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력(Cooperation)

Cooperation

By and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인간은 사회적 동물입니다. 즉, 우리는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그룹으로 협력합니다. 고층 빌딩을 짓는 일부터 외딴 섬나라에 소포를 배달하는 일까지, 현대 생활에서 사람들은 서로 협력해야 합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이기심에 의해 동기를 부여받기도 하는데, 이는 종종 효과적인 협력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되기도 합니다. 이 모듈에서는 협력의 개념과 협력에 도움이 되기도 하고 방해가 되기도 하는 프로세스를 살펴봅니다.

학습 목표

  • Define "cooperation"
  •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social value orientations
  • List 2 influences on cooperation
  • Explain 2 methods psychologists use to research cooperation
  • "협력" 정의하기
    다양한 사회적 가치 지향점 구분하기
    협력에 미치는 영향 2가지 나열하기
    심리학자들이 협력을 연구하는 데 사용하는 두 가지 방법을 설명하세요.

소개

1800년대 초까지만 해도 사람들은 프랑스와 영국을 연결하기 위해 바다 밑에 터널을 건설하는 것을 상상했습니다. 하지만 20마일(32km)이 넘는 영국 해협 밑을 파는 것은 엄청나게 어렵고 힘든 일이었습니다. 막대한 자원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두 나라 사람들의 노력을 조율해야 했기 때문입니다. 1988년에 이르러서야 채널 터널(또는 '터널'로 알려진)에 대한 아이디어가 꿈에서 현실로 바뀌면서 공사가 시작되었습니다. 3개의 은행에서 자금을 조달한 10개의 건설 회사가 6년 동안 공사를 완공했습니다. 수십 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터널은 엔지니어링과 협업의 놀라운 업적으로 남아있습니다. 심리 과학의 렌즈를 통해 본 이 프로젝트는 사람들이 함께 일할 때 어떤 일이 가능한지 보여주는 고무적인 사례입니다. 인간은 생존하고 번영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과 협력해야 합니다. 협력, 즉 집단 전체에 이익이 되는 목표를 향해 여러 개인이 협력하는 것은 인간 사회생활의 기본적인 특징입니다.

A train exits the Channel Tunnel.
The Channel Tunnel – an example of real-world cooperation between people. [Image: Sam Churchill, http://goo.gl/ildZrk, CC BY 2.0, http://goo.gl/v4Y0Zv]

친구들과 놀이터에서, 가족과 함께 집에서, 동료들과 직장에서 협동은 자연스러운 본능입니다(Keltner, Kogan, Piff, & Saturn, 2014). 생후 14개월의 어린 아이들도 공동 작업을 할 때 다른 사람과 협력합니다(Warneken, Chen, & Tomasello, 2006; Warneken & Tomasello, 2007). 인간의 가장 가까운 진화적 친척인 침팬지와 보노보 역시 자원을 공유하고 서로의 새끼를 돌보는 등 장기적인 협력 관계를 유지합니다(de Waal & Lanting, 1997; Langergraber, Mitani, & Vigilant, 2007). 초기 인류 정착지 근처에서 발견된 고대 동물 유골은 우리 조상들이 협동하여 사냥을 했음을 시사합니다(Mithen, 1996). 이처럼 협동은 인류의 진화 유산에 내재되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협동은 달성하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사람들이 팀에서 효과적으로 일하는 능력이나 다른 사람들과 협력하려는 의지가 종종 무너집니다. 기후 변화나 세계 기아처럼 대규모 협력을 통해서만 해결할 수 있는 문제에서도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과 힘을 합쳐 집단 행동을 취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심리학자들은 삶의 여러 영역에서 협력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수많은 개인적, 상황적 요인을 밝혀냈습니다. 사람들이 다른 사람에 대해 갖는 신뢰에서부터 '우리'와 '그들' 사이에 그어지는 경계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프로세스가 협력을 형성합니다. 이 모듈에서는 협력에 대한 이러한 개인적, 상황적, 문화적 영향을 살펴봅니다.

죄수의 딜레마

여러분이 사회 실험에 참여한다고 상상해 보세요. 자리에 앉자마자 다른 사람과 다른 방에서 게임을 할 것이라는 안내가 나옵니다. 다른 참가자도 실험의 일부이지만 두 사람은 절대 만날 수 없습니다. 이 실험에서는 약간의 돈을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여러분과 모르는 파트너는 '협력'하여 합산 보상을 최대화하거나, '결함'(협력하지 않음)을 선택하여 개별 보상을 최대화하거나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다른 참가자와 함께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아래 그림 1에 표시된 세 가지 고유한 결과 중 하나가 이 과제에 적용됩니다. 귀하와 파트너가 모두 협력하면(1), 각각 $5를 받게 됩니다. 귀하와 파트너가 모두 탈북하면(2), 각각 $2를 받게 됩니다. 그러나 한 파트너가 탈북하고 다른 파트너가 협력하면(3), 탈북자는 $8를 받고 협력자는 아무것도 받지 못합니다. 파트너와 전략을 논의할 수 없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어떤 전략을 선택하시겠습니까? 혼자서 공격하면 큰 보상을 약속하지만 모든 것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반면에 협력하는 것은 가장 많은 사람에게 최고의 혜택을 제공하지만 높은 수준의 신뢰가 필요합니다.

A diagram of the four possible outcomes of the Prisoner's Dilemma as described in the text.
Figure 1. The various possible outcomes of a prisoner’s dilemma scenario

두 사람이 독립적으로 협력과 탈옥 중 하나를 선택하는 이 시나리오를 죄수의 딜레마라고 합니다. 죄수의 딜레마는 범죄를 저지른 두 명의 죄수에게 (A) 둘 다 범죄를 자백하고 적당한 형량을 받거나 (B) 공범을 고발하고 더 낮은 형량을 받거나 (C) 둘 다 침묵하고 처벌을 피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는 상황에서 유래한 이름입니다. 심리학자들은 다양한 형태의 죄수의 딜레마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자기 이익과 협력을 연구합니다. 금전적 게임이든 감옥 게임이든, 죄수의 딜레마는 많은 협력 결정의 핵심에 있는 갈등, 즉 개인적 보상을 극대화하려는 동기와 집단(나와 파트너를 합친 것)의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동기가 대립하는 상황을 조명합니다.

자신의 개인적 보상을 극대화하려는 사람에게 가장 '합리적인' 선택은 협력하지 않고 탈당하는 것입니다. 탈당은 파트너의 선택과 관계없이 항상 더 큰 개인적 보상을 가져다주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두 참여자가 파트너십을 공동의 노력으로 간주하는 경우(예: 우호적인 관계), 부분적인 협력(8달러) 또는 상호 탈북(4달러)과 달리 협력하는 것이 가장 큰 총액(10달러-두 사람이 공유하는 금액)을 제공하기 때문에 가장 좋은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탈북은 개인의 입장에서는 '최선의' 선택이지만, 집단 전체로 보면 최악의 선택이기도 합니다.

개인적 이익과 집단적 이익 사이의 이러한 차이는 사람들의 협력을 방해하는 주요 장애물입니다. 협력이란 여러 파트너가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공동의 목표를 향해 함께 일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유형의 시나리오에서 흔히 볼 수 있듯이, 위의 죄수의 딜레마 예시에서 볼 수 있듯이 협력이 전체 그룹에 이익이 되더라도 개인은 탈북을 통해 더 큰 개인적 보상을 얻을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음악을 좋아하시나요? 라이브 음악 콘서트에서 죄수의 딜레마 현상의 작은 실제 사례를 볼 수 있습니다. 좌석이 있는 공연장에서는 많은 관객이 무대 위의 뮤지션을 더 잘 보기 위해 스탠딩을 선택합니다. 그 결과, 서 있는 관객의 바로 뒤에 앉은 사람들도 무대 위 공연을 보기 위해 서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이로 인해 전체 관객이 앞 관객의 머리 위를 보기 위해 서 있어야 하는 연쇄 반응이 발생합니다. 스탠딩을 선택하면 자신의 콘서트 경험은 향상될 수 있지만, 나머지 관객에게는 말 그대로 장벽이 생겨 전체 관객의 경험에 해를 끼칩니다.

합리적 이기심에 대한 단순한 모델은 협동 작업에서 100% 이탈을 예측합니다. 즉, 사람들이 자신의 이익에만 관심이 있다면 항상 이기적인 행동을 보일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죄수의 딜레마 및 이와 유사한 과제에서는 놀랍게도 협력하는 경향이 있습니다(Batson & Moran, 1999; Oosterbeek, Sloof, Van De Kuilen, 2004). 탈북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점이 분명한데, 왜 어떤 사람들은 협조를 선택하고 어떤 사람들은 탈북을 선택하는 것일까요?

협력의 개인차

사회적 가치 오리엔테이션

협력의 개인차와 관련된 한 가지 핵심 요소는 사람들이 자신의 결과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결과도 중요하게 여기는 정도입니다. 사회적 가치 지향성(SVO)은 중요한 자원을 자신과 다른 사람 사이에 나눌 때 사람들이 선호하는 방식을 설명합니다(Messick & McClintock, 1968). 예를 들어, 사람은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과 경쟁적일 수도 있고, 협력적일 수도 있으며, 자기 희생적일 수도 있습니다. 사회적 가치관이 다른 사람들은 다른 사람의 결과와 비교하여 자신의 긍정적인 결과를 중요하게 여기는 정도에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말 동안 지출이 줄어드는데도 불구하고 친구가 학교에 데려다준다는 이유로 친구에게 주유비를 줄 수 있습니다. 이 예에서 여러분은 협력 지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협동적, 개인주의적, 경쟁적 세 가지 SVO 유형 중 하나에 속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모두에게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다주기를 원하지만(협동적 성향), 특정 유형의 사람들은 다른 사람의 결과에 대해 덜 신경 쓰거나(개인주의적 성향), 심지어는 앞서 나가기 위해 다른 사람을 약화시키려고 하기도 합니다(경쟁적 성향).

자신의 성향이 궁금하신가요? 심리학자들이 사람들을 이러한 범주 중 하나로 분류하기 위해 사용하는 한 가지 기법은 일련의 분해된 게임, 즉 자신과 "타인" 사이의 다양한 자원 분포 중에서 선택을 해야 하는 짧은 실험실 연습을 하게 하는 것입니다. 그림 2에 표시된 예시를 생각해 보세요. 귀중한 자원(예: 돈)을 분배하는 세 가지 방법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타인에 대한 상대적 우위를 극대화하려는 경쟁적 SVO를 가진 사람은 옵션 A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자신과 타인의 공동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협력적 SVO를 가진 사람은 자원을 균등하게 분배하려는 옵션 B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계없이 항상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개인주의적 SVO를 가진 사람은 옵션 C를 선택할 가능성이 가장 높습니다.

Figure 2 compares three possible outcomes in an SVO decomposed game. Outcome A: You get 500, the other gets 100. Outcome B: You get 500, the other gets 500. Outcome C: You get 550, the other gets 300.
Figure 2. Example of an SVO decomposed game used to determine how competitive or cooperative a person is.

연구자들은 사람의 SVO가 실험실 실험과 외부 세계에서 얼마나 협조적인지 예측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예를 들어, 한 실험실 실험에서 참가자들에게 공유지 딜레마 게임을 하도록 요청했습니다. 이 게임에서 참가자들은 실험이 끝날 때 실제 돈으로 교환할 수 있는 중앙의 포인트 모음에서 돌아가면서 포인트를 뽑았습니다. 이 포인트는 농지, 지하수, 대기질과 같이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지만 남용되거나 훼손되기 쉬운 사회의 가치 있는 재화나 서비스처럼 그룹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자원을 나타냅니다. 참가자들에게 공동 풀 자원은 매 턴이 끝나면 서서히 보충되지만, 너무 빨리 너무 많은 자원을 가져가면 결국 고갈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었습니다. 연구자들은 협력적 SVO를 가진 참가자가 경쟁적이고 개인주의적인 SVO를 가진 참가자보다 공동 풀에서 자원을 더 적게 인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다른 사람들과 협력하고 그룹을 위해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행동하려는 의지가 더 크다는 것을 나타냅니다(Kramer, McClintock, & Messick, 1986; Roch & Samuelson, 1997).

또한 연구에 따르면 협력적 SVO를 가진 사람들은 경쟁적이고 개인주의적인 SVO를 가진 사람들에 비해 탄소 배출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협력 행위인 대중교통을 이용해 출퇴근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Van Vugt, Meertens, & Van Lange, 1995; Van Vugt, Van Lange, & Meertens, 1996). 또한 협력적 SVO를 가진 사람들은 자원 봉사나 자선 단체에 기부하는 등 다른 사람을 돕기 위한 행동에 더 자주 참여합니다(McClintock & Allison, 1989; Van Lange, Bekkers, Schuyt, Van Vugt, 2007).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협력적 SVO를 가진 사람들은 다른 사람과 집단 전체의 전반적인 복지를 더 많이 고려하고, 자원을 적당히 사용하며, 집단에 이익을 주기 위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등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행동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공감 능력

Two young boys happily cooperating on putting the ingredients together for a recipe.
Feelings of empathy lead to greater levels of cooperation. Research shows that even young children cooperate more when experiencing feelings of empathy. [Image: US Army, https://goo.gl/psWXOe, CC BY 2.0, https://goo.gl/BRvSA7]

공감은 다른 사람의 감정적 경험을 느끼고 이해하는 능력입니다. 다른 사람에게 공감할 때 우리는 그 사람의 관점을 취하여 그 사람의 관점에서 세상을 상상하고 그 사람의 감정을 대리 경험합니다(Davis, 1994; Goetz, Keltner, & Simon-Thomas, 2010).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은 파트너의 감정에 공감할 때 더 큰 협력과 전반적인 이타주의, 즉 자신에게 잠재적인 손해를 감수하더라도 파트너를 돕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행동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른 사람의 감정을 경험하고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은 그룹에서 다른 사람들과 더 잘 협력할 수 있으며, 다양한 업무 유형과 성격의 다른 측면을 조정한 후에도 상사로부터 평균적으로 더 높은 업무 성과 평가를 받습니다(Côté & Miners, 2006).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공감할 때, 돕고 싶은 자연스러운 욕구는 종종 협력하고 싶은 욕구로 표현됩니다. 한 연구에서는 다른 방에 있는 파트너와 경제 게임을 하기 직전에 참가자들에게 파트너가 방금 힘든 이별을 겪었고 응원이 필요하다는 내용의 메모를 제공했습니다. 실험 참가자의 절반에게는 "객관적이고 냉정한 태도를 유지하라"는 실험자의 지시를 받았고, 나머지 절반에게는 "상대방의 기분을 상상해보라"는 지시를 받았습니다. 두 그룹 모두 파트너에 대한 동일한 정보를 받았지만, 파트너의 감정을 적극적으로 경험함으로써 공감에 참여하도록 권장받은 사람들은 경제 게임에서 더 큰 협력으로 행동했습니다(Batson & Moran, 1999). 연구진은 또한 파트너의 감정에 공감하는 사람들은 파트너가 이미 협력하지 않기로 결정했다는 말을 들은 후에도 협력적으로 행동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Batson & Ahmad, 2001)! 공감과 협력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증거는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발견되었습니다(Marcus, Telleen, & Roke, 1979). 아주 어릴 때부터 정서적 이해는 협동심을 키울 수 있습니다.

파트너와 공감하면 두 사람 간의 협력이 증진될 수 있지만, 더 큰 그룹 내에서는 협력이 약화될 수도 있습니다. 그룹에서 한 사람에게 공감하면 사람들은 대상 개인만을 돕기 위해 광범위한 협력을 포기할 수 있습니다. 한 연구에서 참가자들은 세 명의 파트너와 함께 협동 게임을 하도록 요청받았습니다. 이 게임에서 참가자들은 (A) 중앙 풀에 자원을 기부하거나, (B) 특정 그룹 구성원에게 자원을 기부하거나, (C) 자원을 스스로 보유하도록 요청받았습니다. 규칙에 따르면 중앙 풀에 기부하는 모든 자원은 50% 증가된 후 균등하게 분배되어 전체 그룹에 순이익이 발생하게 됩니다. 객관적으로 보면 이것이 최선의 선택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참가자들에게 곤경에 처한 파트너 중 한 명의 감정을 상상해 보라고 했을 때, 참가자들은 냉정하고 객관적인 태도를 유지하기보다는 해당 파트너에게 티켓을 기부하고 그룹과의 협력에 참여하지 않을 가능성이 더 높았습니다(Batson 외., 1995). 공감은 개인 간에 강한 협력적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지만, 때로는 좋은 의도에도 불구하고 그룹의 최선의 이익을 저해하는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협력의 상황별 영향

커뮤니케이션 및 약속

사람들 간의 열린 의사소통은 협력을 촉진하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Dawes, McTavish, & Shaklee, 1977; Dawes, 1988). 커뮤니케이션은 다른 사람의 신뢰도를 가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다른 사람과 협력하기로 구두로 약속함으로써 자신의 신뢰성을 증명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합니다. 협력을 위해서는 사람들이 파트너와 서로를 신뢰하고 취약한 상태에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우리는 협력을 결정하기 전에 잠재적 파트너의 사회적 신호와 상호 작용에 매우 민감합니다.

한 연구에서는 참가자들이 여러 라운드의 '공공재' 게임을 하기 전에 5분 동안 채팅을 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채팅을 하는 동안 참가자들은 게임 전략을 논의하고 게임 내 행동에 대해 구두로 약속을 할 수 있었습니다. 일부 그룹은 전략에 대한 합의에 도달할 수 있었지만(예: "항상 협력"), 다른 그룹은 할당된 5분 내에 합의에 도달하지 못하거나 심지어 비협력을 보장하는 전략(예: "각자도생")을 선택했습니다. 연구진은 그룹 구성원들이 서로 협력하기로 명시적으로 약속했을 때, 결국 그 약속을 지키고 더 큰 협력으로 행동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흥미롭게도 대면 구두 약속의 효과는 협력 게임 자체가 완전히 익명으로 진행되었을 때도 지속되었습니다(Kerr and Kaufman-Gilliland, 1994; Kerr, Garst, Lewandowski, & Harris, 1997). 이는 명시적으로 협력하기로 약속한 사람들은 집단 구성원으로부터의 외부 처벌에 대한 두려움이 아니라 그러한 약속을 지키고자 하는 개인적인 욕구에 의해 움직인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다시 말해, 사람들은 협력에 대한 구체적인 약속을 하고 나면 '내면의 작은 목소리', 즉 자신의 내적 양심의 목소리에 이끌려 그 약속을 이행하게 됩니다(Kerr et al., 1997). 

신뢰

A group of white water rafters paddle together in rough waters.
Trust is essential for cooperation, people are much more motivated to cooperate if they know others in the group will support one another. [Image: Wesley Fryer, https://goo.gl/LKNLWp, CC BY-SA 2.0, https://goo.gl/rxiUsF]

협력에 있어서는 신뢰가 핵심입니다(Pruitt & Kimmel, 1977; Parks, Henager, & Scamahorn, 1996; Chaudhuri, Sopher, & Strand, 2002). 공동의 목표를 향해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일하려면 파트너가 우리의 노력과 관대함에 보답하고 자신의 이기적인 이익을 위해 우리를 이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어느 정도의 믿음이 필요합니다. 사회적 신뢰, 즉 다른 사람의 행동이 자신의 이익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믿음(Kramer, 1999)은 사람들이 하나의 단위로 협력하여 개별적으로 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성취하기 위해 자원을 모을 수 있게 해줍니다. 그러나 다른 사람을 신뢰하는 것은 그들의 행동과 평판에 달려 있습니다.

학생으로서 다른 사람을 신뢰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알 수 있는 한 가지 일반적인 예는 그룹 프로젝트에 배정되었을 때 발생합니다. 많은 학생들이 그룹 프로젝트를 싫어하는 이유는 '소셜 로핑'(한 사람이 적은 노력을 기울이면서도 그룹의 노력으로부터 이익을 얻는 방식)에 대해 걱정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여러분과 다른 5명의 학생이 어려운 수업 프로젝트를 함께 수행하도록 배정받았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처음에는 여러분과 그룹 구성원들이 균등하게 작업을 분담합니다. 하지만 프로젝트가 계속 진행되면서 팀원 중 한 명이 자신의 "공정한 몫"을 다하지 않는 것을 발견하게 됩니다. 그 팀원은 회의에 불참하고, 작업도 엉성하며, 대체로 프로젝트에 기여하는 데 관심이 없는 것처럼 보입니다. 시간이 지나면 이 학생이 최소한의 노력만 기울이고 다른 사람이 대신 해줄 거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하기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제 그룹은 게으름뱅이에 합류하여 프로젝트의 모든 작업을 포기하고 프로젝트가 무너질 것인지, 아니면 계속 협력하여 비협조적인 학생이 다른 사람의 작업으로 좋은 성적을 받을 가능성을 허용할 것인지 어려운 선택에 직면하게 됩니다.

이 시나리오가 익숙하게 들린다면 여러분은 혼자가 아닙니다. 경제학자들은 이러한 상황을 무임승차자 문제라고 부르는데, 개인이 아무런 대가 없이 다른 사람의 협력을 통해 이익을 얻는 경우를 말합니다(Grossman & Hart, 1980). 이러한 종류의 행동은 단기적으로는 무임승차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무임승차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인의 사회적 평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위의 예에서 '무임승차'한 학생은 게으르거나 신뢰할 수 없는 사람이라는 평판을 얻게 되어 다른 사람들이 앞으로 그와 함께 일하기를 꺼릴 수 있습니다.

실제로 연구에 따르면 협력에 대한 평판이 좋지 않으면 다른 사람들이 불명예스러운 사람에게 협력하지 말라는 경고 신호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그룹 경제 게임과 관련된 한 실험에서 비협조적인 것으로 보이는 참가자는 동료 참가자들로부터 가혹한 처벌을 받았습니다. 게임 규칙에 따라 참가자들은 여러 라운드에 걸쳐 번갈아 가며 '기부자' 또는 '수혜자'가 되었습니다. 기부자가 소액의 실제 돈을 포기하기로 선택하면 수령자는 약간 더 큰 금액을 받게 되어 전체적으로 순이익을 얻게 됩니다. 그러나 그룹도 모르는 사이에 한 참가자는 절대 기부하지 말라는 지시를 비밀리에 받았습니다. 몇 번의 게임 라운드가 끝난 후, 이 참가자는 다른 참가자들로부터 기부를 거의 받지 못하면서 나머지 그룹으로부터 사실상 외면당했습니다(Milinski, Semmann, Bakker, & Krambeck, 2001). 누군가가 지속적으로 비협조적인 모습을 보이면 다른 사람들은 그 사람을 신뢰할 인센티브가 없어져 협력이 붕괴됩니다.

반면에 사람들은 협력에 대한 평판이 좋고 신뢰할 수 있다고 여겨지는 다른 사람들과 협력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한 연구에서 사람들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그룹 경제 게임을 여러 라운드에 걸쳐 번갈아 가며 다른 그룹 구성원에게 기부할지 여부를 선택했습니다. 게임이 진행되는 동안 이전 라운드에서 관대했던 개인에게 기부가 더 자주 이루어졌습니다(Wedekind & Milinski, 2000). 즉, 다른 사람들과 협력하는 모습을 보인 개인은 평판상의 이점을 얻게 되어 협력할 파트너를 더 많이 확보하고 전반적인 금전적 보상도 더 많이 받을 수 있었습니다.

그룹 식별

A dog and a cat sit side by side.
Sometimes the groups with which we identify can be formed based on preferences. Are you a dog person or a cat person? Just knowing that someone else shares your preference can affect the cooperation between you. [Image: Doris Meta F, https://goo.gl/k8Zi6N, CC BY-NC 2.0, https://goo.gl/tgFydH]

협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또 다른 요인은 개인의 사회적 정체성, 즉 특정 사회 집단의 구성원으로서 자신을 어느 정도 동일시하는 정도입니다(Tajfel & Turner, 1979/1986). 사람들은 모든 형태와 규모의 집단과 동일시할 수 있으며, 그 집단은 지역 고등학교 학급과 같이 비교적 작은 규모일 수도 있고, 전국적인 시민권이나 정당과 같이 매우 큰 규모일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그룹은 종종 공유된 목표와 가치로 묶이는 경우가 많지만 음악적 취향, 고향, 심지어 동전 던지기와 같은 완전히 무작위적인 할당과 같이 겉으로 보기에 임의적인 특성에 따라 형성될 수도 있습니다(Tajfel, Billig, Bundy, & Flament, 1971; Bigler, Brown, & Markell, 2001; Locksley, Ortiz, & Hepburn, 1980). 그룹 구성원이 그룹 소속에 높은 가치를 부여할 때, 정체성(자신을 바라보는 방식)은 부분적으로 해당 그룹의 목표와 가치에 의해 형성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특정 집단과 강하게 동일시할 때, 자신의 행복은 해당 집단의 복지와 결부되어 집단의 이익을 위해 기꺼이 개인적 희생을 감수할 의향이 높아집니다. 이러한 현상은 스포츠 팬들에게서도 볼 수 있습니다. 팬들이 좋아하는 팀과 강하게 동일시하는 경우, 팀이 승리하면 기뻐하고 팀이 패배하면 슬퍼합니다. 열성 팬들은 종종 팀을 응원하기 위해 악천후를 견디고, 비싼 티켓 가격을 지불하고, 경기 중에 서서 응원하는 등 개인적인 희생을 감수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의 집단 정체성이 강조될 때(예: 실험 참가자를 '개인'이 아닌 '집단 구성원'으로 지칭할 때) 공유지 딜레마 게임에서 이기적으로 행동할 가능성이 줄어든다고 합니다. 이러한 실험에서 소위 '그룹 구성원'은 자원을 더 적게 인출하며, 그 결과 그룹의 지속 가능성을 증진하는 결과를 낳습니다(Brewer & Kramer, 1986). 한 연구에서는 소속 대학과 강하게 동일시하는 학생은 탈퇴할 수 있는 매력적인 옵션이 주어졌을 때 동료 학생들로 구성된 협력 그룹을 떠날 가능성이 적었습니다(Van Vugt & Hart, 2004). 또한, 집단이나 조직에 대한 개인의 동일시 강도는 정치 및 노동자 단체의 집단 행동(Klandersman, 2002)과 같은 대규모 협력 노력에 참여하거나 조직 시민 행동에 참여하는 주요 동인입니다(Cropanzano & Byrne, 2000).

집단 정체성을 강조하는 것은 집단 내 협력을 강화할 수 있지만 집단 간의 협력을 약화시킬 수도 있습니다. 연구자들은 다른 집단과 상호작용하는 집단이 다른 개인과 상호작용하는 개인보다 더 경쟁적이고 덜 협력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했으며, 이러한 현상을 개인 간-집단 간 불연속성이라고 합니다(Schopler & Insko, 1999; Wildschut, Pinter, Vevea, Insko, & Schopler, 2003). 예를 들어, 죄수의 딜레마 게임에서 다른 그룹과 상호작용하는 그룹은 다른 개인과 동일한 과제를 수행하는 개인보다 더 큰 이기심을 보이고 협력이 감소했습니다(Insko et al., 1987). 이러한 신뢰와 협력의 문제는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아웃그룹의 구성원 또는 자신이 속한 사회 집단의 경계 밖에 있는 사람들과 협력하는 것을 꺼리기 때문입니다(Allport, 1954; Van Vugt, Biel, Snyder, & Tyler, 2000). 이 효과가 발생하기 위해 아웃그룹이 명시적인 라이벌일 필요는 없습니다. 실제로 한 연구에서는 참가자 그룹에게 다른 그룹이 다른 스타일의 그림을 선호한다고 말하기만 해도 같은 과제를 수행하는 한 쌍의 개인보다 덜 협력적으로 행동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Insko, Kirchner, Pinter, Efaw, & Wildschut, 2005). 강력한 그룹 정체성은 그룹 내 개인을 하나로 묶을 수 있지만, 다른 그룹 간의 분열을 유발하여 전반적인 신뢰와 협력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문화

A group of Amish men dressed in traditional clothes and hats work together to build a barn.
There are cultural differences in how and how much people cooperate. Some societies require more cooperation to ensure survival. [Image: Cindy Cornett Seigle, http://goo.gl/u0kE9Z, CC BY-NC-SA 2.0, http://goo.gl/iF4hmM]

문화는 사람들의 신념과 타인과의 상호작용 방식에 강력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문화가 사람의 협력 성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요?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조셉 헨리히와 그의 동료들은 짐바브웨, 볼리비아, 인도네시아 등 전 세계 15개 소규모 사회에서 사람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이들 집단은 전통적으로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이 매우 다양했는데, 일부는 소규모 농업을, 다른 일부는 수렵을 통해 식량을 구했으며, 또 다른 일부는 유목민으로 동물을 사육했습니다(Henrich 외., 2001).

협력 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각 사회의 개인들에게 죄수의 딜레마와 유사한 최후통첩 게임을 하도록 요청했습니다. 이 게임에는 두 명의 플레이어가 있습니다: 플레이어 A('할당자')에게는 이틀치 임금에 해당하는 금액이 주어지며, 플레이어 B('응답자')에게 그 중 얼마든지 기부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플레이어 B는 플레이어 A의 제안을 수락하거나 거절할 수 있습니다. 플레이어 B가 제안을 수락하면 두 플레이어 모두 합의한 금액을 유지합니다. 그러나 플레이어 B가 제안을 거절하면 두 플레이어 모두 아무것도 받지 못합니다. 이 시나리오에서 대응자는 자신의 보상을 포기해야 하지만 자신의 권한을 사용해 불공정한 제안을 처벌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플레이어 A는 플레이어 B에게 수용 가능한 제안을 제안하는 동시에 게임에서 자신의 결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합리적 경제학 모델에 따르면, 자기 이익이 우선인 플레이어 B는 아무리 작거나 불공정한 제안이라도 항상 수락을 선택해야 합니다. 따라서 플레이어 A는 자신의 보상을 최대화하기 위해 항상 플레이어 B에게 가능한 최소한의 금액을 제시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연구자들은 15개 사회에서 사람들이 평균 39%의 금액을 파트너에게 기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Henrich 외., 2001). 이 수치는 서양 문화권 사람들이 최후통첩 게임을 할 때 기부하는 금액과 거의 동일합니다(Oosterbeek et al., 2004). 이러한 결과는 게임에서 할당자가 가능한 최소 금액을 제공하는 대신 게임에서 공정성과 "공유 보상"을 유지하여 응답자가 자신의 제안을 거부하지 않도록 노력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Henrich와 동료들(2001)은 또한 협력 수준에서 문화마다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관찰했습니다. 특히, 연구진은 한 문화권의 개인이 생존을 위해 자원을 모으기 위해 서로 협력해야 하는 정도에 따라 협력할 가능성이 예측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예를 들어, 12명 이상의 무리를 지어 고래를 사냥하여 생존하는 인도네시아 라멜라라족의 경우 최후통첩 게임에서 기부금이 전체 금액의 약 58%에 달할 정도로 매우 높았습니다. 반면, 일반적으로 가족 단위로 경제적으로 독립적인 페루의 마치구엔가족은 평균적으로 전체 금액의 26% 정도로 훨씬 적은 금액을 기부했습니다. 따라서 생존을 위한 사람들의 상호의존성은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과 협력하기로 결정하는 핵심 요소인 것으로 보입니다.

소규모 사회의 다양한 생존 전략이 자신의 경험과는 거리가 멀게 느껴질 수 있지만, 잠시 시간을 내어 자신의 삶이 다른 사람과의 협력에 어떻게 의존하고 있는지 생각해 보세요. 산업화된 사회에서 직접 지은 집에서 살고, 직접 만든 옷을 입고, 직접 재배한 음식을 먹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대신, 우리는 생존에 필수적인 음식, 의복, 주거지와 같은 전문 자원과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 다른 사람에게 의존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미국인들은 최후통첩 게임에서 총액의 약 40%를 기부하는데, 이는 라멜라라 기부액보다는 적지만 헨리히와 동료들이 표본으로 삼은 대부분의 소규모 사회와 비슷한 수준입니다(오스터벡 외., 2004). 산업화된 사회에서 살아간다고 해서 라멜라라처럼 무리를 지어 사냥할 필요는 없지만, 우리는 생존에 필요한 자원을 공급받기 위해 여전히 다른 사람에게 의존합니다.

결론

협력은 우리 일상 생활에서 중요한 부분입니다. 우리가 내는 세금부터 도로 표지판까지 현대 사회생활의 거의 모든 요소에는 여러 당사자가 공동의 목표를 위해 협력하는 과정이 포함됩니다. 출신 문화, 파트너에 대한 신뢰도, 타인에 대한 공감 정도 등 사람들이 성공적으로 협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요소는 많습니다. 때때로 협력이 어려울 수 있지만, 공동의 목표를 강조하고 열린 의사소통에 참여하는 것과 같은 특정 외교 관행은 팀워크를 증진하고 심지어 경쟁 관계를 무너뜨릴 수도 있습니다. 협력하지 않는 것이 단기적으로는 개인에게 더 큰 보상을 가져다줄 수 있지만, 모든 구성원을 포함한 그룹 전체가 최적의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협력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Outside Resources

Article: Weber, J. M., Kopelman, S., & Messick, D. M. (2004). A conceptual review of decision making in social dilemmas: Applying a logic of appropriatenes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8(3), 281-307.
http://psr.sagepub.com/content/8/3/281.abstract
Video: A clip from a reality TV show, “Golden Balls”, that pits players against each other in a high-stakes Prisoners’ Dilemma situation.
Video: Describes recent research showing how chimpanzees naturally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accomplish tasks.
Video: The Empathic Civilization - A 10 minute, 39 second animated talk that explores the topics of empathy.
Video: Tragedy of the Commons, Part 1 - What happens when many people seek to share the same, limited resource?
Video: Tragedy of the Commons, Part 2 - This video (which is 1 minute, 27 seconds) discusses how cooperation can be a solution to the commons dilemma.
Video: Understanding the Prisoners’ Dilemma.
Video: Why Some People are More Altruistic Than Others - A 12 minute, 21 second TED talk about altruism. A psychologist, Abigail Marsh, discusses the research about altruism.
Web: Take an online test to determine your Social Values Orientation (SVO).
http://vlab.ethz.ch/svo/index-normal.html
Web: What is Social Identity? - A brief explanation of social identity, which includes specific examples.
http://people.howstuffworks.com/what-is-social-identity.htm

Discussion Questions

  1. Which groups do you identify with? Consider sports teams, home towns, and universities. How does your identification with these groups make you feel about other members of these groups? What about members of competing groups?
  2. Thinking of all the accomplishments of humanity throughout history which do you believe required the greatest amounts of cooperation? Why?
  3. In your experience working on group projects—such as group projects for a class—what have you noticed regarding the themes presented in this module (eg. Competition, free riding, cooperation, trust)? How could you use the material you have just learned to make group projects more effective?

Vocabulary

Altruism
A desire to improve the welfare of another person, at a potential cost to the self and without any expectation of reward.
Common-pool resource
A collective product or service that is freely available to all individuals of a society, but is vulnerable to overuse and degradation.
Commons dilemma game
A game in which members of a group must balance their desire for personal gain against the deterioration and possible collapse of a resource.
Cooperation
The coordination of multiple partners toward a common goal that will benefit everyone involved.
Decomposed games
A task in which an individual chooses from multiple allocations of resources to distribute between him- or herself and another person.
Empathy
The ability to vicariously experience the emotions of another person.
Free rider problem
A situation in which one or more individuals benefit from a common-pool resource without paying their share of the cost.
Interindividual-intergroup discontinuity
The tendency for relations between groups to be less cooperative than relations between individuals.
Outgroup
A social category or group with which an individual does not identify.
Prisoner’s dilemma
A classic paradox in which two individuals must independently choose between defection (maximizing reward to the self) and cooperation (maximizing reward to the group).
Rational self-interest
The principle that people will make logical decisions based on maximizing their own gains and benefits.
Social identity
A person’s sense of who they are, based on their group membership(s).
Social value orientation (SVO)
An assessment of how an individual prefers to allocate resources between him- or herself and another person.
State of vulnerability
When a person places him or herself in a position in which he or she might be exploited or harmed. This is often done out of trust that others will not exploit the vulnerability.
Ultimatum game
An economic game in which a proposer (Player A) can offer a subset of resources to a responder (Player B), who can then either accept or reject the given proposal.

References

  • Allport, G.W. (1954). The nature of prejudice. Cambridge, MA: Addison-Wesley.
  • Batson, C. D., & Ahmad, N. (2001). Empathy-induced altruism in a prisoner\'s dilemma II: What if the target of empathy has defected?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31(1), 25-36.
  • Batson, C. D., & Moran, T. (1999). Empathy-induced altruism in a prisoner\'s dilemma.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29(7), 909-924.
  • Batson, C. D., Batson, J. G., Todd, R. M., Brummett, B. H., Shaw, L. L., & Aldeguer, C. M. (1995). Empathy and the collective good: Caring for one of the others in a social dilemma.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8(4), 619.
  • Bigler R.S., Brown C.S., Markell M. (2001). When groups are not created equal: Effects of group status on the formation of intergroup attitudes in children. Child Development, 72(4), 1151–1162.
  • Brewer, M. B., & Kramer, R. M. (1986). Choice behavior in social dilemmas: Effects of social identity, group size, and decision fram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0(3), 543-549.
  • Chaudhuri, A., Sopher, B., & Strand, P. (2002). Cooperation in social dilemmas, trust and reciprocity.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23(2), 231-249.
  • Cote, S., & Miners, C. T. (2006). Emotional intelligence, cognitive intelligence, and job performance.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51(1), 1-28.
  • Cropanzano R., & Byrne Z.S. (2000). Workplace justice and the dilemma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In M. Van Vugt, M. Snyder, T. Tyler, & A. Biel (Eds.), Cooperation in Modern Society: Promoting the Welfare of Communities, States and Organizations (pp. 142-161). London: Routledge.
  • Davis, M. H. (1994). Empathy: A social psychological approach. Westview Press.
  • Dawes, R. M., & Kagan, J. (1988). Rational choice in an uncertain world. Harcourt Brace Jovanovich.
  • Dawes, R. M., McTavish, J., & Shaklee, H. (1977). Behavior, communication, and assumptions about other people\'s behavior in a commons dilemma situ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5(1), 1.
  • De Waal, F.B.M., & Lanting, F. (1997). Bonobo: The forgotten ap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Goetz, J. L., Keltner, D., & Simon-Thomas, E. (2010). Compassion: An evolutionary analysis and empirical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36(3), 351-374.
  • Grossman, S. J., & Hart, O. D. (1980). Takeover bids, the free-rider problem, and the theory of the corporation. The Bell Journal of Economics, 42-64.
  • Henrich, J., Boyd, R., Bowles, S., Camerer, C., Fehr, E., Gintis, H., & McElreath, R. (2001). In search of homo economicus: Behavioral experiments in 15 small-scale societies.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91(2), 73-78.
  • Insko, C. A., Kirchner, J. L., Pinter, B., Efaw, J., & Wildschut, T. (2005). Interindividual-intergroup discontinuity as a function of trust and categorization: The paradox of expected coope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8(2), 365-385.
  • Insko, C. A., Pinkley, R. L., Hoyle, R. H., Dalton, B., Hong, G., Slim, R. M., ... & Thibaut, J. (1987). Individual versus group discontinuity: The role of intergroup contact.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3(3), 250-267.
  • Keltner, D., Kogan, A., Piff, P. K., & Saturn, S. R. (2014). The sociocultural appraisals, values, and emotions (SAVE) framework of prosociality: Core processes from gene to mem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65, 425-460.
  • Kerr, N. L., & Kaufman-Gilliland, C. M. (1994). Communication, commitment, and cooperation in social dilemma.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6(3), 513-529.
  • Kerr, N. L., Garst, J., Lewandowski, D. A., & Harris, S. E. (1997). That still, small voice: Commitment to cooperate as an internalized versus a social norm.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3(12), 1300-1311.
  • Klandermans, B. (2002). How group identification helps to overcome the dilemma of collective action.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5(5), 887-900.
  • Kramer, R. M. (1999). Trust and distrust in organizations: Emerging perspectives, enduring question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0(1), 569-598.
  • Kramer, R. M., McClintock, C. G., & Messick, D. M. (1986). Social values and cooperative response to a simulated resource conservation crisis. Journal of Personality, 54(3), 576-582.
  • Langergraber, K. E., Mitani, J. C., & Vigilant, L. (2007). The limited impact of kinship on cooperation in wild chimpanzee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4(19), 7786-7790.
  • Locksley, A., Ortiz, V., & Hepburn, C. (1980). Social categorization and discriminatory behavior: Extinguishing the minimal intergroup discrimination e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5), 773-783.
  • Marcus, R. F., Telleen, S., & Roke, E. J. (1979). Relation between cooperation and empathy in young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15(3), 346.
  • McClintock, C. G., & Allison, S. T. (1989). Social value orientation and helping behavior.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9(4), 353-362.
  • Messick, D. M., & McClintock, C. G. (1968). Motivational bases of choice in experimental games.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1), 1-25.
  • Milinski, M., Semmann, D., Bakker, T. C., & Krambeck, H. J. (2001). Cooperation through indirect reciprocity: Image scoring or standing strategy?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B: Biological Sciences, 268(1484), 2495-2501.
  • Mithen, S. (1999). The prehistory of the mind: The cognitive origins of art, religion and science. Thames & Hudson Publishers.
  • Oosterbeek, H., Sloof, R., & Van De Kuilen, G. (2004). Cultural differences in ultimatum game experiments: Evidence from a meta-analysis. Experimental Economics, 7(2), 171-188.
  • Parks, C. D., Henager, R. F., & Scamahorn, S. D. (1996). Trust and reactions to messages of intent in social dilemmas.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40(1), 134-151.
  • Pruitt, D. G., & Kimmel, M. J. (1977). Twenty years of experimental gaming: Critique, synthesi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28, 363-392.
  • Roch, S. G., & Samuelson, C. D. (1997). Effects of environmental uncertainty and social value orientation in resource dilemma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70(3), 221-235.
  • Schopler, J., & Insko, C. A. (1999). The reduction of the interindividual-intergroup discontinuity effect: The role of future consequences. In M. Foddy, M. Smithson, S. Schneider, & M. Hogg (Eds.), Resolving social dilemmas: Dynamic, structural, and intergroup aspects (pp. 281-294). Philadelphia: Psychology Press.
  • Tajfel, H., & Turner, J. C. (1986). The social identity theory of intergroup behaviour. In S. Worchel & W. G. Austin (Eds.), 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s (pp. 7–24). Chicago, IL: Nelson-Hall.
  • Tajfel, H., & Turner, J. C. (1979). An integrative theory of intergroup conflict. In W. G. Austin & S. Worchel (Eds.), The social 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s (pp. 33–47). Monterey, CA: Brooks/Cole.
  • Tajfel, H., Billig, M. G., Bundy, R. P., & Flament, C. (1971). Social categorization and intergroup behaviour.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2), 149-178.
  • Van Lange, P. A., Bekkers, R., Schuyt, T. N., & Vugt, M. V. (2007). From games to giving: Social value orientation predicts donations to noble causes. Basic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 29(4), 375-384.
  • Van Vugt M., Biel A., Snyder M., & Tyler T. (2000). Perspectives on cooperation in modern society: Helping the self, the community, and society. In M. Van Vugt, M. Snyder, T. Tyler, & A. Biel (Eds.), Cooperation in Modern Society: Promoting the Welfare of Communities, States and Organizations (pp. 3–24). London: Routledge.
  • Van Vugt, M., & Hart, C. M. (2004). Social identity as social glue: The origins of group loyal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6(4), 585-598.
  • Van Vugt, M., Meertens, R. M., & Lange, P. A. (1995). Car versus public transportation? The role of social value orientations in a real-life social dilemma.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5(3), 258-278.
  • Van Vugt, M., Van Lange, P. A., & Meertens, R. M. (1996). Commuting by car or public transportation? A social dilemma analysis of travel mode judgements.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26(3), 373-395.
  • Warneken, F., & Tomasello, M. (2007). Helping and cooperation at 14 months of age. Infancy, 11(3), 271-294.
  • Warneken, F., Chen, F., & Tomasello, M. (2006). Cooperative activities in young children and chimpanzees. Child Development, 77(3), 640-663.
  • Wedekind, C., & Milinski, M. (2000). Cooperation through image scoring in humans. Science, 288(5467), 850-852.
  • Wildschut, T., Pinter, B., Vevea, J. L., Insko, C. A., & Schopler, J. (2003). Beyond the group mind: A quantitative review of the interindividual-intergroup discontinuity effect. Psychological Bulletin, 129(5), 698-722.

Authors

  • Jake P. Moskowitz
    Jake P. Moskowitz is a current doctoral student in the Psychology & Social Behavior program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His research focuses on the nature of prosocial behavior, and how factors such as identity, ideology, and morality impact human prosocial tendencies.
  • Paul K. Piff
    Paul K. Piff, Ph.D. (UC Berkeley), is an Assistant Professor of Psychology and Social Behavior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where he also directs the Social Inequality and Cohesion Lab. Dr. Piff's research examines the origins of human kindness and cooperation, and the social consequences of economic inequality.

Creative Commons License

Creative CommonsAttributionNon-CommericalShare-AlikeCooperation by Jake P. Moskowitz and Paul K. Piff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4.0 International License. Permissions beyond the scope of this license may be available in our Licensing Agreement.

How to cite this Noba module using APA Style

Moskowitz, J. P. & Piff, P. K. (2023). Cooperation. In R. Biswas-Diener & E. Diener (Eds), Noba textbook series: Psychology. Champaign, IL: DEF publishers. Retrieved from http://noba.to/d7y9esw4

This article was updated on 7월 3, 2023

심리학을 공부하기 위해 noba project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도전을 시작했습니다. 번역에 DeepL과 GPT-4를 적극적으로 활용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