-6. doi: 10.1016/j.paid.2020.110251
  • Misra, S., Le, P.T., Goldmann, E. & Yang, L.H. (2020). Psychological impact of anti-Asian stigma due to COVID-19 pandemic: A call for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responses. Psychological Trauma: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12(5), 461-464. doi:10.1037/tra0000821
  • Rudman, L. A., & Ashmore, R. D. (2007). Discrimination and the implicit association test. Group Processes & Intergroup Relations, 10(3), 359-372. doi:10.1177/1368430207078696
  • Sidanius, J., & Pratto, F. (1999). Social dominance: An intergroup theory of social hierarchy and oppress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Tajfel, H., Billig, M. G., Bundy, R. P., & Flament, C. (1971). Social categorization and intergroup behaviour.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2), 149-178. doi:10.1002/ejsp.2420010202
  • Turner, J. C. (1975). Social comparison and social identity: Some prospects for intergroup behaviour.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5(1), 5-34. doi:10.1002/ejsp.2420050102
  • Word, C. O., Zanna, M. P., & Cooper, J. (1974). The nonverbal mediation of self-fulfilling prophecies in interracial interaction.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10(2), 109-120. doi:10.1016/0022-1031(74)90059-6

Authors

  • Susan T. Fiske
    Susan T. Fiske—Eugene Higgins Professor, Psychology and Public Affairs, Princeton University—investigates social cognition, especially stereotypes and prejudices, culturally, interpersonally, and neuro-scientifically. Prolific scientific author and awardee, she just edited the Sage Handbook of Social Cognition (2012) and Sage Major Works in Social Cognition (2013), and wrote Social Cognition: From Brains to Culture (4/e, 2013).

Creative Commons License

Creative CommonsAttributionNon-CommericalShare-AlikePrejudice, Discrimination, and Stereotyping by Susan T. Fiske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4.0 International License. Permissions beyond the scope of this license may be available in our Licensing Agreement.

How to cite this Noba module using APA Style

Fiske, S. T. (2023). Prejudice, discrimination, and stereotyping. In R. Biswas-Diener & E. Diener (Eds), Noba textbook series: Psychology. Champaign, IL: DEF publishers. Retrieved from http://noba.to/jfkx7n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