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의 기능(Functions of Emotions)

감정의 기능

By and

San Francisco State University

감정은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우리 삶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모듈에서는 감정의 개인 내적 기능, 대인 관계적 기능, 사회적 및 문화적 기능의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이러한 기능에 대해 설명합니다. 감정의 개인 내적 기능 섹션에서는 감정이 우리 각 개인 내에서 수행하는 역할을 설명하고, 감정의 대인 관계 기능 섹션에서는 감정이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갖는 의미를 설명하며, 감정의 사회 및 문화적 기능 섹션에서는 사회와 문화 전반의 유지와 효과적인 기능에 대한 감정의 역할과 의미를 설명합니다. 전반적으로 감정은 우리 개인, 집단 내 타인과의 관계, 사회 전체에 의미와 기능을 갖는 심리 구성의 매우 중요한 측면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학습 목표

  • Gain an appreciation of the importance of emotion in human life.
  • Understand the functions and meanings of emotion in three areas of life: the intrapersonal, interpersonal, and social–cultural.
  • Give examples of the role and function of emotion in each of the three areas described.
  • 인간의 삶에서 감정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높입니다.
    삶의 세 가지 영역인 개인 내, 대인 관계, 사회 문화적 영역에서 감정의 기능과 의미를 이해합니다.
    설명한 세 가지 영역 각각에서 감정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예를 제시합니다.

소개

감정이 없는 삶은 상상할 수 없습니다. 우리는 야구 경기에서의 기쁨, 사랑하는 사람의 손길에서 오는 즐거움, 밤에 친구들과의 즐거운 시간 등 감정을 소중히 여깁니다. 사랑하는 사람이 죽었을 때의 슬픔, 폭력을 당했을 때의 분노, 무섭거나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우리를 압도하는 두려움, 자신의 죄가 공개되었을 때 타인에 대한 죄책감이나 수치심 등 부정적인 감정도 중요합니다. 감정은 삶의 경험을 채색하고 그 경험에 의미와 풍미를 부여합니다.

A man and woman embrace in the street.
Emotions help us navigate the complex social landscape of our lives. [Image: Gwenaël Piase, https://goo.gl/d4EDKS, CC BY-NC-SA 2.0, https://goo.gl/hSpkVI]

실제로 감정은 사람들의 삶에서 많은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한 세기가 훨씬 넘는 기간 동안 심리학의 과학적 탐구 주제였습니다(Cannon, 1927; Darwin, 1872; James, 1890). 이 모듈에서는 우리에게 감정이 있는 이유와 감정이 중요한 이유를 살펴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감정의 기능을 이해해야 하는데, 이 모듈에서는 아래에서 논의를 세 부분으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첫 번째는 감정의 개인 내적 기능에 관한 것으로, 감정이 우리 각 개인 내에서 수행하는 역할을 말합니다. 두 번째는 감정의 대인관계 기능으로, 감정이 집단 내에서 개인 간에 수행하는 역할을 말합니다. 세 번째는 감정의 사회적, 문화적 기능으로, 감정이 한 사회 내에서 사회 질서를 유지하는 데 있어 감정이 하는 역할을 말합니다. 결국 감정은 우리가 누구인지, 다른 사람과의 관계는 어떤지,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를 알려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감정은 사건에 의미를 부여하며, 감정이 없다면 그 사건은 단순한 사실에 불과할 것입니다. 감정은 대인 관계를 조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감정은 인간 사회를 하나로 묶는 문화적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감정의 개인 내적 기능

감정은 최소한의 의식으로 신속하게 행동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감정은 최소한의 사고로 행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빠른 정보 처리 시스템입니다(Tooby & Cosmides, 2008). 출생, 전투, 죽음, 유혹과 관련된 문제는 진화의 역사를 통해 발생해 왔으며, 감정은 인간이 최소한의 의식적 인지 개입으로 이러한 문제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진화했습니다. 감정이 없다면 공격할지, 방어할지, 도망칠지, 다른 사람을 돌볼지, 음식을 거부할지, 유용한 것에 접근할지 등에 대한 신속한 결정을 내릴 수 없었을 것이며, 이는 모두 진화의 역사에서 기능적으로 적응하고 생존에 도움이 된 것입니다. 예를 들어 상한 우유를 마시거나 썩은 달걀을 먹는 것은 우리의 복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그러나 혐오감이라는 감정은 애초에 섭취하지 않거나 토해내는 등 즉각적인 행동을 취하도록 도와줍니다. 이러한 반응은 궁극적으로 우리의 생존을 돕고 많은 생각 없이 즉각적으로 행동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적응적인 것입니다. 어떤 경우에는 앉아서 이성적으로 생각하고 비용 대비 편익을 계산하는 시간을 갖는 것이 목숨을 잃을 수도 있는 사치입니다. 감정은 그렇게 깊이 생각하지 않고도 행동할 수 있도록 진화했습니다.

즉각적인 행동을 위해 몸을 준비시키는 감정

A man displays a common expression of disgust - wrinkled nose, lowered brows, narrowed eyes, raised cheeks, and curled upper lip.
The emotion of disgust serves to protect us from toxins and contamination, of the physical and moral variety. [Image: Runs with Scissors, https://goo.gl/FQRxGa, CC BY-NC 2.0, https://goo.gl/tgFydH]

감정은 행동을 준비합니다. 감정이 유발되면 지각, 주의력, 추론, 학습, 기억, 목표 선택, 동기 부여 우선순위, 생리적 반응, 운동 행동, 행동 의사 결정과 같은 시스템을 조율합니다(Cosmides & Tooby, 2000; Tooby & Cosmides, 2008). 감정은 동시에 작동하는 경쟁 시스템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특정 시스템을 활성화하고 다른 시스템을 비활성화하여 환경 자극에 대한 조정된 반응을 가능하게 합니다(Levenson, 1999). 예를 들어, 두려움을 느끼면 우리 몸은 일시적으로 불필요한 소화 과정을 중단하여 타액이 감소하고(입이 마름), 혈액이 하반신으로 불균형하게 흐르고, 시야가 확장되며, 공기가 흡입되어 신체가 도망갈 준비를 합니다. 감정은 주관적 경험, 표현적 행동, 생리적 반응, 행동 경향, 인지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 시스템을 시작하며, 이 모든 것이 특정 행동을 목적으로 하며, 실제로 '감정'이라는 용어는 이러한 반응에 대한 은유입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감정에 대해 흔히 오해하는 것 중 하나는 감정이 항상 직접적으로 행동을 유발해야 한다는 믿음입니다. 이는 사실이 아닙니다. 감정이 행동을 준비시키는 것은 분명하지만, 사람들이 실제로 행동에 나서는지 여부는 감정이 발생한 맥락, 감정의 대상, 행동의 인지된 결과, 이전 경험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Baumeister, Vohs, DeWall, & Zhang, 2007; Matsumoto & Wilson, 2008). 따라서 감정은 행동을 결정하는 여러 요인 중 하나에 불과하지만 중요한 요인입니다.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감정

감정은 생각과 기억과도 연결됩니다. 기억은 단순히 뇌에 부호화된 사실이 아니라 그 사실이 일어났을 때 느낀 감정으로 채색됩니다(Wang & Ross, 2007). 따라서 감정은 우리 마음속에서 이질적인 사실들을 연결하는 신경 접착제 역할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행복할 때는 행복한 생각을, 화가 났을 때는 화가 났던 때를 더 쉽게 기억할 수 있습니다. 감정은 우리가 세상과 주변 사람들에 대해 가지고 있는 많은 태도, 가치, 신념의 정서적 기반이 되며, 감정이 없다면 이러한 태도, 가치, 신념은 의미 없는 진술에 불과할 것이고, 감정은 이러한 진술에 의미를 부여합니다. 감정은 때로는 건설적인 방식으로, 때로는 그렇지 않은 방식으로 우리의 사고 과정에 영향을 미칩니다. 격렬한 감정을 느낄 때 비판적이고 명확하게 생각하기는 어렵지만 감정에 압도되지 않을 때는 더 쉽습니다(Matsumoto, Hirayama, & LeRoux, 2006).

미래의 행동에 동기를 부여하는 감정

감정은 즉각적인 행동을 준비하고, 생각에 영향을 미치며, 느낄 수 있기 때문에 미래 행동의 중요한 동기 부여가 됩니다. 많은 사람들이 성취와 업적에 대한 만족감, 기쁨, 자부심 또는 승리의 감정을 경험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동시에 우리는 강한 부정적 감정을 피하기 위해 매우 열심히 노력합니다. 예를 들어 상한 우유를 마시고 혐오감을 느낀 적이 있다면, 일반적으로 우유를 사기 전에 라벨의 유통기한을 확인하고, 우유를 마시기 전에 냄새를 맡고, 커피를 마시기 전에 우유가 굳는지 확인하는 등 다시는 그러한 감정을 느끼지 않기 위해 매우 열심히 노력합니다. 따라서 감정은 즉각적인 행동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미래의 행동에 중요한 동기 부여의 근거가 됩니다.

감정의 대인관계 기능

A happy couple embrace and smile broadly.
Emotions can act as signals to our friends and partners, conveying information about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Image: mynameisharsha, https://goo.gl/HY2XgV, CC BY-SA 2.0, https://goo.gl/rxiUsF]

감정은 말을 통해 언어적으로 표현되기도 하고 얼굴 표정, 목소리, 제스처, 몸의 자세, 움직임 등을 통해 비언어적으로 표현되기도 합니다. 우리는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할 때 끊임없이 감정을 표현하고, 다른 사람은 이러한 감정 표현을 신뢰성 있게 판단할 수 있으므로(Elfenbein & Ambady, 2002; Matsumoto, 2001), 감정은 다른 사람에게 신호적 가치를 가지며 다른 사람과 우리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칩니다. 감정과 그 표현은 우리의 감정, 의도, 감정의 대상과의 관계 및 환경에 대한 정보를 다른 사람에게 전달합니다. 감정은 이러한 의사소통적 신호 가치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반응을 불러일으키고, 대인 관계의 본질을 알리고, 바람직한 사회적 행동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Keltner, 2003).

감정 표현은 수용자의 특정 행동을 촉진합니다.

얼굴의 감정 표현은 보편적인 사회적 신호이므로 표현하는 사람의 심리 상태뿐만 아니라 그 사람의 의도와 후속 행동에 대한 의미도 담고 있습니다. 이 정보는 인식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두려운 표정을 관찰한 사람은 접근 관련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은 반면, 화난 표정을 관찰한 사람은 회피 관련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Marsh, Ambady, & Kleck, 2005). 미소를 잠재의식적으로 표현하는 것만으로도 사람들이 음료를 따르고 소비하는 양과 지불할 의향이 증가하지만, 화난 표정을 표현하면 이러한 행동이 감소합니다(Winkielman, Berridge, & Wilbarger, 2005). 또한 감정 표출은 관찰자로부터 구체적이고 보완적인 감정 반응을 불러일으키는데, 예를 들어 분노는 다른 사람에게 두려움을 불러일으키는 반면(Dimberg & Ohman, 1996; Esteves, Dimberg, & Ohman, 1994), 고통은 동정심과 도움을 불러일으킵니다(Eisenberg et al., 1989).

감정 표현은 대인 관계의 본질을 알려줍니다.

감정 표현은 상호 작용자 간의 관계의 본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 분야에서 가장 중요하고 도발적인 연구 결과 중 일부는 부부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나온 것입니다(Gottman & Levenson, 1992; Gottman, Levenson, & Woodin, 2001). 이 연구에서 부부는 24시간 동안 서로를 보지 못한 후 실험실을 방문하여 일상적인 사건이나 갈등 문제에 대해 친밀한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특히 남성은 경멸을, 여성은 혐오를 개별적으로 표현하면 나중에 결혼 생활에 대한 불만족과 이혼까지 예측할 수 있었습니다.

감정 표현은 바람직한 사회적 행동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합니다.

얼굴의 감정 표현은 사회적 상호작용의 중요한 조절자입니다. 발달 문헌에서 이 개념은 사회적 참조라는 개념으로 연구되어 왔습니다(Klinnert, Campos, & Sorce, 1983). 즉, 유아가 상황을 명확히 하기 위해 다른 사람으로부터 정보를 찾고 그 정보를 사용하여 행동하는 과정입니다. 현재까지 사회적 참조에 대한 가장 강력한 증거는 시각적 절벽에 대한 연구에서 나왔습니다. 이 개념을 조사하기 위한 첫 번째 연구에서 Campos와 동료들(Sorce, Emde, Campos, & Klinnert, 1985)은 어머니를 유아로부터 '절벽'의 맨 끝에 배치했습니다. 어머니는 먼저 영아에게 미소를 지으며 안전 유리 위에 장난감을 올려놓아 영아를 유인했고, 영아는 어김없이 어머니에게 기어오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유아가 테이블 중앙에 있을 때 어머니는 두려움, 슬픔, 분노, 관심 또는 기쁨의 표정을 지었습니다. 그 결과, 엄마가 두려움 표정을 지었을 때 테이블을 가로지르는 유아는 한 명도 없었으며, 엄마가 분노 표정을 지었을 때는 6%, 엄마가 슬픔 표정을 지었을 때는 33%, 엄마가 기쁨이나 관심 표정을 지었을 때는 약 75%의 유아가 테이블을 가로지르는 등 얼굴에 따라 결과가 확연히 달랐습니다.

다른 연구에서도 사회적 상호작용의 조절자로서 얼굴 표정을 유사하게 지지하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한 연구(Bradshaw, 1986)에서 실험자들은 아기가 물체를 향해 움직일 때 중립, 분노 또는 혐오의 표정을 짓고 아기가 물체를 만질 때 보이는 억제 정도를 측정했습니다. 10개월과 15개월 아기의 결과는 동일했습니다. 분노가 가장 큰 억제력을 보였고, 혐오감이 그 뒤를 이었으며, 중립이 가장 적었습니다. 이 연구는 나중에 기쁨과 혐오 표정을 사용하여 반복되었으며(Hertenstein & Campos, 2004), 유아가 표정에 노출된 후 1시간이 지날 때까지 장난감을 만지지 못하도록 방법을 변경했습니다(방해물체와 비교). 생후 14개월이 되었을 때, 즐거운 표정을 보았을 때 장난감을 만지는 유아가 훨씬 더 많았지만, 혐오스러운 표정을 보았을 때는 장난감을 만지는 유아가 더 적었습니다.

감정의 사회적, 문화적 기능

An infant showing a big open-mouthed grin.
Although there are cultural differences in the display of emotion, almost all infants start showing emotion such as smiling or reacting to their caretaker as early as 6 weeks after their birth. [Image: vgm8383, https://goo.gl/jgfRDN, CC BY-NC 2.0, https://goo.gl/VnKlK8]

우리가 일상에서 당연하게 여기는 많은 것들을 곰곰이 생각해 보면, 현대인의 삶은 여러 집단과 개인의 삶이 복잡하면서도 기능적으로 엮인 다채로운 태피스트리라는 결론에 도달할 수밖에 없습니다. 예를 들어, 배가 고프면 가까운 식료품점에 가서 음식을 사 먹을 수 있습니다. 어떻게 그렇게 할 수 있는지 생각해 본 적이 있나요? 동남아시아의 한 밭에서 농부들이 나무를 심고, 가꾸고, 열매를 따서 재배한 바나나를 구매할 수도 있습니다. 농부들은 그 과일을 유통 체인에 넘겼을 것이고, 어딘가에서 여러 사람이 크레인, 트럭, 화물차, 배, 비행기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그 바나나를 매장으로 가져왔을 것입니다. 상점에는 고객이 바나나를 가져갈 때까지 바나나를 관리하고 (고객의 돈으로) 물물교환을 해줄 사람들이 있습니다. 다른 사람이 세계 어딘가에서 생산한 차량을 타고 가게에 도착했을 수도 있고, 다른 사람이 다른 어딘가에서 생산한 옷을 입고 있었을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인간의 사회생활은 복잡합니다. 개인은 다양한 사회적 역할, 규범, 기대치를 가진 여러 집단의 구성원이며, 사람들은 자신이 속한 여러 집단 안팎으로 빠르게 이동합니다. 게다가 인간의 사회생활은 다양한 배경을 가진 많은 사람들이 모여 사는 도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매우 독특합니다. 따라서 개인이 잘 조율되지 않고 관계가 체계적으로 조직되지 않으면 사회적 혼란이 쉽게 발생할 수 있는 엄청난 잠재력이 있습니다.

문화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는 이렇게 필요한 조율과 조직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개인과 집단은 인간 사회생활의 복잡성을 협상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회 질서를 유지하고 사회적 혼란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문화는 집단이 공유하고 세대를 거쳐 전승되는 의미와 정보 체계를 구성원에게 제공함으로써 생존의 기본 욕구를 충족하고 행복과 안녕을 추구하며 삶에서 의미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합니다(Matsumoto & Juang, 2013). 동남아시아에서 온 바나나가 여러분의 식탁에 오를 수 있었던 것도 바로 문화 덕분입니다.

Figure 1: The Role of Emotions in the Function of Culture

따라서 문화적으로 의미와 정보 체계를 구성원에게 전달하는 것은 문화의 중요한 측면입니다. 이러한 전달이 이루어지는 방법 중 하나는 감정과 관련된 세계관(태도, 가치, 신념, 규범 포함)의 발달을 통해 이루어집니다(Matsumoto & Hwang, 2013; Matsumoto et al., 2008). 감정과 관련된 세계관은 개인의 행동과 대인 관계를 조절하는 규범을 촉진하는 바람직한 감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우리의 문화적 배경은 어떤 감정이 이상적인지, 어떤 감정이 그렇지 않은지를 알려줍니다(Tsai, Knutson, & Fung, 2006). 감정과 관련된 정보의 문화적 전달은 양육자에서 자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책, 영화, 광고 등과 같은 문화 상품을 통해서도 이루어집니다(Schönpflug, 2009; Tsai, Louie, Chen, & Uchida, 2007).

Two Japanese school girls smile and flash a typical "V-sign" as the pose for a photo.
Cultural display rules teach us how to manage our emotions. For example, in many Asian countries children are taught to mute their emotions, especially negative emotions like anger. [Image: john.gillespie, https://goo.gl/gTdPYb, CC BY-SA 3.0, https://goo.gl/eLCn2O]

문화는 또한 우리가 감정을 경험할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 즉 감정을 관리하거나 수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줍니다. 이를 수행하는 방법 중 하나는 문화적 표현 규칙을 통해 감정 표현을 관리하는 것입니다(Friesen, 1972). 이러한 규칙은 사회적 상황에 따라 감정 표현을 관리하고 수정하는 방법을 명시하는 어릴 때부터 학습되는 규칙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큰 남자는 울지 않는다"는 것을 배우거나 상사의 농담이 재미없어도 웃어야 한다는 것을 배웁니다. 문화는 개인이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사람들이 감정을 경험하는 방식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문화의 주요 기능 중 하나는 집단의 효율성과 생존을 보장하기 위해 사회 질서를 유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문화는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감정이 중요한 대내외적 기능을 하고 행동의 중요한 동기가 되기 때문에 감정에 관한 세계관, 규칙, 지침 및 규범을 만듭니다. 모든 문화권에서 감정과 그 규제에 관한 규범은 사회 질서 유지라는 목적에 부합합니다. 문화적 세계관과 규범은 애초에 특정 종류의 감정적 경험을 하도록 돕고, 감정적 경험을 한 후에는 그 반응과 후속 행동을 관리함으로써 감정적 반응(따라서 행동)을 관리하고 수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를 통해 문화적으로 조절된 감정은 우리가 문화에 따라 정의된 사회적으로 적절한 행동을 하도록 도와 사회적 복잡성을 줄이고 사회 질서를 높여 사회적 혼란을 피할 수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이 우리가 집단 속에서 비교적 조화롭고 건설적인 삶을 살 수 있게 해줍니다. 만약 감정에 대한 문화적 세계관과 규범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사람들은 온갖 종류의 감정적 경험을 하고, 감정을 표현하고, 예측할 수 없고 잠재적으로 해로운 방식으로 행동할 것입니다. 만약 감정이 공동의 사회적 이익을 위해 문화적으로 정의된 방식으로 규제되지 않는다면, 집단과 사회가 효과적으로 기능하기는 물론 인간이 한 종으로서 생존하는 것조차 매우 어려울 것입니다. 따라서 감정은 모든 사회와 문화가 성공적으로 기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Outside Resources

Alberta, G. M., Rieckmann, T. R., & Rush, J. D. (2000). Issues and recommendations for teaching an ethnic/culture-based course. Teaching of Psychology, 27,102-107. doi:10.1207/S15328023TOP2702_05
http://top.sagepub.com/content/27/2/102.short
CrashCourse (2014, August 4). Feeling all the feels: Crash course psychology #25. [Video file]. Retrieved from:
Hughesm A. (2011). Exercises and demonstrations to promote student engagement in motivation and courses. In R. Miller, E. Balcetis, S. Burns, D. Daniel, B. Saville, & W. Woody (Eds.), Promoting Student Engagement: Volume 2: Activities, Exercises and Demonstrations for Psychology Courses. (pp. 79-82) Washington DC, Society for the Teaching of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http://teachpsych.org/ebooks/pse2011/vol2/index.php
Johnston, E., & Olson, L. (2015). The feeling brain: The biology and psychology of emotions. New York, NY: W.W. Norton & Company.
http://books.wwnorton.com/books/The-Feeling-Brain/
NPR News: Science Of Sadness And Joy: 'Inside Out' Gets Childhood Emotions Right
http://www.npr.org/sections/health-shots/2015/06/13/413980258/science-of-sadness-and-joy-inside-out-gets-childhood-emotions-right
Online Psychology Laboratory: Motivation and Emotion resources
http://opl.apa.org/Resources.aspx#Motivation
Web: See how well you can read other people’s facial expressions of emotion
http://www.humintell.com/free-demos/

Discussion Questions

  1. When emotions occur, why do they simultaneously activate certain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systems in the body and deactivate others?
  2. Why is it difficult for people to act rationally and think happy thoughts when they are angry? Conversely, why is it difficult to remember sad memories or have sad thoughts when people are happy?
  3. You’re walking down a deserted street when you come across a stranger who looks scared. What would you say? What would you do? Why?
  4. You’re walking down a deserted street when you come across a stranger who looks angry. What would you say? What would you do? Why?
  5. Think about the messages children receive from their environment (such as from parents, mass media, the Internet, Hollywood movies, billboards, and storybooks). In what ways do these messages influence the kinds of emotions that children should and should not feel?

Vocabulary

Cultural display rules
These are rules that are learned early in life that specify the management and modification of emotional expressions according to social circumstances. Cultural display rules can work in a number of different ways. For example, they can require individuals to express emotions “as is” (i.e., as they feel them), to exaggerate their expressions to show more than what is actually felt, to tone down their expressions to show less than what is actually felt, to conceal their feelings by expressing something else, or to show nothing at all.
Interpersonal
This refers to the relationship or interaction between two or more individuals in a group. Thus, the interpersonal functions of emotion refer to the effects of one’s emotion on others, or to the relationship between oneself and others.
Intrapersonal
This refers to what occurs within oneself. Thus, the intrapersonal functions of emotion refer to the effects of emotion to individuals that occur physically inside their bodies and psychologically inside their minds.
Social and cultural
Society refers to a system of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s and groups of individuals; culture refers to the meaning and information afforded to that system that is transmitted across generations. Thus, the social and cultural functions of emotion refer to the effects that emotions have on the functioning and maintenance of societies and cultures.
Social referencing
This refers to the process whereby individuals look for information from others to clarify a situation, and then use that information to act. Thus, individuals will often use the emotional expressions of others as a source of information to make decisions about their own behavior.

References

  • Baumeister, R. F., Vohs, K. D., DeWall, N., & Zhang, L. (2007). How emotion shapes behavior: Feedback, anticipation, and reflection, rather than direct causat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11(2), 167–203.
  • Bradshaw, D. (1986). Immediate and prolonged effectiveness of negative emotion expressions in inhibiting infants' actio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 Cannon, W. B. (1927). The James–Lange theory of emotions: A critical examination and an alternative theory.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39, 106–124.
  • Cosmides, L., & Tooby, J. (2000). Evolutionary psychology and the emotions. In M. Lewis & J. M. Haviland-Jones (Eds.), Handbook of emotions (2nd ed., pp. 91–115). New York, NY: Guilford Press.
  • Darwin, C. (1872). The expression of emotion in man and animals.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 Dimberg, U., & Ohman, A. (1996). Behold the wrath: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to facial stimuli. Motivation & Emotion, 20(2), 149–182.
  • Eisenberg, N., Fabes, R. A., Miller, P. A., Fultz, J., Shell, R., Mathy, R. M., & Reno, R. R. (1989). Relation of sympathy and distress to prosocial behavior: A multimethod stud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55–66.
  • Elfenbein, H. A., & Ambady, N. (2002). On the universality and cultural specificity of emotion recognition: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28(2), 205–235.
  • Esteves, F., Dimberg, U., & Ohman, A. (1994). Automatically elicited fear: Conditioned skin conductance responses to masked facial expressions. Cognition and Emotion, 8(5), 393–413.
  • Friesen, W. V. (1972). Cultural differences in facial expressions in a social situation: An experimental test of the concept of display rul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an Francisco, CA: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 Gottman, J. M., & Levenson, R. W. (1992). Marital processes predictive of later dissolution: Behavior, physiology, and healt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3(2), 221–223.
  • Gottman, J. M., Levenson, R. W., & Woodin, E. (2001). Facial expressions during marital conflict. Journal of Family Communication, 1, 37–57.
  • Hertenstein, M. J., & Campos, J. J. (2004). The retention effects of an adult's emotional displays on infant behavior. Child Development, 75(2), 595–613.
  • James, W. (1890). The principles of psychology. New York, NY: Holt.
  • Keltner, D. (2003). Expression and the course of life: Studies of emotion, personality, and psychopathology from a social-functional perspective. In P. Ekman, J. Campos, R. J. Davidson, & F.B.M. De Waal (Eds.), Emotions inside out: 130 years after Darwin's “The expression of the emotions in man and animals” (Vol. 1000, pp. 222–243). New York, NY: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 Klinnert, M. D., Campos, J. J., & Sorce, J. F. (1983). Emotions as behavior regulators: Social referencing in infancy. In R. Plutchik & H. Kellerman (Eds.), Emotion: Theory, research, and experience (pp. 57–86). New York, NY: Academic Press.
  • Levenson, R. W. (1999). The intrapersonal functions of emotion. Cognition and Emotion, 13(5), 481–504.
  • Marsh, A. A., Ambady, N., & Kleck, R. E. (2005). The effects of fear and anger facial expressions on approach- and avoidance-related behaviors. Emotion, 5(1), 119–124.
  • Matsumoto, D. (2001). Culture and emotion. In D. Matsumoto (Ed.), The handbook of culture and psychology (pp. 171–194).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 Matsumoto, D., & Hwang, H. C. (2013). Assessing cross-cultural competence: A review of available test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44(6), 849–873.
  • Matsumoto, D., & Juang, L. (2013). Culture and psychology (5th ed.). Belmont, CA: Cengage.
  • Matsumoto, D., & Wilson, J. (2008). Culture, emotion, and motivation. In R. M. Sorrentino & S. Yamaguchi (Eds.), Handbook of motivation and cognition across cultures (pp. 541–563). New York, NY: Elsevier.
  • Matsumoto, D., Hirayama, S., & LeRoux, J. A. (2006). Psychological skills related to adjustment. In P.T.P. Wong & L.C.J. Wong (Eds.), Handbook of multicultural perspectives on stress and coping (pp. 387–405). New York, NY: Springer.
  • Matsumoto, D., Yoo, S. H., Nakagawa, S., Alexandre, J., Altarriba, J., Anguas-Wong, A. M., et al. (2008). Culture, emotion regulation, and adjust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4(6), 925–937.
  • Schönpflug, U. (Ed.). (2009). Cultural transmission: Developmental, psychological, social and methodological aspects.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 Sorce, J. F., Emde, J. J., Campos, J. J., & Klinnert, M. D. (1985). Maternal emotional signaling: Its effect on the visual cliff behavior of 1-year-olds. Developmental Psychology, 21, 195–200.
  • Tooby, J., & Cosmides, L. (2008). The evolutionary psychology of the emotions and their relationship to internal regulatory variables. In M. Lewis, J. M. Haviland-Jones, & L. Feldman Barrett (Eds.), Handbook of Emotions (3rd ed., pp. 114–137).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 Tsai, J. L., Knutson, B., & Fung, H. H. (2006). Cultural variation in affect valu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0(2), 288–307.
  • Tsai, J. L., Louie, J. Y., Chen, E. E., & Uchida, Y. (2007). Learning what feelings to desire: Socialization of ideal affect through children’s storybook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3(1), 17–30.
  • Wang, Q., & Ross, M. (2007). Culture and memory. In S. Kitayama & D. Cohen (Eds.), Handbook of cultural psychology (pp. 645–667). New York, NY: Guilford.
  • Winkielman, P., Berridge, K. C., & Wilbarger, J. L. (2005). Unconscious affective reactions to masked happy versus angry faces influence consumption behavior and judgments of valu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1(1), 121–135.

Authors

  • Hyisung Hwang
    Hyisung C. Hwang is Research Scientist at Humintell and Adjunct Faculty at San Francisco State University. She is co-creator of many training tools that teach individuals how to recognize facial expressions of emotion, an author of a number of scientific publications, and co-editor of Nonverbal Communication: Science and Applications.
  • David Matsumoto
    David Matsumoto is Professor of Psychology at San Francisco State University and Director of Humintell. He has studied culture, nonverbal behavior, emotion, facial expressions, and gestures for over 30 years, and has conducted much of the seminal research in these fields, publishing over 150 journal articles in peer-reviewed, scientific journals.

Creative Commons License

Creative CommonsAttributionNon-CommericalShare-AlikeFunctions of Emotions by Hyisung Hwang and David Matsumoto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4.0 International License. Permissions beyond the scope of this license may be available in our Licensing Agreement.

How to cite this Noba module using APA Style

Hwang, H. & Matsumoto, D. (2023). Functions of emotions. In R. Biswas-Diener & E. Diener (Eds), Noba textbook series: Psychology. Champaign, IL: DEF publishers. Retrieved from http://noba.to/w64szjxu

This article was updated on 7월 3, 2023

심리학을 공부하기 위해 noba project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도전을 시작했습니다. 번역에 DeepL과 GPT-4를 적극적으로 활용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