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 우정, 사회적 지지(Love, Friendship, and Social Support)

사랑, 우정, 사회적 지지

By and

Western Oregon University, Portland State University

우정과 사랑, 더 넓게는 사람들이 삶에서 쌓아가는 관계는 사람이 소유할 수 있는 가장 소중한 보물 중 일부입니다. 이 모듈에서는 우정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무엇이 한 사람을 다른 사람에게 끌리는지, 사랑이 어떻게 발전하는지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방법을 살펴봅니다. 또한 인터넷이 사람을 만나고 깊은 관계를 발전시키는 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봅니다. 마지막으로, 이 모듈에서는 사회적 지원과 이것이 어떻게 많은 사람들이 가장 힘든 시기를 극복하고 더 나은 시기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지 살펴봅니다.

학습 목표

  • Understand what attracts us to others.
  • Review research that suggests that friendships are important for our health and well-being.
  •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Internet on friendship and developing relationships.
  • Understand what happens to our brains when we are in love.
  • Consider the complexity of love.
  • Examine the construct and components of social support.

무엇이 우리를 다른 사람에게 끌리는지 이해하세요.
우정이 우리의 건강과 웰빙에 중요하다는 연구 결과를 검토합니다.
인터넷이 우정과 관계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봅니다.
사랑에 빠졌을 때 우리 뇌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이해합니다.
사랑의 복잡성을 고려합니다.
사회적 지지의 구조와 구성 요소를 조사합니다.

소개

A happy group of young men pose for a photo. Two of them sit smiling on the shoulders of their friends below.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re vital to our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CC0 Public Domain, https://goo.gl/m25gce]

관계의 중요성은 수십 년 동안 연구자들에 의해 조사되어 왔습니다. 많은 연구자들은 사회학자 에밀 뒤르켐의 자살과 사회적 관계에 대한 고전적인 연구(1951)를 이 연구의 출발점으로 꼽습니다. 뒤르켐은 개인의 행복을 위해서는 사회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실제로 그는 친밀한 관계가 없는 사람은 자살 위험에 처한 사람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습니다. 사람에게 삶의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관계입니다. 즉, 사회와 단절된 사람들 사이에서 자살률이 더 높은 경향이 있습니다. 이 개념에서 흥미로운 점은 사람들에게 삶의 기본 필수품을 설명해 달라고 요청할 때 사람들은 대부분 음식, 물, 쉼터라고 말하지만 '친밀한 관계'를 상위 세 가지에 꼽는 경우는 거의 없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며 생존과 번영을 위해 다른 사람이 필요하다는 사실은 여러 연구를 통해 수없이 입증되었습니다. 친밀한 관계는 심리적으로 음식과 물과 같으며, 다시 말해 생존을 위해 꼭 필요한 관계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바우마이스터와 리어리(1995)는 인간에게는 기본적인 욕구가 있으며 그 중 하나가 소속감이라고 주장합니다. 이러한 욕구는 우리를 인간답게 만들고 삶에 목적의식과 정체성을 부여합니다(Brissette, Cohen, & Seeman, 2000; Ryff, 1989).

친밀한 관계가 웰빙에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대인관계가 어떻게 시작되는지 물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왜 우리는 한 사람을 좋아하거나 사랑하지만 다른 사람을 좋아하지 않을까요? 나쁜 일이 생기면 왜 우리는 종종 친구나 가족에게 그 상황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어할까요? 관계는 복잡하고 독특하기 때문에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이지만, 이 모듈에서는 관계가 어떻게 시작되는지, 기술이 관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동료, 지인, 친구, 가족, 친밀한 파트너가 우리 삶에서 왜 중요한지 살펴볼 것입니다.

매력: 우정과 사랑의 시작

왜 어떤 사람들은 바로 친해지는 걸까요? 아니면 친구의 친구가 호감이 가지 않는다고 판단할까요? 심리학자들은 과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매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고 유사성, 근접성(물리적 또는 기능적), 친숙함, 호혜성 등 우리가 관계를 발전시키는 데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변수를 확인했습니다.

근접성

A group of friends sit in the back of a bus laughing together.
Great and important relationships can develop by chance and physical proximity helps. For example, seeing someone regularly on your daily bus commute to work or school may be all that’s necessary to spark a genuine friendship. [Image: Cheri Lucas Rowlands, https://goo.gl/crCc0Q, CC BY-SA 2.0, https://goo.gl/rxiUsF]

우리는 종종 친구나 연인을 '우연히' 만나게 되는데, 이는 부분적으로는 그 사람과 얼마나 가까운 거리에 있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특히, 근접성 또는 물리적 근접성은 관계의 발전에 중요한 요소로 밝혀졌습니다. 예를 들어, 대학생이 새로운 학교로 전학을 가면 같은 반 친구, 룸메이트, 팀원(즉, 가까운 거리에 있는 사람들)으로 구성된 친구를 사귀게 됩니다. 근접성은 사람들이 서로를 알아가고 서로의 유사점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이 모든 것이 우정이나 친밀한 관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근접성은 지리적 거리뿐만 아니라 기능적 거리, 즉 다른 사람과 마주치는 빈도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대학생들은 기숙사 같은 층에 사는 사람들과 다른 층에 사는 사람들보다 더 자주 마주치기 때문에 더 가까워지고 관계를 발전시킬 가능성이 높습니다. 온라인 관계에서 근접성이라는 개념은 어떻게 적용될까요? Deb Levine(2000)은 온라인 관계와 매력을 발전시키는 측면에서 기능적 거리란 가상 세계(예: 채팅방 또는 인터넷 포럼)에서 같은 시간에 같은 장소에 있는 것, 즉 가상의 경로를 가로지르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합니다.

친숙함

친밀감이 매력에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친숙함을 낳기 때문이며, 사람들은 익숙한 것에 더 끌립니다. 누군가의 주변에 있거나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것만으로도 그 사람에게 끌릴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또한 익숙한 사람에게는 무엇을 기대할 수 있는지 알고 있기 때문에 안전하다고 느끼는 경향이 있습니다. 로버트 자욘크 박사(1968)는 이러한 현상을 단순 노출 효과라고 명명했습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그는 자극(예: 소리, 사람)에 더 자주 노출될수록 그 자극을 긍정적으로 볼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주장했습니다. 모어랜드와 비치(1992)는 외모와 나이가 비슷한 네 명의 여성에게 대학 수업을 노출시켜 이를 입증했는데, 한 여성이 수업에 더 많이 참석할수록 다른 학생들로부터 더 친숙하고 비슷하며 매력적으로 여겨졌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다른 사람에게서 무엇을 기대할 수 있는지 알면 어느 정도 편안함을 느끼기 때문에 익숙한 것을 좋아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이는 무의식적인 수준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많지만, 연구에 따르면 이것이 매력의 가장 기본적인 원리 중 하나라고 합니다(Zajonc, 1980). 예를 들어, 강압적인 어머니 밑에서 자란 젊은 남성이 다른 강압적인 여성에게 끌릴 수 있는 이유는 지배당하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이 아니라 그것이 정상적(즉, 친숙함)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유사성

산드라 블록과 제시 제임스, 킴 카다시안과 카니예 웨스트와 같은 커플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면 "이건 오래가지 못할 거야"라고 생각하며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지 않나요? 아마도 그들이 너무 달라 보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반대가 끌린다고 주장하지만,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는 일반적으로 사실이 아니며 유사성이 핵심입니다. 물론 커플이 상당히 다르게 보일 때도 있지만, 전반적으로 우리는 나와 비슷한 사람을 좋아합니다. Ingram과 Morris(2007)는 기업 임원들을 칵테일 믹서에 초대하여 이 현상을 조사했는데, 그 중 95%가 새로운 사람을 만나고 싶다고 응답했습니다. 연구자들은 전자 이름표 추적을 통해 임원들이 새로운 사람들과 어울리거나 만나지 않고 이미 잘 알고 있는 사람들(즉, 비슷한 사람들)과만 대화를 나눈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결혼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부부는 특히 연령, 사회 계층, 인종, 학력, 신체적 매력, 가치관, 태도 등에서 매우 유사한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McCann Hamilton, 2007; Taylor, Fiore, Mendelsohn, & Cheshire, 2011). 이러한 현상을 매칭 가설이라고 합니다(Feingold, 1988; Mckillip & Redel, 1983). 우리는 자신의 관점을 검증해주고 생각, 욕구, 태도가 비슷한 사람을 좋아합니다.

상호성

호감의 또 다른 핵심 요소는 상호성입니다. 이 원칙은 상대방이 나에게 같은 감정을 느낄 때 더 호감을 느낄 가능성이 높다는 개념에 기반합니다. 다시 말해, 호의적이지 않은 사람과 친구가 되기는 어렵다는 뜻입니다. 관계는 주고받기를 기반으로 하며, 한 쪽이 보답하지 않으면 관계는 파멸한다는 생각도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우리는 받은 것을 돌려주고 관계에서 공평성을 유지해야 할 의무를 느낍니다. 연구자들은 이것이 여러 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라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Gouldner, 1960).

우정

A group of young boys sit together on the steps with their arms around one another.
Having best friends make us feel better about ourselves and buffers us from stress. [Image: CC0 Public Domain, https://goo.gl/m25gce]
“In poverty and other misfortunes of life, true friends are a sure refuge. They keep the young out of mischief; they comfort and aid the old in their weakness, and they incite those in the prime of life to noble deeds.”—Aristotle

연구에 따르면 친밀한 우정은 힘든 시기에도 정신적, 육체적 건강을 지켜줄 수 있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Adams, Santo, Bukowski(2011)는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 학생들에게 자신의 경험과 자존감을 기록하고 4일 동안 타액 샘플을 제공하도록 요청했습니다. 부정적인 경험을 하는 동안이나 직후에 절친이 곁에 있었던 어린이는 절친이 없었던 어린이에 비해 타액 내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 수치가 현저히 낮았습니다. 또한 절친이 있으면 자존감도 보호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장 친한 친구를 찾지 못했거나 괴로운 상황에서 가장 친한 친구가 없었던 아이들은 연구 기간 동안 자존감이 떨어졌습니다.

직장 내 우정

직장에서 가족이나 친구와 보내는 시간만큼, 또는 그보다 더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직장 내 우정이 뿌리내리는 경우가 많습니다(Kaufman & Hotchkiss, 2003). 이러한 관계를 통해 사람들은 멘토링을 받고 사회적 지원과 자원을 얻는 경우가 많지만, 성적 매력이 문제가 될 경우 갈등과 오해의 가능성을 경험할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Elsesser와 Peplau(2006)의 연구에 따르면 많은 근로자가 공동 작업 프로젝트를 통해 우정이 쌓이고 이러한 우정으로 인해 일상이 더 즐거워졌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이점 외에도 Riordan과 Griffeth(1995)는 우정을 발전시키고 유지할 수 있는 환경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이 더 높은 수준의 직무 만족도, 직무 몰입도, 조직 헌신을 보고할 가능성이 높으며 직장을 떠날 가능성도 낮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마찬가지로 갤럽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직장에 '친한 친구'가 있는 직원은 그렇지 않은 직원보다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거의 50%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Armour, 2007).

인터넷 친구 관계

인터넷이 친구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사람들이 새로운 친구를 만나고 사귀기 위해 인터넷을 사용한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Fehr, 2008; McKenna, 2008). 연구자들은 직접 대면하지 않는 문제가 관계의 진정성을 떨어뜨리는 것인지, 아니면 인터넷을 통해 사람들이 실제로 깊고 의미 있는 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궁금해했습니다. 흥미롭게도 가상 관계도 대면 관계만큼이나 친밀한 경우가 많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 실제로 Bargh와 동료들은 온라인 관계가 때때로 더 친밀하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Bargh et al., 2002). 이는 특히 사회적으로 불안하고 외로움을 많이 느끼는 사람들, 즉 새롭고 의미 있는 관계를 찾기 위해 인터넷으로 눈을 돌릴 가능성이 높은 사람들에게 해당될 수 있습니다(McKenna, Green, & Gleason, 2002). McKenna 등(2002)은 수줍음, 불안 또는 대면 사회적 기술 부족으로 인해 사람을 만나고 관계를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에게 인터넷은 안전하고 위협적이지 않은 관계를 발전시키고 유지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한다고 제안합니다. 이와 유사하게 Penny Benford(2008)는 고기능 자폐인의 경우 인터넷이 대면 상황에서 더 어려웠을 타인과의 의사소통 및 관계 형성을 촉진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인터넷 의사소통이 대면 의사소통에서 좌절감을 느끼는 사람들에게 힘을 실어줄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사랑

A silhouette of a couple embracing seen against the evening sky.
Romantic relationships are so central to psychological health that most people in the world are or will be in a romantic relationship in their lifetime. [Image: CC0 Public Domain, https://goo.gl/m25gce]

모든 사랑이 똑같을까요? 사랑에는 다양한 유형이 있을까요? 이러한 질문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로버트 스턴버그(2004, 2007)의 연구는 모든 유형의 사랑이 친밀감, 열정, 헌신이라는 세 가지 영역으로 구성된다는 개념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친밀감에는 배려, 친밀감, 정서적 지원이 포함됩니다. 사랑의 열정 요소는 신체적 매력, 생리적 변화를 촉진하는 정서적 반응, 성적 흥분 등 생리적 및 정서적 각성으로 구성됩니다. 마지막으로 헌신은 다른 사람을 사랑하기로 결심하는 인지적 과정과 결정, 그리고 평생 동안 그 사랑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의지를 의미합니다. 친밀감과 관련된 요소(배려, 친밀감, 정서적 지원)는 일반적으로 모든 유형의 친밀한 관계에서 발견됩니다(예: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사랑 또는 친구들이 공유하는 사랑). 흥미롭게도 열정은 그렇지 않습니다. 열정은 낭만적인 사랑에 고유하며 친구와 연인을 구별합니다. 요약하자면, 사랑의 유형과 관계의 단계(즉, 갓 사랑에 빠진 경우)에 따라 이러한 요소의 조합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The model of the Triangular Theory of Love displays 6 types of love evenly spaced around the outside of a triangle, and one type of love at the center of the triangle. The types of love outside the triangle include: Infatuation (Passion), Romantic Love (Passion + Intimacy), Liking (Intimacy), Companionate (Intimacy + Commitment), Empty Love (Commitment), and Fatuous Love (Passion + Commitment). At the center is Consummate Love (Intimacy + Passion + Commitment).
Figure 1: Triangular Theory of Love. Adapted from Wikipedia Creative Commons, 2013

이 이론을 한 단계 더 발전시켜 인류학자 헬렌 피셔는 사랑에 빠진 사람들의 뇌를 스캔한 결과, 마약 중독자의 뇌와 유사하게 뇌 화학이 "미쳐가고 있다"는 것을 관찰했다고 설명했습니다(Cohen, 2007). 특히, 새로 사랑에 빠진 사람들의 세로토닌 생산량은 40%까지 증가했습니다. 또한, 새로 사랑에 빠진 사람들은 강박적인 경향을 보이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반대로, 이별을 경험하면 뇌는 헤로인 습관을 끊는 것과 비슷한 방식으로 이별을 처리합니다(Fisher, Brown, Aron, Strong, & Mashek, 2009). 따라서 이별이 육체적으로 고통스럽다고 믿는 사람들의 말이 맞습니다! 또 다른 흥미로운 점은 장기적인 사랑과 성적 욕구가 뇌의 다른 영역을 활성화한다는 것입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성적 욕구는 음식, 섹스, 마약과 같은 선천적으로 즐거운 것에 특히 민감한 뇌 부위(즉, 선조체, 다소 단순한 보상 시스템)를 활성화하는 반면, 사랑은 조건화가 필요하며 습관과 비슷합니다. 성적 욕구가 지속적으로 보상받을 때 사랑은 발전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사랑은 긍정적인 보상, 기대, 습관에서 비롯됩니다(Cacioppo, Bianchi-Demicheli, Hatfield & Rapson, 2012).

사랑과 인터넷

인터넷의 등장으로 사람들이 사랑을 찾는 방식이 바뀌었습니다.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미국 성인의 49%가 본인 또는 지인이 온라인에서 만난 사람과 데이트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습니다(Madden & Lenhart, 2006). Finkel과 동료들(2007)의 연구에 따르면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와 인터넷은 일반적으로 세 가지 중요한 작업을 수행합니다. 특히, 사이트는 개인에게 누군가를 만나는 데 관심이 있는 다른 개인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합니다. 데이트 사이트는 일반적으로 개인이 만나기 위해 가까운 거리에 있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근접성 문제를 줄여줍니다. 또한 개인이 다른 사람과 소통할 수 있는 매체를 제공합니다. 마지막으로, 일부 인터넷 데이트 웹사이트는 온라인에서 사랑을 찾는 사람들에게 '완벽한 짝'을 찾아주기 위해 성격, 취미, 관심사 등의 요소를 기반으로 한 특별한 매칭 전략을 광고합니다. 일반적으로 대면 데이트와 비교한 인터넷 매칭 또는 온라인 데이트의 효과에 대한 과학적 의문은 아직 해결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는 많은 사람들에게 만날 기회가 없던 사람들을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열어주었지만, 안타깝게도 이제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가 순진한 사람들을 속일 수 있는 포럼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2010년 다큐멘터리 '메기'는 온라인에서 한 여성을 만나 몇 달 동안 감정적인 관계를 이어온 한 남성의 개인적인 경험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하지만 나중에 알게 된 사실이지만, 그가 대화하고 글을 주고받았다고 생각했던 사람은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아론 벤-제프 박사의 말처럼 온라인 관계는 속일 수 있는 여지를 남기므로 사람들은 조심해야 합니다.

사회적 지원

Diagram showing the three components of social support - perceived support, received support, and social networks.

나쁜 일이 일어났을 때 다른 사람들이 자신에게 관심을 갖고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놀랍지 않게도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는 여러 문화권(Markus & Kitayma, 1991; Triandis, 1995)과 시간에 걸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Reis, Sheldon, Gable, Roscoe, & Ryan, 2000). 즉, 사회적 지원은 우리의 관계를 특히 유익하게 만드는 활성 성분입니다. 그렇다면 사회적 지지란 무엇일까요? 사회적 지지에 대해 생각하는 한 가지 방법은 사회적 지지가 세 가지 개별적인 개념적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인지된 사회적 지원

일이 잘못되었을 때 나를 도와줄 친구/가족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생각해 본 적이 있나요? 심리학자들은 이를 지각된 사회적 지지 또는 "심리적 지지감"이라고 부릅니다(Gottlieb, 1985). 다른 사람들이 필요할 때 도움을 줄 것이라는 믿음은 얼마나 강력할까요? 이 질문을 조사하기 위해 Arnberg 박사와 동료들은 비극적인 2004년 인도양(또는 박싱데이) 쓰나미 생존자 4,600명에게 사건 발생 후 친구와 가족이 제공한 사회적 지원에 대한 인식을 물었습니다.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경험한 사람들은 도움이 필요할 때 다른 사람들이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즉, 인지된 지원)을 아는 것만으로도 가장 큰 혜택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즉, 스트레스의 정도에 따라 혜택의 정도는 달랐지만, 결론적으로 이러한 생존자들은 필요할 때 도움을 줄 사람이 주변에 있다는 사실을 아는 것만으로도 어느 정도 도움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지각된 지원은 웰빙과도 관련이 있었습니다. Brannan과 동료들(2012)은 이란, 요르단, 미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지각된 지지가 웰빙의 각 구성 요소(높은 긍정적 영향, 낮은 부정적 영향, 높은 삶의 만족도)를 예측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이와 유사하게, 코헨과 맥케이(1984)는 높은 수준의 지지가 스트레스에 대한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흥미롭게도 코헨 박사는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은 사람들이 감기에 걸릴 확률이 낮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이 연구는 사회적 지지가 행복과 웰빙을 증가시키고 일반적으로 우리의 삶을 더 좋게 만든다는 것을 분명하게 보여줍니다(Diener & Seligman, 2002; Emmons & Colby, 1995).

사회적 지원 받기

A group of women wearing pink wigs and pink shirts pose together at the conclusion of a 5K race in support of those with breast cancer.
Social support is one of the ways people maintain healthy communities. [Image: Fort Belvoir Community Hospital, https://goo.gl/9f1c9N, CC BY-NC 2.0, https://goo.gl/VnKlK8]

받은 지원은 다른 사람으로부터 실제로 지원이나 도움 행동을 받는 것을 말합니다(Cohen & Wills, 1985). 흥미롭게도 지각된 지원과는 달리, 받은 지원의 이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엇갈린 결과가 나왔습니다(Stroebe & Stroebe, 1996). 지각된 지지와 마찬가지로 지지를 받으면 스트레스를 완충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지지를 원하지 않거나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친구의 데이트 조언은 엄마의 조언보다 더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흥미롭게도 연구에 따르면 지원을 제공하는 사람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지원을 받는 사람이 원하지 않는다면 그 지원은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Dunkel-Schetter, Blasband, Feinstein, & Herbert, 1992; Cutrona, 1986). 실제로 초보 ESOL 교사(다른 나라에서 영어를 제2외국어로 가르치는 교사; Brannan & Bleistein, 2012)는 멘토 지원을 부정적으로 보았습니다. 그러나 가족으로부터의 지원은 매우 긍정적인 것으로 인식되었는데, 교사들은 가족들이 자신의 직업에 대해 물어볼 정도로 관심을 가져주고 자랑스럽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반대로 멘토의 지원을 받는 것은 교사들의 필요를 충족시키지 못했으며, 오히려 멘토의 지원을 받는 것을 두렵고 부끄럽게 생각하게 만들었습니다.

품질 또는 수량?

여러 가지 엇갈린 연구 결과가 나오면서 심리학자들은 사회적 지지의 질이 중요한지, 아니면 양(예: 내 지원 네트워크에 더 많은 사람이 있는지)이 중요한지 질문해왔습니다. 흥미롭게도 80년 동안 캘리포니아 주민 1,500명을 대상으로 한 Friedman과 Martin(2011)의 연구에 따르면 사회적 관계의 질은 중요하지만, 사회적 관계망이 큰 사람이 작은 사람보다 훨씬 더 오래 산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이 연구는 친구/가족의 수를 세어봐야 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많으면 많을수록 좋겠죠?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Dunbar(1992; 1993)는 우리가 사회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사람의 수와 관련하여 인지적 한계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일반적인 합의는 약 150명 정도로, 우리는 약 150명 정도만 "실제로" 알 수 있고(연락을 유지하고 관계를 맺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연구에 따르면 다양성은 네트워크 측면에서도 중요한데, 친구, 부모, 이웃, 급우 등 다양한 유형의 사회적 네트워크(즉, 친구, 부모, 이웃, 급우 등 다양한 유형의 관계)를 가진 개인은 네트워크가 적고 다양하지 않은 사람에 비해 감기에 걸릴 확률이 낮았습니다(Cohen, Doyle, Turner, Alper, & Skoner, 2003). 요컨대, 양적인 관계뿐만 아니라 질적인 관계도 중요하며, 비틀즈의 말처럼 "필요한 것은 사랑뿐입니다." 사랑만 있으면 됩니다.

Outside Resources

Movie: Official Website of Catfish the Movie
http://www.iamrogue.com/catfish
Video: Ted Talk from Helen Fisher on the brain in love
http://www.ted.com/talks/helen_fisher_studies_the_brain_in_love.html
Video: The Science of Heartbreak
Web: Groundbreaking longitudinal study on longevity from Howard S. Friedman and Leslie R. Martin
http://www.howardsfriedman.com/longevityproject/

Discussion Questions

  1. What is more important—perceived social support or received social support? Why?
  2. We understand how the Internet has changed the dating scene—how might it further change how we become romantically involved?
  3. Can you love someone whom you have never met?
  4. Do you think it is the quality or quantity of your relationships that really matters most?

Vocabulary

Functional distance
The frequency with which we cross paths with others.
Mere-exposure effect
The notion that people like people/places/things merely because they are familiar with them.
Perceived social support
A person’s perception that others are there to help them in times of need.
Proximity
Physical nearness.
Received social support
The actual act of receiving support (e.g., informational, functional).
Support support network
The people who care about and support a person.

References

  • Adams, R. E., Santo, J., & Bukowski, W. M. (2011). The presence of a best friend buffers the effects of negative experiences. Developmental Psychology, 47(6), 1786–1791. doi:10.1037/a0025401
  • Aristotle. (n.d.). In poverty and other misfortunes of life…. BrainyQuote.com. Retrieved July 25, 2013, from http://www.brainyquote.com/quotes/quotes/a/aristotle148482.html
  • Armour, S. (2007, August 2). Friendships and work: A good or bad partnership? USA Today. Retrieved from http://usatoday30.usatoday.com/money/workplace/2007-08-01-work-friends_N.htm
  • Bargh, J. A., McKenna, K. Y. A, & Fitsimons, G. G. (2002). Can you see the real me? Activation and expression of the true self on the Internet. Journal of Social Issues, 58, 33–48.
  • Baumeister, R. & Leary, M. (1995). The need to belong: Desire for interpersonal attachments as a fundamental human motivation. Psychological Bulletin, 117(3), 497–529.
  • Benford, P. (2008). The use of Internet-based communication by people with autism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ottingham).
  • Brannan, D., & Bleisten, T. (2012). Novice ESOL teachers’ perceptions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TESOL Quarterly, 46, 519–541.
  • Brannan, D., Biswas-Diener, R., Mohr, C. D., Mortazavi, S., & Stein, N. (2012). Friends and family, a cross-cultural investigation of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8(1), 65–75.
  • Brissette, I., Cohen, S., & Seeman, T. E. (2000). Measuring social integration and social networks. In S. Cohen, L. Underwood, & B. Gottlieb (Eds.), Measuring and intervening in social support, (pp. 53–85),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 Cacioppo, S., Bianchi-Demicheli, F., Hatfield, E., & Rapson, R. L. (2012). Social neuroscience of love. Clinical Neuropsychiatry, 9(1), 3–13.
  • Cohen, E. (2007, February 15). Loving with all your … brain. CNN.com. Retrieved July 25th, 2013, from http://www.cnn.com/2007/HEALTH/02/14/love.science/.
  • Cohen, S., & McKay, G. (1984). Social support, stress,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A theoretical analysis. In A. Baum, J. E. Singer, & S. E. Taylor (Eds.), Handbook of psychology and health (pp. 253–267), Volume IV. Hillsdale, NJ: Erlbaum.
  • Cohen, S., & Will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 310–357.
  • Cohen, S., Doyle, W. J., Turner, R. B., Alper, C. M., & Skoner, D. P. (2003). Sociability and susceptibility to the common cold. Psychological Science, 14, 389–395.
  • Cutrona, C. (1986). Behavioral manifestations of social support: A microanalytic investig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1), 201–208.
  • Diener, E. & Seligman, M. E. P. (2002). Very happy people. Psychological Science, 13, 81–84.
  • Dunbar, R. I. M. (1993). Coevolution of neocortical size, group size and language in humans.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16, 681–735.
  • Dunbar, R. I. M. (1992). Neocortex size as a constraint on group size in primates. Journal of Human Evolution, 22, 469–493. doi:10.1016/0047-2484(92)90081-J
  • Dunkel-Schetter, C., Blasband, D., Feinstein, L., & Herbert, T. (1992). Elements of supportive interactions: When are attempts to help effective? In Spacapan, S. & Oskamp, S. (Eds.) Helping and being helped: Naturalistic studies. (pp. 83–114). Thousand Oaks, CA, US: Sage Publications, Inc.
  • Durkheim, E. (1951). Suicide: A study in sociology. Ornstein, R. & Swencionis, C. (Eds). New York, NY: Free Press.
  • Elsesser, L., & Peplau, L. A. (2006). The glass partition: Obstacles to cross-sex friendships at work. Human Relations, 59(8), 1077–1100.
  • Emmons, R. A. & Colby, P. M. (1995). Emotional conflict and well-being relation to perceived availability, daily utilization, and observer reports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8, 947–959.
  • Fehr, B. (2008). Friendship formation. In S. Sprecher, A. Wenzel, & J. Harvey (Eds.), Handbook of Relationship Initiation (pp. 29–54). New York, NY: Psychology Press.
  • Feingold, Alan (1988). Matching for attractiveness in romantic partners and same-sex friends: A meta-analysis and theoretical critique. Psychological Bulletin 104, 226–235.
  • Finkel, E. J., Burnette J. L., & Scissors L. E. (2007). Vengefully ever after: Destiny beliefs, state attachment anxiety, and forgiv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 871–886.
  • Fisher, H. E., Brown, L. L., Aron, A., Strong, G., & Mashek, D. (2009). Reward, addiction, and emotion regulation systems associated with rejection in love. Journal of Neurophysiology, 104, 51–60.
  • Friedman, H. S. & Martin, L. R. (2011). The Longevity Project: Surprising Discoveries for Health and Long Life from the Landmark Eight-Decade Study. New York, NY: Hudson Street Press.
  • Gottlieb, B. H. (1985). Social support and community mental health. In S. Cohen & S. Syme (Eds.), Social Support and Health (pp. 303–326). Orlando, FL: Academic Press.
  • Gouldner, A. W. (1960). The norm of reciprocity: A preliminary statemen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25, 169–186.
  • Ingram, P., & Morris, M. W. (2007). Do people mix at mixers? Structure, homophily, and the “life of the party.”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52, 558–585.
  • Kaufman, B. E., & Hotchkiss, J. L. 2003. The economics of labor markets (6th ed.). Mason, OH: Thomson South-Western.
  • Levine, D. (2000). Virtual attraction: What rocks your boat. Cyberpsychology & Behavior, 3(4), 565–573. doi:10.1089/109493100420179
  • Madden, M. & Lenhart, A. (2006). Americans who are seeking romance use the Internet to help them in their search, but there is still widespread public concern about safety of online dating. Pew/Internet and American Life Project. Retrieved from http://www.pewinternet.org/Reports/2006/OnlineDating.aspx
  • Markus, H., & Kitayama, S. (1991). Culture and the self: Implications for cognition, emotion, and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98, 224–253.
  • McCann Hamilton, V. (2007) Human relations: The art and science of building effective relationships.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 McKenna, K. A. (2008) MySpace or your place: Relationship initiation and development in the wired and wireless world. In S. Sprecher, A. Wenzel, & J. Harvey (Eds.), Handbook of relationship initiation (pp. 235–247). New York, NY: Psychology Press.
  • McKenna, K. Y. A., Green, A. S., & Gleason, M. E. J. (2002). Relationship formation on the Internet: What’s the big attraction? Journal of Social Issues, 58, 9–31.
  • Mckillip, J., & Redel, S. L. (1983). External validity of matching on physical attractiveness for same- and opposite-sex couple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 328–337.
  • Moreland, R. L., & Beach, S. R. (1992). Exposure effects in the classroom: The development of affinity among students.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8, 255–276.
  • Reis, H. T., Sheldon, K. M., Gable, S. L., Roscoe, R., & Ryan, R. (2000). Daily well being: The role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6, 419–435.
  • Riordan, C. M., & Griffeth, R. W. (1995). The opportunity for friendship in the workplace: An underexplored construct.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10, 141–154.
  •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 Sternberg, R. J. (2007). Triangulating Love. In Oord, T. J. The Altruism Reader: Selections from Writings on Love, Religion, and Science (pp 331-347). West Conshohocken, PA: Templeton Foundation.
  • Sternberg, R. J. (2004). A Triangular Theory of Love. In Reis, H. T.; Rusbult, C. E. Close Relationships (pp: 528-276). New York, NY: Psychology Press.
  • Stroebe, W., & Stroebe, M. (1996). The social psychology of social support. In Social psychology: Handbook of basic principles (pp. 597–621). New York, NY: Guilford Press.
  • Taylor, L. S., Fiore, A. T., Mendelsohn, G. A., & Cheshire, C. (2011). “Out of my league”: A real-world test of the matching hypothesi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7, 942–955.
  • Triandis, H. C. (1995).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Boulder, CO: Westview.
  • Triangular Theory of Love. (n.d.). In Wikipedia. Retrieved April 3, 2013, from http://en.wikipedia.org/wiki/Triangular_theory_of_love
  • Zajonc, R. B. (1980). Feeling and thinking: Preferences need no inferences. American Psychologist, 35(2), 151–175.
  • Zajonc, R. B. (1968) Attitudinal effects of mere expos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 1–27.

Authors

  • Debi Brannan
    Debi Brannan, Assistant Professor at Western Oregon University where she directs a team of undergraduates/ post-bac students. She was the 2013 recipient of the Western Oregon University Psychology Student Association’s Professor of the Year award. She is currently working on a study with immigrants to examine social support, health, and well-being.
  • Cynthia D. Mohr
    Cynthia Mohr, Associate Professor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at Portland State University, has received funding from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and Department of Defense to stud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ir influence on health and well-being. She is also a recipient of the John Eliot Allen Outstanding Teacher Award.

Creative Commons License

Creative CommonsAttributionNon-CommericalShare-AlikeLove, Friendship, and Social Support by Debi Brannan and Cynthia D. Mohr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4.0 International License. Permissions beyond the scope of this license may be available in our Licensing Agreement.

How to cite this Noba module using APA Style

Brannan, D. & Mohr, C. D. (2023). Love, friendship, and social support. In R. Biswas-Diener & E. Diener (Eds), Noba textbook series: Psychology. Champaign, IL: DEF publishers. Retrieved from http://noba.to/s54tmp7k

This article was updated on 7월 3, 2023

심리학을 공부하기 위해 noba project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도전을 시작했습니다. 번역에 DeepL과 GPT-4를 적극적으로 활용했습니다.

You should also read:

사회적 비교(Social Comparison)

사회적 비교 By Stephen Garcia and Arnor Halldorsson University of Michigan 운동선수는 경주에 참가할 때 자신의 기록을 경쟁자의 기록과 관찰하고 비교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