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식(Consciousness)

의식

By and

Northwestern University

의식은 궁극의 미스터리입니다. 의식이란 무엇이며 왜 우리는 그것을 가지고 있을까요? 의식은 우리 존재의 근본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는 어렵습니다. 어쩌면 인간의 의식 없이 자연계가 그대로 존재할 수도 있겠지만, 의식을 없애버리면 본질적으로 우리 인간성도 사라질 것입니다. 심리학은 의식적 경험과 관련된 신경인지 기능과 의식적 경험 없이 일어나는 신경인지 기능을 구분함으로써 의식에 대한 의문을 부분적으로 해결해 왔습니다. 이러한 종류의 구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는 의식적 경험의 선구자에 대한 새로운 가설에 대한 경험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1인칭과 3인칭 시점을 결합하여 의식의 신비에 대한 새로운 단서를 제공하는 보다 풍부한 개념화가 구축되고 있습니다.

학습 목표

  • Understand scientific approaches to comprehending consciousness.
  • Be familiar with evidence about human vision, memory, body awareness, and decision making relevant to the study of consciousness.
  • Appreciate some contemporary theories about consciousness.
  • 의식을 이해하기 위한 과학적 접근법을 이해합니다.
    의식 연구와 관련된 인간의 시각, 기억, 신체 인식 및 의사 결정에 대한 증거를 숙지합니다.
    의식에 관한 현대 이론을 이해합니다.

의식적인 경험

지금 이 순간 나라는 존재의 독특한 경험을 생각해 보세요! 오직 당신만이 자신의 의식적 경험에 대해 직접적으로 알고 있습니다. 동시에 다른 사람의 내면에서는 의식을 알 수 없습니다. 사적이고 의식적인 경험을 할 수 있는 이 환상적인 능력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요?

A man smiles with eyes closed.
At the most basic level all of conscious experience is unique to each individual. [Image: Étienne Ljóni Poisson, https://goo.gl/mbo5VJ, CC BY-NC-SA 2.0, https://goo.gl/Toc0ZF]

어떤 의미에서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것은 자신의 의식을 중심에 두고 자신의 관점에서 바라본 것입니다. 그러나 의식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한 개인의 관점에서 알 수 있는 것을 넘어서는 일반적인 이해를 도출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 주제를 탐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몇 가지 용어를 고려해야 합니다. 의식이라는 용어는 사람이 일련의 의식적 경험을 차례로 생성하는 능력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감각적 입력, 자서전적 사건의 시간적 순서, 상상력, 감정과 기분, 아이디어, 기억 등 개인에게 열려 있는 모든 정신적 내용을 느끼고 이해하는 경험이 포함됩니다.

의식은 또한 예리하거나 둔한 의식 상태, 행복감과 같은 약물에 의한 상태, 졸음, 수면, 신경학적 이상 또는 혼수 상태로 인한 의식 저하 상태와 같이 개인의 상태를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이 모듈에서는 의식 상태나 자의식이 아니라 의식의 본질적인 요소인 의식의 순간, 즉 의식적 경험의 과정에서 펼쳐지는 과정에 초점을 맞춥니다.

다른 마음

친구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 정확히 알 수 있다는 느낌을 경험한 적이 있을 것입니다. 다양한 징후를 통해 타인의 의식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우리가 같은 상황에서 느낄 것이라고 상상하는 감정을 다른 사람도 느낀다는 가정에 의존하여 다른 사람의 마음속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유추해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그 사람에 대한 지식과 그 사람의 행동을 주의 깊게 관찰함으로써 다른 사람의 행동이나 감정 표현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우리는 종종 상대방의 생각에 대해 상당한 통찰력을 발휘합니다. 때로는 완전히 틀릴 때도 있습니다.

다양한 신경과학 기술을 사용하여 뇌 활동을 측정함으로써 우리는 다른 사람의 마음 상태를 해독하는 데 유용한 추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특수한 상황에서는 이러한 추론이 매우 정확할 수 있지만, 마음 읽기에 대한 한계가 남아 있어 의식적인 경험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정확히 이해하기 어렵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의식의 과학

의식을 이해하려는 시도는 인류 역사 전반에 걸쳐 널리 퍼져 있었으며, 대부분 1인칭 시점에 초점을 맞춘 철학적 분석이 지배적이었습니다. 이제 우리는 철학, 심리학, 신경과학, 인지과학, 명상과학을 포함하는 보다 폭넓은 접근 방식을 갖게 되었습니다(Blackmore, 2006; Koch, 2012; Zelazo, Moscovitch, & Thompson, 2007; Zeman, 2002).

A statue of the Buddha
Consciousness is a topic that has been addressed by religious scholars, philosophers, psychologists, and neuroscientists. [Image: CC0 Public Domain, https://goo.gl/m25gce]

이러한 접근 방식의 조합에 대한 과제는 의식에 대한 포괄적인 설명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설명에는 의식의 이점, 특히 의식적 경험이 허용하는 행동 능력에 대해 자동적 행동보다 우선하는 의식의 이점을 설명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주관적 경험은 또한 그것이 인간 두뇌의 선구자 사건에서 어떻게 비롯되는지를 논리적으로 보여주는 방식으로 설명되어야 합니다. 또한 의식이 생물학적, 환경적, 사회적, 문화적, 발달적 요인에 어떻게 의존하는지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처음에 핵심적인 질문은 우리가 알고 있는 다른 것들과 관련하여 의식을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가입니다. 우리 환경의 사물은 물리적 기반을 가지고 있으며 분자, 원소, 원자, 입자 등으로 분해할 수 있는 구성 요소로 구성된 것으로 이해됩니다. 그러나 우리는 또한 사물을 관계적이고 개념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때때로 어떤 현상은 물리적 실체가 아닌 하나의 과정으로 이해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예: 소화는 음식이 분해되는 과정). 그렇다면 우리의 의식적 사고와 물리적 우주, 특히 우리의 두뇌는 어떤 관계에 있을까요?

르네 데카르트의 입장인 이원론은 정신과 육체는 본질적으로 다른 물질이라는 것이었습니다. 이 견해는 정신적 현상을 물리적 현상에 대한 설명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는 환원주의적 견해와 대조될 수 있습니다. 이원론/환원주의 논쟁은 계속되고 있지만, 마음이 뇌에 의존한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의식에 대한 과학적 연구의 중요한 방향은 이러한 의존성을 이해함으로써 의식에 대해 얼마나 많은 것을 밝혀낼 수 있는지 알아보는 것입니다. 그 결과 다음 예에서 볼 수 있듯이 의식에 대한 지식에 상당한 진전이 이루어졌습니다.

시각적 지각의 의식적 경험

붐비는 기차역에서 친구를 만났다고 가정해 봅시다. 친구의 얼굴에서 미묘한 미소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 순간 당신은 아마도 당신의 시야 안에서 일어나는 다른 많은 일들을 인식하지 못할 것입니다. 어떤 것은 인지하고 어떤 것은 인지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에 대한 나름의 직관이 있을 수 있지만, 실험을 통해 시각적 인식을 유발하는 요인에 대한 많은 일반적인 직관이 틀렸다는 것이 입증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밝은 곳을 주의 깊게 바라보면 반드시 인식하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습니다. 운동 유발 실명으로 알려진 현상에서 밝은 디스크는 완전히 주의를 기울이면 인식에서 완전히 사라집니다. 이 현상을 직접 경험해 보려면 이 모듈의 외부 리소스 섹션에서 동작 유발 실명 데모를 참조하세요.

A crowded train station with streams of people passing in opposite directions.
Are you really aware of everything that is going on around you? In the context of a crowded train station you may be visually aware of certain things while essentially being blind to many others that are right in front of you. [Image: Diego Torres Silvestre, https://goo.gl/ZkCWEC, CC BY 2.0, https://goo.gl/BRvSA7]

이미지를 깊이 분석하여 그 의미를 해독하고 결정을 내리려면 이미지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꼭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숫자가 잠깐 깜박이고 무작위 패턴으로 빠르게 바뀌는 경우, 뇌는 숫자가 5보다 크다는 것을 판단하고 지시에 따라 오른손으로 키를 누를 준비를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Dehaene 외., 1998).

따라서 이미지의 밝기나 이미지에 주의를 기울이거나 깊이 분석한다고 해서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렇다면 시각적 인식의 결정적인 요소는 무엇일까요?

최근의 대답은 시각적 특징에 대한 우리의 인식은 여러 뇌 영역, 특히 대뇌 피질에서 이루어지는 특정 유형의 상호 정보 교환에 달려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생각을 뒷받침하기 위해 외부에서 자기장(경두개 자기 자극)을 가하여 시각 운동 영역(V5라고 함)을 직접 활성화하면 움직이는 점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놀라운 것은 시각 운동 영역을 활성화하는 것만으로는 움직임을 볼 수 없다는 것입니다. V5에서 일차 시각 피질로의 피드백 신호가 추가 경두개 자기 자극 펄스에 의해 중단되면 움직이는 점을 볼 수 없습니다(Pascual-Leone & Walsh, 2001). 상위 시각 영역과 일차 시각 피질 사이의 반향적인 상호 정보 교환은 시각적 인식을 생성하는 데 필수적인 것으로 보입니다.

이 아이디어는 특정 유형의 뇌 손상을 입은 사람들이 시각적 인식이 부족한 이유도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일차 시각 피질에 국한된 뇌 손상을 입은 환자가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피질 실명이라고 부르는 문제를 생각해 보세요. 시각 피질의 다른 영역은 시상 및 상대상회와 같은 뇌 구조의 투영을 통해 시각적 입력을 여전히 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네트워크는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발생하는 일부 보존된 시각 능력을 매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피질 실명 환자는 V5 활성화를 통해 움직이는 자극을 감지할 수 있지만, V5와 손상된 일차 시각 피질 간에 상호 정보 교환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자극을 의식적으로 경험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보존된 움직임 감지 능력은 추측이 필요한 경우("무언가가 왼쪽으로 움직였는지 오른쪽으로 움직였는지 추측")에만 분명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아무것도 보지 못했습니다."라는 대답이 나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실명 현상은 의식적으로 경험하지 못한 시각적 자극을 분석하고 반응하는 능력이 보존되는 신경학적 원인으로 인한 실명을 말합니다(Lamme, 2001).

뇌 영역 간 정보 교환이 시각적 인식을 생성하는 데 중요하다면, 신경 동기화는 신경 통신을 촉진하기 때문에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합니다. 뉴런의 흥분성은 시간에 따라 달라집니다. 흥분성의 진동 주기가 동기화되면 신경 집단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향상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흥분기에 있는 한 집단에서 전송된 정보는 대상 집단도 흥분기에 있을 때 수신됩니다. 실제로 베타 및 감마 대역 주파수(초당 진동 수에 따라 각각 13-30Hz 및 30-100Hz로 식별됨)의 진동 신경 동기화는 시각적 인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 아이디어는 대뇌 피질의 전두엽, 하두정엽, 후두엽 영역 간의 정보 공유가 인식을 생성하는 데 특히 중요하다고 가정하는 글로벌 뉴런 작업 공간 의식 이론(Dehaene & Changeux, 2011)에서 강조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된 견해인 의식의 정보 통합 이론은 공유된 정보 자체가 의식을 구성한다는 것입니다(Tononi, 2004). 공유 정보의 구조가 단순하면 유기체는 최소한의 의식을 갖게 되지만, 공유 정보의 구조가 복잡하면 풍부한 의식적 경험을 갖게 됩니다. 대략적으로 복잡성은 로컬 및 글로벌 정보 공유 웹에서 생성되는 복잡하게 상호 연관된 정보 단위 또는 아이디어의 수로 정의됩니다. 유기체(또는 기계)의 의식 정도는 다양하고 다양하게 상호 연관된 아이디어가 많이 발생하면 높고, 아이디어가 몇 개만 발생하거나 아이디어가 많지만 무작위적이고 연관성이 없는 경우 낮을 수 있습니다. 계산적 분석은 이러한 제안에 대한 추가적인 관점을 제공합니다. 특히 모든 뉴런이 다른 뉴런과 연결되어 있다면 모든 뉴런이 함께 활성화되는 경향이 있어 독특한 아이디어가 거의 나오지 않을 것입니다. 반면에 뉴런 연결 수준이 매우 낮으면 모든 뉴런이 독립적으로 활성화되어 연관성이 없는 수많은 아이디어가 생성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풍부한 수준의 의식을 촉진하려면 단거리, 중거리, 장거리 신경 연결의 적절한 혼합이 필요합니다. 인간의 대뇌 피질은 실제로 이러한 최적의 신경 연결 구조를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이 이론에서 의식이 전부 또는 전무가 아닌 등급으로 개념화되는 방식을 고려할 때, 정량적 접근 방식(예: Casali 외, 2013; Monti 외, 2013)은 비인간 종과 인공 존재의 의식 수준을 추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기억의 의식적 경험

인간의 의식적인 기억 기능의 정점은 과거를 재경험하고 이전의 사건을 가상으로 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에피소드 기억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정 중요 뇌 영역의 신경학적 손상으로 인해 기억상실증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사건과 사실에 대한 기억력이 떨어집니다. 이러한 기억력 결핍은 선언적 기억이라고 하는 기억 유형을 방해하여 의식적으로 기억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그러나 기억상실증은 일반적으로 의식적인 기억과 관련이 없는 일련의 기억 기능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다양한 습관, 운동 기술, 인지 기술 및 절차를 포함하는 이러한 다른 유형의 기억은 개인이 사전 학습의 기능으로 다양한 행동을 실행할 때 입증 될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 기억에 대한 의식적인 경험이 반드시 포함되지는 않습니다.

Hands sifting through a box of old photographs.
Memory is one basis for conscious awareness. [Image: CC0 Public Domain, https://goo.gl/m25gce]

따라서 기억상실증에 대한 연구는 의식적인 기억을 위해서는 대뇌 피질의 뉴런 네트워크에 의존하는 특정한 두뇌 작동이 필요하다는 제안을 뒷받침합니다. 다른 유형의 기억 중 일부는 피질하 뇌 영역만 관여하지만 주목할 만한 예외도 있습니다. 특히 지각적 프라이밍은 의식적인 기억 경험을 수반하지 않는 기억 유형으로, 일반적으로 기억상실증에서 보존됩니다. 지각적 프라이밍은 개인이 이전 경험을 기억할 수 없는 경우에도 이전 경험에 의해 생성된 처리의 유창함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예를 들어, 단어나 얼굴을 몇 분 전에 본 적이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효율적으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기억상실증 환자는 해당 피질 영역의 변화로 인해 이러한 항목별 유창성을 입증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전에 경험한 단어나 얼굴을 인식하도록 요청하면 장애를 겪을 수 있습니다. 이 증거에 근거한 합리적인 결론은 에피소드를 기억하는 것은 단순히 대뇌 피질의 한 부분만 관여하기 때문이 아니라 정보의 공유 또는 통합과 관련된 피질 활동의 특정 구성으로 인한 의식적인 경험이라는 것입니다.

기억 검색에 대한 신경과학적 연구는 의식적 기억에 필요한 단계를 추가로 밝혀냈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매일 경험하는 사건에 대한 기억 저장은 해마로 알려진 뇌 구조뿐만 아니라 여러 피질 영역 간의 연결에 의존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해마와 대뇌 피질 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기억 저장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정보를 처음 등록한 후 오랜 기간에 걸쳐 일어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식적인 검색은 피질의 정교한 네트워크 세트의 활동에 달려 있습니다. 의식적인 기억을 포함하지 않는 기억 검색은 피질의 제한된 부분이나 피질과 분리된 뇌 영역에 의존합니다.

기억한다는 인식을 포함하는 기억 표현은 그렇지 않은 기억 표현과 다른 방식으로 의식적인 기억 경험의 특수성을 강조합니다(Paller, Voss, & Westerberg, 2009; Voss, Lucas, & Paller, 2012). 실제로 뇌의 기억 저장은 다양한 유형의 기억에 대해 매우 복잡할 수 있지만, 의식적 기억과 일치하는 기억 유형에는 특정한 생리적 전제 조건이 있습니다.

신체 인식의 의식적 경험

뇌는 우연적인 감각을 등록하여 신체 인식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팔을 문지르면 손이 팔을 문지르는 것을 보고 동시에 손과 팔에서 문지르는 감각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 동시성은 그것이 손과 팔이라는 것을 알려줍니다. 유아는 처음에 세계를 구성하는 데 기본이 되는 자아/비자아 구분을 발달시키기 위해 동일한 유형의 우연적 감각을 사용합니다.

뇌가 이러한 방식으로 신체 인식을 구성한다는 사실은 고무 손 착시를 통해 경험할 수 있습니다(이에 대한 외부 리소스 참조). 고무 손이 문지르는 것을 보면서 동시에 시야 밖의 자신의 몸에서 그에 상응하는 문지르는 감각을 느끼면 순간적으로 고무 손이 자신의 손이라는 기묘한 느낌을 받게 됩니다.

신체 인식의 구성은 측두정피질로 알려진 피질 영역과 관련된 특정 뇌 메커니즘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 뇌 영역이 손상되면 몸통이 상당히 길어진 것처럼 느껴지는 등 왜곡된 신체 인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위적인 자극을 통해 이 영역의 신경 활동에 변화가 생기면 몸이 다른 장소에 있는 것처럼 느껴지고 방의 천정에서 바라보는 것과 같이 신체와 세상을 새롭게 바라보는 유체이탈 경험(이 모듈의 외부 리소스 섹션 참조)을 할 수도 있습니다.

놀랍게도 비슷한 뇌 메커니즘이 자아에 대한 정상적인 인식과 신체 내부에 있다는 감각을 생성할 수도 있습니다. 가상현실의 맥락에서 이러한 감각을 실재감(실제로 그곳에 있는 것 같은 강렬한 경험)이라고 합니다. 자아에 대한 우리의 정상적인 국소화는 삶의 주어진 측면이 아니라 특별한 뇌 메커니즘을 통해 구성된다는 점에서 똑같이 인위적일 수 있습니다.

사회 신경과학의 의식 이론(Graziano & Kastner, 2011)은 우리 자신의 자아 감각을 국지화하는 능력에 중요한 역할을 부여합니다. 이 이론의 주요 전제는 사람들이 무엇을 할 것인지 예측할 수 있을 정도로 사회적 환경에서 더 잘 지낼 수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인간의 뇌는 다른 사람의 주의와 의도에 대한 모델을 구성하고 해당 모델을 해당 사람의 머릿속에 위치시켜 추적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개발해 왔습니다. 이 제안은 동일한 뇌 메커니즘이 자신의 주의와 의도에 대한 모델을 구성하는 데 적용되어 자신의 머릿속에 국한되어 의식으로 인식된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의식의 주요 기능은 우리 자신의 행동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의식의 변화(예: 정상적인 변동, 정신 질환, 뇌 손상)가 다른 사람의 주의와 의도를 모델링할 수 있는 뇌 메커니즘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지 여부 등 이 새로운 이론의 주요 예측을 테스트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합니다.

의사 결정에 대한 의식적인 경험

여러 가지 가능한 행동 중에서 선택하는 것, 즉 의지는 우리의 주관적인 의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많은 결정을 내릴 때는 유난히 의식이 강해졌다가도 정신 에너지가 고갈된 것처럼 지친 기분을 느낄 수 있습니다.

A woman in a supermarket aisle holds two different types of Doritos and carefully reads the packages.
When making a decision you might carefully consider your choices or simply "go with your gut". [Image: Daniel Lee, https://goo.gl/aJi3jx, CC BY-NC-SA 2.0, https://goo.gl/Toc0ZF]

우리는 두 가지 방식으로 의사 결정을 내립니다. 때때로 우리는 뇌의 의식적인 정보 처리 방식을 최대한 활용하여 여러 가지 요소를 신중하게 분석하고 비교하여 결정을 내립니다. 다른 경우에는 무의식적 정보 처리 모드를 신뢰하여 직감적으로 결정을 내리기도 합니다(여전히 뇌에 의존하지만). 무의식 모드는 수많은 요소를 동시에 고려하는 데 능숙하기 때문에 증거의 총합에 대한 전체적인 인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우리는 개별적인 고려 사항을 인식하지 못합니다. 반면에 의식 모드에서는 특정 요소에 집중하는 행위가 다른 요소를 고려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지만 각 요소를 면밀히 검토할 수 있습니다.

이 두 가지 전략을 고려하여 의사 결정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고려해야 할 알려진 요소가 몇 가지에 불과할 때는 신중하게 의식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직감적 결정은 많은 요소를 동시에 고려해야 할 때 효과적입니다. 직감적인 결정은 때때로 정확할 수 있지만(예: 여러 팀 중 어느 팀이 접전 끝에 승리할지 추측하는 경우), 이는 관련 분야에 정통한 경우에만 가능합니다(Dane, Rockmann, & Pratt, 2012).

경험을 통해 학습하면서 점진적으로 축적되는 지식 중 일부는 무의식적으로 축적되어 자신도 모르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의식적으로 습득한 정보는 추가적인 통제 단계를 통해 고유한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de Lange, van Gaal, Lamme, & Dehaene, 2011). 의식적인 목표와 신념에 따라 어떤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고 어떤 저장된 정보를 검색할지 통제하는 것이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직감을 믿든, 관련 요소를 면밀히 분석하든, 우리는 자유롭게 자신의 결정에 도달했다고 느낍니다. 이러한 자유 선택의 느낌은 진짜일까요? 현대의 실험 기법으로는 이 실존적 질문에 답하기에는 부족합니다. 하지만 적어도 우리가 느끼는 결정의 즉각성은 환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한 실험에서 사람들은 오른쪽 버튼을 누를지 왼쪽 버튼을 누를지 자유롭게 고민한 후 결정을 내렸을 때 버튼을 누르라고 요청받았습니다(Soon, Brass, Heinze, & Haynes, 2008). 참가자들은 버튼을 누르기 직전에 결정을 내렸다고 말했지만,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으로 측정한 뇌 활동은 자유롭게 결정했다고 말하기 10초 전에 이미 결정을 예측하고 있었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의식적 경험은 그 자체로는 의식을 수반하지 않지만 의식적 경험으로 절정에 이르는 뇌의 전조 현상이 선행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많은 상황에서 사람들은 특정 방식으로 행동하기로 한 결정의 실제 근거와는 무관한 행동의 이유를 만들어냅니다. 우리 모두는 자신의 행동에 대한 합리적인 설명을 소급하여 만들어내려는 성향이 있지만, 우리의 행동은 종종 의식적인 의지가 아닌 무의식적인 정신 처리의 결과입니다.

왜 우리는 우리의 각 행동이 바로 그 행동에 대한 우리 자신의 결정에 선행한다고 느낄까요? 이러한 착각은 자신의 행동과 다른 행위자의 행동을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친구와 손을 잡고 걷다가 둘 다 좌회전하기 직전에 내가 좌회전하기로 결정했다고 느꼈다면 내가 좌회전을 시작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그렇지 않다면 친구가 시작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의사 결정 과정의 일부 측면이 환상적이라고 하더라도, 우리의 결정은 이전 조건에 의해 어느 정도까지 결정될까요? 특정 행동으로 이어지는 의식적인 의도를 만들 때와 같은 일부 결정은 확실히 우리가 완전히 통제할 수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왼쪽으로 갈지 오른쪽으로 갈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인상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의사 결정이 무의식적 처리, 신경 잡음, 뇌의 방대한 대화형 뉴런 네트워크의 예측 불가능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추가 연구를 통해 의지의 신경인지적 기초를 더 잘 이해해야 하는데, 이는 까다로운 작업입니다.

하지만 자유 선택에 대한 믿음은 도덕적 행동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정의에 대한 인간의 개념의 기초가 됩니다. 자유 선택에 대한 감각은 인간이 사회적 존재로서 번성하는 데 도움이 되었기 때문에 널리 퍼진 유익한 특성일 수 있습니다.

의식 이해하기

인간의 의식은 우리의 모든 관찰과 이해를 얻으려는 시도에 불가피하게 영향을 미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학적 탐구는 의식에 대한 유용한 관점을 제공해 왔습니다. 위에서 설명한 발전은 현재까지 적용된 다양한 연구 전략과 향후 의식에 대한 추가 통찰력에 대한 전망에 대해 낙관적인 태도를 불러일으킬 것입니다.

의식적 경험은 본질적으로 사적인 것이기 때문에 때때로 과학적 탐구의 영역 밖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 왔습니다. 이러한 관점은 과학을 전적으로 3인칭 시점에 의존하거나 특정 관점이 없는 무(無)에서의 관점에 의존하여 여러 관찰자가 검증할 수 있는 관찰만을 포함하는 노력으로 이상화합니다. 그러나 과학을 수행하는 것은 다른 인간 활동과 마찬가지로 개인과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에 의존하는 인간의 활동입니다. 세상에 대한 합리적인 과학적 설명은 사람들이 주관적인 경험을 한다는 사실을 피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관성은 과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의식적인 경험은 체계적인 분석과 경험적 테스트를 거쳐 점진적인 이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미래의 과학자들이 해결해야 할 많은 질문이 남아 있습니다. 의식적 경험에 대한 1인칭 시점은 모든 인간에게 기본적으로 동일한가, 아니면 개인마다 내성적 경험과 능력에 근본적인 차이가 있는가? 심리학은 평범한 의식 경험에만 초점을 맞춰야 할까요, 아니면 특별한 경험도 관련성이 있을까요? 성찰에 대한 훈련을 받으면 의식적 경험과 관련하여 특정한 종류의 전문성을 가질 수 있나요? 광범위한 명상 수행과 같은 훈련을 받은 개인은 자신의 경험을 더 정확하게 묘사할 수 있으며, 이는 의식의 특성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람은 다른 사람들이 알아차리지 못하는 경험의 미묘한 차이를 이해할 수 있어 의식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크게 발전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가능성과 다른 가능성들은 의식에 대한 미래의 과학적 탐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Outside Resources

1. Video: Demonstration of motion-induced blindness - Look steadily at the blue moving pattern. One or more of the yellow spots may disappear.
2. Web: Learn more about motion-induced blindness on Michael Bach\\\'s website
http://www.michaelbach.de/ot/mot-mib/index.html
3. Video: Clip showing a patient with blindsight, from the documentary \\\"Phantoms in the Brain.\\\"
4. Video: Clip on the rubber hand illusion, from the BBC science series \\\"Horizon.\\\"
5. Video: Clip on out-of-body experiences induced using virtual reality.
6. App: Visual illusions for the iPad.
http://www.exploratorium.edu/explore/apps/color-uncovered
7. Web: Definitions of Consciousness
http://www.consciousentities.com/definitions.htm
8. Video: The mind-body problem - An interview with Ned Block
9. Video: Imaging the Brain, Reading the Mind - A talk by Marsel Mesulam.
Video: Ted Talk - Simon Lewis: Don't take consciousness for granted
http://www.ted.com/talks/simon_lewis_don_t_take_consciousness_for_granted.html

Discussion Questions

  1. Why has consciousness evolved? Presumably it provides some beneficial capabilities for an organism beyond behaviors that are based only on automatic triggers or unconscious processing. What are the likely benefits of consciousness?
  2. How would you explain to a congenitally blind person the experience of seeing red? Detailed explanations of the physics of light and neurobiology of color processing in the brain would describe the mechanisms that give rise to the experience of seeing red, but would not convey the experience. What would be the best way to communicate the subjective experience itself?
  3. Our visual experiences seem to be a direct readout of information from the world that comes into our eyes, and we usually believe that our mental representations give us an accurate and exact re-creation of the world. Is it possible that what we consciously perceive is not veridical, but is a limited and distorted view, in large part a function of the specific sensory and information-processing abilities that the brain affords?
  4. When are you most conscious—while you’re calm, angry, happy, or moved; while absorbed in a movie, video game, or athletic activity; while engaged in a spirited conversation, making decisions, meditating, reflecting, trying to solve a difficult problem, day dreaming, or feeling creative? How do these considerations shed light on what consciousness is?
  5. Consciousness may be a natural biological phenomenon and a chief function of a brain, but consider the many ways in which it is also contingent on (i) a body linked with a brain, (ii) an outside world, (iii) a social environment, and (iv) a developmental trajectory. How do these considerations enrich our understanding of consciousness?
  6. Conscious experiences may not be limited to human beings. However, the difficulty of inferring consciousness in other beings highlights the limitations of our current understanding of consciousness. Many nonhuman animals may have conscious experiences; pet owners often have no doubt about what their pets are thinking. Computers with sufficient complexity might at some point be conscious—but how would we know?

Vocabulary

Awareness
A conscious experience or the capability of having conscious experiences, which is distinct from self-awareness, the conscious understanding of one’s own existence and individuality.
Conscious experience
The first-person perspective of a mental event, such as feeling some sensory input, a memory, an idea, an emotion, a mood, or a continuous temporal sequence of happenings.
Contemplative science
A research area concerned with understanding how contemplative practices such as meditation can affect individuals, including changes in their behavior, their emotional reactivity, their cognitive abilities, and their brains. Contemplative science also seeks insights into conscious experience that can be gained from first-person observations by individuals who have gained extraordinary expertise in introspection.
First-person perspective
Observations made by individuals about their own conscious experiences, also known as introspection or a subjective point of view. Phenomenology refers to the description and investigation of such observations.
Third-person perspective
Observations made by individuals in a way that can be independently confirmed by other individuals so as to lead to general, objective understanding. With respect to consciousness, third-person perspectives make use of behavioral and neural measures related to conscious experiences.

References

  • Blackmore, S. (2006). Conversations on consciousness: What the best minds think about the brain, free will, and what it means to be huma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Casali, A. G., Gosseries, O., Rosanova, M., Boly, M. Sarasso, S., Casali, K. R., Casarotto, S., Bruno, M.-A., Laureys, S., Tononi, G., & Massimini, M. (2013). A theoretically based index of consciousness independent of sensory processing and behavior. 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 5, 198ra105
  • Dane, E., Rockmann, K. W., & Pratt, M. G. (2012). When should I trust my gut? Linking domain expertise to intuitive decision-making effectivenes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119, 187–194.
  • Dehaene, S., & Changeux, J.-P. (2011).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pproaches to conscious processing. Neuron, 70, 200–227.
  • Dehaene, S., Naccache, L., Le Clec’H, G., Koechlin, E., Mueller, M., Dehaene-Lambertz, G., van de Moortele, P.-F., & Le Bihan, D. (1998). Imaging unconscious semantic priming. Nature, 395, 597–600.
  • Graziano, M. S. A., & Kastner, S. (2011). Human consciousness and its relationship to social neuroscience: A novel hypothesis. Cognitive Neuroscience, 2, 98–113.
  • Koch, C. (2012). Consciousness: Confessions of a romantic reductionist. Cambridge, MA: MIT Press.
  • Lamme, V. A. F. (2001). Blindsight: The role of feedforward and feedback corticocortical connections. Acta Psychologica, 107, 209–228.
  • Monti, M. M., Lutkenhoff, E. S., Rubinov, M., Boveroux, P., Vanhaudenhuyse, A., Gosseries O., Bruno, M. A., Noirhomme, Q., Boly, M., & Laureys S. (2013) Dynamic change of global and local information processing in propofol-induced loss and recovery of consciousness. PLoS Comput Biol 9(10): e1003271. doi:10.1371/journal.pcbi.1003271
  • Paller, K. A., Voss, J. L., & Westerberg, C. E. (2009). Investigating the awareness of remembering.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4, 185–199.
  • Pascual-Leone, A., & Walsh, V. (2001). Fast backprojections from the motion to the primary visual area necessary for visual awareness. Science, 292, 510–512.
  • Soon, C. S., Brass, M., Heinze, H.-J., & Haynes, J.-D. (2008). Unconscious determinants of free decision in the human brain. Nature Neuroscience, 11, 543–545.
  • Tononi, G. (2004). An information integration theory of consciousness. BMC Neuroscience, 5(42), 1–22. Retrieved from http://www.biomedcentral.com/1471-2202/5/42/
  • Voss, J. L., Lucas, H. D., & Paller, K. A. (2012). More than a feeling: Pervasive influences of memory processing without awareness of retrieval. Cognitive Neuroscience, 3, 193–207.
  • Zelazo, P. D., Moscovitch, M., & Thompson, E. (2007). The Cambridge Handbook of Consciousness.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Zeman, A. (2002). A user’s guide to consciousness.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 de Lange, F., van Gaal, S., Lamme, V., & Dehaene, S. (2011). How awareness changes the relative weights of evidence during human decision making. PLOS-Biology, 9, e1001203.

Authors

  • Ken Paller
    Ken Paller is a cognitive neuroscientist at Northwestern University,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Psychology, and Director of the Cognitive Neuroscience Program. Research in his laboratory focuses on various aspects of human memory, including contrasts between conscious and nonconscious memory expressions, accurate guessing based on implicit knowledge, and memory consolidation during sleep.
  • Satoru Suzuki
    Satoru Suzuki studied physics and music composition at Wesleyan University. He pursued physics at th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t Amherst, hoping to understand the universe, but realized that consciousness is at the heart of understanding everything. He studied visual perception at Harvard University, and now investigates how human experience arises from conscious and unconscious interactions with the environment.

Creative Commons License

Creative CommonsAttributionNon-CommericalShare-AlikeConsciousness by Ken Paller and Satoru Suzuki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4.0 International License. Permissions beyond the scope of this license may be available in our Licensing Agreement.

How to cite this Noba module using APA Style

Paller, K. & Suzuki, S. (2023). Consciousness. In R. Biswas-Diener & E. Diener (Eds), Noba textbook series: Psychology. Champaign, IL: DEF publishers. Retrieved from http://noba.to/5ydq3tgk

This article was updated on 7월 3, 2023

심리학을 공부하기 위해 noba project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도전을 시작했습니다. 번역에 DeepL과 GPT-4를 적극적으로 활용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