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주와 개념(Categories and Concepts)

범주와 개념

By

New York University

사람들은 사물의 범주에 대한 정신적 개념을 형성하여 새로운 사물을 접할 때 적절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개념은 엄격하게 정의할 수는 없지만 해당 범주에서 가장 일반적인 속성을 가진 '가장 좋은' 예시 또는 프로토타입을 중심으로 구성됩니다. 사물은 여러 가지 범주로 나뉘지만, 일반적으로 가장 두드러진 범주는 기본 수준 범주이며, 이는 중간 수준의 구체성(예: 가구나 책걸상이 아닌 의자)에 해당합니다. 개념은 세상에 대한 우리의 지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사람들은 자신의 지식과 일치하는 개념을 더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 개념 이론에서는 사람들이 전체 범주에 대한 요약 설명을 학습하거나 범주의 예시를 학습한다고 주장합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개념을 학습하고 표현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이는 서로 다른 신경 시스템에 의해 수행된다고 합니다.

학습 목표

  • Understand the problems with attempting to define categories.
  • Understand typicality and fuzzy category boundaries.
  • Learn about theories of the mental representation of concepts.
  • Learn how knowledge may influence concept learning.

카테고리를 정의하려고 할 때의 문제점을 이해합니다.
전형성과 모호한 범주 경계를 이해합니다.
개념의 정신적 표상에 관한 이론에 대해 알아봅니다.
지식이 개념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세요.

소개

A colorful transport truck driving up a hill.
Although you’ve (probably) never seen this particular truck before, you know a lot about it because of the knowledge you’ve accumulated in the past about the features in the category of trucks. [Image: CC0 Public Domain, https://goo.gl/m25gce]

먼지, 종이, 컴퓨터 모니터, 펜 두 자루, 컵, 오렌지 등 다음과 같은 물체 세트를 생각해 보세요. 이 물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이 글을 쓰는 지금 제 책상 위에 있다는 것뿐입니다. 이러한 사물의 집합은 어떤 식으로든 동등한 것으로 취급될 수 있는 사물의 집합인 카테고리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카테고리는 많은 속성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훨씬 더 유익해 보입니다. 예를 들어 트럭, 무선 장치, 결혼식, 사이코패스, 송어 등의 카테고리를 생각해 보세요. 특정 카테고리에 속하는 객체들은 서로 다르지만 많은 공통점이 있습니다. 어떤 사물이 트럭이라는 것을 알면 그것에 대해 꽤 많이 알고 있는 것입니다. 범주의 심리학은 사람들이 트럭이나 사이코패스와 같은 유익한 범주를 어떻게 학습하고, 기억하고, 사용하는지에 관한 것입니다.

우리가 범주에 대해 형성하는 정신적 표상을 개념이라고 합니다. 세상에는 트럭이라는 범주가 있고, 제 머릿속에도 트럭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우리는 사람들의 개념이 실제 범주와 어느 정도 일치한다고 가정하지만, 누군가의 개념이 실제로 정확하지 않을 때처럼 두 가지를 구분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습니다.

개념은 지능적인 행동의 핵심입니다. 우리는 사람들이 새로운 상황과 새로운 사물을 마주했을 때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새로운 교실에 들어가서 의자, 칠판, 프로젝터, 스크린을 본다면 이 물건들이 무엇이고 어떻게 사용될지 알 수 있습니다. 의자 중 하나에 앉아 강사가 칠판에 글씨를 쓰거나 스크린에 무언가를 투사할 것으로 기대할 것입니다. 교실, 의자, 프로젝터 등에 대한 개념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특정 물체를 본 적이 없더라도 그것들이 무엇인지, 그것으로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또한 프로젝터에 대한 새로운 사실(예: 프로젝터에 할로겐 전구가 있다는 사실)을 누군가 알려주면 이 사실을 다른 프로젝터로 확장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요컨대, 개념을 사용하면 제한된 수의 사물에 대해 배운 내용을 잠재적으로 무한한 개체 집합으로 확장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수천 개의 카테고리를 알고 있으며, 그 중 대부분은 세심한 연구나 교육 없이 학습한 것입니다. 이러한 성취는 간단해 보일 수 있지만, 이러한 지적 과제를 해결하도록 컴퓨터를 프로그래밍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그렇지 않다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학습 프로그램에 로빈, 제비, 오리가 모두 새라고 가르치면 추기경이나 공작새를 새로 인식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곧 살펴보겠지만, 문제는 카테고리에 속하는 객체가 놀라울 정도로 다양하다는 것입니다.

동물이나 갓난아기와 같은 단순한 유기체에도 개념이 있습니다(Mareschal, Quinn, & Lea, 2010). 예를 들어 다람쥐는 자신의 삶과 경험에 특정한 포식자 개념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동물은 그보다 훨씬 적은 수의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모기지나 악기와 같은 복잡한 개념을 이해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카테고리의 특성

A dog that is missing one of it's front legs sits in the backseat of a car.
Here is a very good dog, but one that does not fit perfectly into a well-defined category where all dogs have four legs. [Image: State Farm, https://goo.gl/KHtu6N, CC BY 2.0, https://goo.gl/BRvSA7]

전통적으로 카테고리는 잘 정의되어 있다고 가정해 왔습니다. 즉, 카테고리의 안과 밖을 지정하는 정의를 내릴 수 있다는 뜻입니다. 이러한 정의에는 두 가지 부분이 있습니다. 첫째, 카테고리 멤버십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카테고리에 속하려면 객체가 어떤 특징을 가져야 하는가? 둘째, 이러한 특징이 공동으로 회원 자격에 충분해야 합니다: 객체가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면 그 객체는 카테고리에 속합니다. 예를 들어 개를 짖는 네발 달린 동물로 정의했다면 모든 개는 네발 달린 동물이고, 동물이며, 짖는다는 의미이며, 또한 이러한 속성을 모두 갖춘 모든 것이 개라는 뜻이 됩니다.

안타깝게도 많은 친숙한 카테고리에 대한 정의를 찾을 수 없었습니다. 정의는 깔끔하고 명료하지만, 세상은 복잡하고 종종 불분명합니다. 예를 들어 개에 대한 정의를 생각해 보세요. 실제로 모든 개가 다리가 네 개인 것은 아니며 모든 개가 짖는 것도 아닙니다. 저는 나이가 들면서 짖는 소리가 없어진 개를 알고 있는데(이것은 개선된 것입니다), 아무도 그 개가 여전히 개라는 것을 의심하지 않았습니다. 일부 필수적인 특징(예: 모든 개는 피를 흘리고 숨을 쉰다)을 찾을 수는 있지만, 이러한 특징만으로는 일반적으로 카테고리 멤버십을 결정하기에 충분하지 않습니다(당신도 피를 흘리고 숨을 쉬지만 개는 아니다).

과학이나 법률과 같이 명확한 정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영역에서도 종종 문제가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2006년에 명왕성이 행성에서 왜소행성으로 격하되었을 때 많은 사람들이 화를 냈습니다. 행성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된 사람들은 "이 천문학자들은 과학자 아닌가?"라며 분노했습니다. 간단한 정의라도 내릴 수 없나요?" 사실, 그들은 할 수 없었습니다. 한 천문학 단체에서 행성에 대한 정의를 만들려고 하자, 많은 천문학자들이 해왕성 같은 행성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며 불만을 제기하고 사용을 거부했습니다. 모든 것이 지구, 달, 태양처럼 보인다면 행성, 달, 별에 대한 정의를 내리기가 쉬울 테지만, 우주는 슬프게도 이러한 이상에 부합하지 않습니다.

퍼지 카테고리

경계선 항목  

실험에 따르면 잘 정의된 카테고리에 대한 심리적 가정이 정확하지 않다는 사실도 밝혀졌습니다. Hampton(1979)은 피험자들에게 여러 항목이 서로 다른 범주에 속하는지 판단하도록 요청했습니다. 그는 어떤 항목이 명확한 멤버이거나 명확한 비멤버인 것을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대신, 그는 간신히 범주 구성원으로 간주되는 항목과 간신히 비구성원으로 간주되는 항목이 많았으며 피험자들 간에 많은 의견 불일치가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싱크대는 주방 용품 카테고리의 구성원으로 거의 고려되지 않았고 스펀지는 거의 제외되지 않았습니다. 사람들은 해초를 채소에 포함시키고 토마토와 조롱박은 거의 제외하지 않았습니다. 햄튼은 회원과 비회원이 하나의 연속체를 형성하고 있으며, 사람들의 판단에 뚜렷한 단절이 없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카테고리가 잘 정의되어 있다면 이러한 예는 매우 드물 것입니다. 그 이후 많은 연구에서 범주에 명확히 속하지도, 범주에서 명확히 벗어나지도 않는 경계선상의 구성원을 발견했습니다.

Examples of two categories with members ordered by typicality. Category 1, Furniture: chair, table, desk, bookcase, lamp, cushion, rug, stove, picture, vase. Category 2, Fruit: orange, banana, pear, plum, strawberry, pineapple, lemon, honeydew, date, tomato.
Table 1. Examples of two categories, with members ordered by typicality (from Rosch & Mervis, 1975)

맥클로스키와 글럭스버그(1978)는 사람들에게 2주 간격으로 두 번씩 카테고리를 판단하게 함으로써 경계성 멤버십에 대한 추가적인 증거를 발견했습니다. 그들은 사람들이 "올리브는 과일인가?" 또는 "스펀지는 주방용품인가?"와 같이 반복적으로 카테고리를 판단할 때 경계선 품목에 대한 생각이 최대 22%까지 바뀌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따라서 사람들은 경계선에 있는 품목에 대해 서로 동의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스스로도 동의하지 않습니다! 그 결과, 연구자들은 종종 카테고리가 모호한, 즉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뀔 수 있는 불명확한 경계를 가지고 있다고 말합니다.

전형성

이와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발견은 분명히 범주에 속하는 항목 중에도 어떤 항목은 다른 항목보다 "더 나은" 항목으로 보인다는 것입니다(Rosch, 1973). 예를 들어 조류 중에서는 로빈과 참새가 매우 전형적인 예입니다. 이와 대조적으로 타조와 펭귄은 매우 비정형적입니다(전형적이지 않다는 의미). 누군가 "우리 마당에 새가 있어요"라고 말하면 독수리나 벌새, 칠면조가 아니라 로빈과 같은 작은 텃새를 떠올리게 될 것입니다.

사람들에게 물어보는 것만으로도 어떤 카테고리가 대표적인지 알 수 있습니다. 표 1은 전형성이 평가된 순서대로 카테고리 구성원 목록을 보여줍니다. 전형성은 사람들이 카테고리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예측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변수일 것입니다. 다음 텍스트 상자는 전형성이 영향을 미치는 항목의 일부 목록입니다.

경계선 멤버와 전형성이라는 두 가지 현상은 동전의 양면과 같은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가장 전형적인 카테고리 구성원을 생각해 보세요: 이를 흔히 카테고리 프로토타입이라고 합니다. 원형과 점점 더 유사해지는 항목은 점점 더 전형적이지 않게 됩니다. 어느 순간, 이렇게 덜 전형적인 아이템은 너무 비정형적이어서 카테고리에 속하는 아이템인지 의심이 들기 시작합니다. 러그가 정말 가구의 예일까요? 러그는 의자나 테이블처럼 집 안에 있지만 구조와 용도가 대부분의 가구와 다릅니다. 이 비정형적인 예가 카테고리에 속하는지 아니면 카테고리를 벗어나는지 매일매일 생각이 바뀔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형성의 변화는 궁극적으로 경계선 멤버로 이어집니다.

Influences of typicality on cognition: 1 – Typical items are judged category members more often. 2 – The speed of categorization is faster for typical items. 3 – Typical members are learned before atypical ones. 4 – Learning a category is easier of typical items are provided. 5 – In language comprehension, references to typical members are understood more easily. 6 – In language production, people tend to say typical items before atypical ones (e.g. “apples and lemons” rather than “lemons and apples”).
Text Box 1

전형성의 출처

직관적으로 로빈이 펭귄보다 새의 더 좋은 예이거나 테이블이 러그보다 더 전형적인 가구라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하지만 로빈과 펭귄이 새로 알려져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왜 한 쪽이 다른 쪽보다 더 전형적이어야 할까요? 한 가지 가능한 대답은 우리가 그 물체를 접하는 빈도입니다: 우리는 펭귄보다 로빈을 훨씬 더 많이 보므로 로빈이 더 전형적인 새임에 틀림없습니다. 빈도는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실제로 가장 중요한 변수는 아닙니다(Rosch, Simpson, & Miller, 1976). 예를 들어, 저는 러그와 테이블을 매일 보지만 둘 중 하나는 다른 것보다 가구로서 훨씬 더 전형적입니다.

무엇이 어떤 것을 전형적인 것으로 만드는지에 대한 가장 좋은 설명은 Rosch와 Mervis(1975)의 가족 유사성 이론에서 나옵니다. 이들은 (가) 해당 범주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고 (나) 다른 범주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항목이 전형적일 가능성이 높다고 제안했습니다. 두 가지 극단적인 예로 로빈과 펭귄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로빈은 노래를 부르고, 나무에 둥지를 틀고, 겨울에 이동하고, 잔디밭을 뛰어다니는 등 날아다니는 작은 새입니다. 이러한 특성의 대부분은 다른 많은 새들에게서 발견됩니다. 반면 펭귄은 날지도 않고, 노래하지도 않으며, 둥지나 나무에 살지도 않고, 잔디밭에서 뛰어다니지도 않습니다. 또한 펭귄은 능숙하게 헤엄치고 지느러미처럼 보이고 행동하는 날개를 가지고 있는 등 다른 카테고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은 새보다 물고기에서 더 자주 발견됩니다.

A Japanese Robin
When you think of “bird,” how closely does the robin resemble your general figure? [Image: CC0 Public Domain, https://goo.gl/m25gce]

로쉬와 메르비스에 따르면, 로빈이 전형적인 새가 되는 것은 로빈이 매우 흔한 새이기 때문이 아니라고 합니다. 오히려 로빈은 새들 사이에서 매우 흔하고 물고기, 포유류, 벌레 등에서는 흔하지 않은 모양, 크기, 신체 부위 및 행동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고전적인 실험에서 Rosch와 Mervis(1975)는 임의의 특징을 가진 두 가지 새로운 범주를 만들었습니다. 피험자들은 예시를 차례로 보고 어떤 예시가 어떤 범주에 속하는지 학습해야 했습니다. Rosch와 Mervis는 범주에 공통된 특징을 가진 일부 항목과 범주에 공통적이지 않은 특징을 가진 다른 항목을 구성했습니다. 피험자들은 두 번째 유형을 학습하기 전에 첫 번째 유형의 항목을 먼저 학습했습니다. 그런 다음 공통된 특징을 가진 항목을 더 전형적인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또 다른 실험에서 로쉬와 메르비스는 다른 카테고리와 공유되는 특징의 수가 다른 항목을 구성했습니다. 공유되는 특징이 많을수록 피험자가 해당 항목이 어떤 범주에 속하는지 학습하는 데 더 오랜 시간이 걸렸습니다. 이러한 실험과 이후의 많은 연구는 가족 유사성 이론의 두 가지 부분을 모두 뒷받침합니다.

카테고리 계층 구조

많은 중요한 카테고리는 계층 구조에 속하며, 더 구체적인 카테고리가 더 큰 추상적인 카테고리 안에 중첩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불곰, 곰, 포유류, 척추동물, 동물, 개체 등의 범주를 생각해 보세요. 분명히 모든 불곰은 곰이고, 모든 곰은 포유류이며, 모든 포유류는 척추동물입니다. 주어진 객체는 일반적으로 한 가지 범주에만 속하는 것이 아니라 수십 개의 다른 범주에 속할 수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이러한 계층적 방식으로 구조화되어 있습니다. 생물학적 범주의 예가 가장 쉽게 떠오르지만, 인간 유물의 영역에서도 책상, 의자, 가구, 유물, 사물과 같은 계층적 구조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아동 언어 연구자인 브라운(1958)은 우리가 사물을 분류할 때 어떤 카테고리를 선호하는지에 대해 처음으로 주목한 사람일 것입니다. 사무실 책걸상이 방해가 된다면 "책걸상 치워"나 "가구 치워"라고 말하기보다는 "저 의자 치워"라고 말할 것입니다. 브라운은 하나의 일관된 이름을 사용하면 아이들이 사물의 이름을 배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실제로 어린이가 카테고리에 처음 붙이는 레이블은 어른이 선호하는 이름과 정확히 일치하는 경향이 있습니다(Anglin, 1977).

This figure shows examples of super-ordinate, basic, and subordinate categories. For example, "mammals" is a super-ordinate category in which "dog" is a basic member. Below that, specific types of dogs such as "spaniels" are subordinate categories.
Figure 1. This is a highly simplified illustration of hierarchically organized categories, with the superordinate, basic, and subordinate levels labeled. Keep in mind that there may be even more specific subordinates (e.g., wire-haired terriers) and more general superordinates (e.g., living thing)

이러한 선호도를 기본 분류 수준에 대한 선호도라고 하며, 엘리너 로쉬와 그녀의 학생들에 의해 처음 자세히 연구되었습니다(Rosch, Mervis, Gray, Johnson, & Boyes-Braem, 1976). 기본 수준은 무언가에 사용되는 범주가 너무 작지도 않고(북부 불곰) 너무 크지도 않지만(동물) 딱 맞는(곰) 일종의 골디락스 효과를 나타냅니다. 사물의 기본 수준 범주를 식별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중립적인 상황에서 사물이 어떻게 분류되는지 알아보는 것입니다. Rosch 등(1976)은 피험자들에게 사진을 보여주고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름을 말하도록 요청했습니다. 그 결과 1,595개의 이름이 기본 수준이었으며, 14개의 구체적인 이름(부하)이 더 사용되었습니다. 더 일반적인 이름(상급자)을 사용한 사람은 단 한 명뿐이었습니다. 또한 인쇄된 텍스트에서는 기본 수준의 레이블이 대부분의 하위 또는 상위 레이블보다 훨씬 더 자주 사용됩니다(예: Wisniewski & Murphy, 1989).

기본 수준을 선호하는 것은 단순히 라벨링의 문제가 아닙니다. 기본 수준 범주는 일반적으로 학습하기 더 쉽습니다. 브라운이 지적했듯이, 아이들은 언어 학습에서 이러한 범주를 가장 먼저 사용하며 상위 범주는 특히 아이들이 완전히 습득하기 어렵습니다.[1] 사람들은 기본 수준 범주에 속하는 사물을 더 빨리 식별합니다(Rosch 외., 1976).

Rosch 등(1976)은 처음에 기본 수준 범주가 세계를 그 접합부에서 잘라낸다고, 즉 의자와 테이블과 같은 범주나 세상에 존재하는 고양이와 쥐 사이의 큰 차이점을 반영할 뿐이라고 제안했습니다. 그러나 어떤 수준이 기본 수준인지가 보편적인 것은 아닙니다. 북미 사람들은 자연물을 분류할 때 나무, 물고기, 새와 같은 이름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덜 산업화된 사회의 사람들은 이러한 명칭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느릅나무, 송어, 핀치와 같은 보다 구체적인 단어를 사용합니다(Berlin, 1992). 미국인을 비롯한 산업화된 사회에 사는 많은 사람들이 자연계에 대해 조상들보다 훨씬 덜 알고 있기 때문에, 우리의 기본 수준은 한 세기 전에는 상위 수준이었을 정도로 "올라갔다". 게다가 한 분야의 전문가는 비전문가보다 더 구체적인 수준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조류 관찰자는 새만 보는 것이 아니라 참새를 보고, 목수는 망치만 보는 것이 아니라 지붕 망치를 봅니다(Tanaka & Taylor, 1991). 이 모든 것은 선호하는 수준이 단지 세상의 다양한 카테고리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카테고리에 대한 사람들의 지식과 관심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기본 수준 선호도에 대한 한 가지 설명은 기본 수준 카테고리가 더 차별화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범주 구성원들은 서로 비슷하지만 다른 범주의 구성원들과는 다릅니다(Murphy & Brownell, 1985; Rosch et al., 1976). (주의 깊은 독자라면 위에서 설명한 전형성에 대한 설명과 유사하다는 점을 눈치챘을 것입니다. 그러나 여기서는 개별 구성원이 아닌 전체 범주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의자는 다리, 좌석, 등받이, 비슷한 크기와 모양 등 많은 특징을 공유하며 서로 매우 유사하지만 다른 가구와도 많은 특징을 공유하지 않습니다. 상위 카테고리는 구성 요소가 서로 매우 유사하지 않기 때문에 그다지 유용하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가구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기능은 무엇인가요? 거의 없습니다. 하위 카테고리는 다른 카테고리와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그다지 유용하지 않습니다: 책상 의자는 식당 의자 및 안락 의자와 매우 유사합니다. 따라서 어떤 사물이 어떤 하위 범주에 속하는지 결정하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Murphy & Brownell, 1985). 전문가는 범주에 대해 서로 다른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초보자와 가장 차별화되는 범주가 다를 수 있으며, 따라서 범주가 얼마나 유사한지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일부에서는 유아가 다른 무엇보다도 상급어를 먼저 배운다고 말하기 때문에 이것은 논란의 여지가 있는 주장입니다(Mandler, 2004). 그러나 이것이 사실이라면, 나이가 많은 아이들이 상위 단어의 정확한 의미를 배우는 데 큰 어려움을 겪고 인위적인 상위 범주를 배우는 데 큰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은 매우 의아한 일입니다(Horton & Markman, 1980; Mervis, 1987). 그러나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아직 완전히 알려지지 않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개념 표현 이론

이제 개념의 심리에 대한 이러한 사실을 알았으니, 개념이 어떻게 정신적으로 표현되는지에 대한 의문이 생깁니다. 이에 대한 답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 다소 혼란스럽게도 원형 이론이라고 불리는 이론은 사람들이 범주에 대한 요약적 표상, 즉 범주 전체에 적용하기 위한 정신적 설명을 가지고 있다고 제안합니다. (요약의 중요성은 다음 이론을 설명할 때 분명해질 것입니다.) 이 설명은 가중치가 부여된 특징의 집합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Smith & Medin, 1981). 특징은 카테고리 내 빈도에 따라 가중치가 부여됩니다. 새 범주의 경우 날개와 깃털이 있는 것은 매우 높은 가중치를 가지며, 벌레를 먹는 것은 낮은 가중치를 가지며, 남극에 사는 것은 여전히 낮은 가중치를 가지지만 일부 새가 남극에 살기 때문에 0은 아닙니다.

A Komodo Dragon walking across a beach.
If you were asked, “What kind of animal is this?” according to prototype theory, you would consult your summary representations of different categories and then select the one that is most similar to this image—probably a lizard! [Image: Adhi Rachdian, https://goo.gl/dQyUwf, CC BY 2.0, https://goo.gl/BRvSA7]

원형 이론의 기본 개념은 한 카테고리를 배울 때 그 카테고리 전체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설명을 배운다는 것입니다: 새는 날개가 있고 보통 날고, 어떤 새는 벌레를 먹고, 어떤 새는 물고기를 잡기 위해 물속을 헤엄칩니다. 사람들은 이러한 일반화를 말할 수 있으며, 때때로 우리는 이러한 진술을 읽거나 들음으로써 카테고리에 대해 학습합니다("키모도 드래곤은 길이가 10피트까지 자랄 수 있다").

항목을 분류하려고 할 때 가중치가 부여된 특징 목록과 얼마나 잘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날개와 깃털이 있는 무언가가 앞 잔디밭으로 날아와 벌레를 잡아먹는 것을 본 경우, 무의식적으로 개념을 참조하여 관찰한 특징이 어떤 것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예는 새의 특징 중 많은 부분을 가지고 있으므로 새라고 쉽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

이 이론은 앞서 설명한 현상을 쉽게 설명합니다. 일반적인 카테고리 멤버는 가중치가 높은 특징을 더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개념적 표현과 일치시키기가 더 쉽습니다. 덜 전형적인 항목은 가중치가 낮거나 적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다른 개념의 특징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표현과도 잘 일치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사람들은 이러한 항목을 분류할 때 확신을 갖지 못합니다. 경계선 품목은 여러 카테고리와 공통된 특징을 가지고 있거나 어느 카테고리에도 가깝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식용 해조류는 채소의 공통적인 특징을 많이 가지고 있지 않지만 다른 식품 개념(육류, 생선, 과일 등)과도 가깝지 않아 어떤 종류의 식품인지 알기 어렵습니다.

개념 표현에 대한 매우 다른 설명은 예시 이론입니다(예시란 예의 멋진 이름입니다; Medin & Schaffer, 1978). 이 이론은 요약적 표상이 존재한다는 것을 부정합니다. 대신, 이 이론은 채소에 대한 개념은 우리가 본 채소의 예시를 기억한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물론 평생 동안 수백, 수천 개의 예시가 기억될 수 있지만 실제로 얼마나 많은 예시를 기억하는지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이 이론은 분류를 어떻게 설명하나요? 어떤 사물을 볼 때 무의식적으로 기억에 있는 예시와 비교하여 다른 카테고리의 예시와 얼마나 유사한지 판단합니다. 예를 들어, 접시 위에 놓인 어떤 물체를 보고 그 물체를 식별하고 싶다면 야채, 고기, 과일 등에 대한 기억이 활성화될 것입니다. 이 물체를 분류하기 위해 기억에 있는 각 예시와 얼마나 유사한지 계산합니다. 이러한 유사성 점수는 각 범주에 대해 합산됩니다. 이 물체는 많은 수의 채소 예시와 매우 유사하고, 몇 가지 과일과 적당히 유사하며, 기억하는 일부 육류 예시와는 약간만 유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사도 점수를 비교하여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카테고리가 선택됩니다.[2]

왜 누군가가 이러한 개념 이론을 제안했을까요? 한 가지 대답은 개념을 연구하는 많은 실험에서 사람들은 개념을 올바르게 분류하는 법을 배울 때까지 예시를 반복해서 보면서 개념을 학습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조건에서 사람들은 결국 예시를 암기할 가능성이 높습니다(Smith & Minda, 1998). 또한 잘 기억된 대상과의 유사성이 분류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도 있습니다. Allen과 Brooks(1991)는 사람들에게 규칙에 따라 항목을 분류하도록 가르쳤습니다. 그러나 피험자들에게는 매우 상세한 항목을 연구하게 했습니다. 이후 실험에서 실험자들은 사람들에게 이전 항목 중 하나와 매우 유사하지만 다른 범주에 속하는 새로운 항목을 제공했습니다. 즉, 항목이 더 이상 규칙을 따르지 않도록 한 가지 속성을 변경한 것입니다. 실험 결과, 사람들은 이러한 아이템에 속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사람들은 배운 카테고리 규칙을 따르지 않고 새 항목을 이전 항목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인식하여 같은 카테고리에 잘못 넣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프로토타입 이론과 예시 이론을 비교하기 위해 많은 실험이 수행되었습니다. 전반적으로 예시 이론이 이러한 비교에서 대부분 승리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실험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반복해서 보는 소수의 예시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다소 제한적입니다. 예시 이론이 사람들이 개별 항목을 학습하는 데 많은 시간을 소비하지 않는 실제 분류를 설명할 수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습니다(다람쥐를 학습하는 데 얼마나 많은 시간을 소비합니까? 또는 의자를 학습하는 데 얼마나 많은 시간을 소비합니까?). 또한 범주에 대한 지식의 일부는 우리가 읽거나 듣는 일반적인 진술을 통해 학습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예시 기억과는 별도로 요약 설명의 여지가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많은 연구자들은 이제 개념이 여러 인지 시스템을 통해 표현된다는 사실을 인정합니다. 예를 들어, 개에 대한 지식은 부분적으로는 "개는 다리가 네 개다."와 같은 일반적인 설명을 통해 형성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분류에 영향을 주는 몇 가지 예시(가족 개, 래시)에 대한 강한 기억도 있을 것입니다. 또한 일부 카테고리에는 규칙(예: 야구의 스트라이크)이 포함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시스템이 어떻게 함께 작동하는지는 현재 연구의 주제입니다.

[2] 사실 어떤 카테고리를 선택할지 결정하는 것은 이보다 더 복잡하지만 자세한 내용은 이 글에서 다루지 않습니다.

지식

마지막 주제는 개념이 세상에 대한 우리의 폭넓은 지식과 어떻게 부합하는지에 관한 것입니다. 우리는 사람들이 개념의 특징을 배우는 것에 대해 매우 일반적으로 이야기해 왔습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여러 마리의 새를 보고 새는 일반적으로 날개가 있다는 것을 배우거나 새의 예시를 기억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이러한 예시나 특징이 무엇인지에 대한 차이는 없으며 사람들은 단지 그것을 학습할 뿐입니다. 하지만 표 2의 두 가지 가능한 건물 개념과 그 특징을 생각해 보십시오.

Examples of two fiction concepts and their traits. 1 – “Donker”: has thick windows, is red, divers live there, is under water, get there by submarine, has fish as pets. 2 – “Blegdav”: has steel windows, is purple, farmers live there, is in the desert, get there by submarine, has polar bears as pets.
Table 2. Examples of two fictional concepts

이 두 가지 개념의 예시를 보면서 각 예시에는 개념에 대해 나열된 기능 중 일부와 몇 가지 특이한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고 상상해 보세요. 동커 개념을 배우는 것은 꽤 쉬울 것입니다. 심해 탐험가를 위한 일종의 수중 건물인 것 같습니다. 그 특징이 잘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레그다브는 정말 이해가 되지 않아요. 사막에 있는데 어떻게 잠수함을 타고 갈 수 있고, 왜 북극곰을 애완동물로 키울까요? 농부들은 왜 사막에 살거나 잠수함을 이용하나요? 그런 건물에 강철 창문이 무슨 소용이 있을까요? 이 개념은 독특해 보입니다. 실제로 사람들에게 동커와 같이 이해가 되는 새로운 개념을 학습하도록 요청하면 이해가 되지 않는 블리그다브와 같은 개념보다 훨씬 더 빨리 학습합니다(Murphy & Allopenna, 1994). 또한,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 특징(예: 물속에 있다는 것과 잠수함을 타고 간다는 것)은 서로 관련이 없어 보이는 특징(예: 빨간색)보다 더 잘 학습됩니다.

이러한 효과는 우리가 새로운 개념을 배울 때 이미 알고 있는 세상 지식과 연결하려고 노력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먹거나 번식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새로운 동물에 대해 배우게 된다면 매우 당황하고 뭔가 잘못 알고 있는 것이 틀림없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원형과 예시 이론만으로는 이를 예측할 수 없습니다. 그들은 단순히 설명이나 예제를 학습한다고 말하며, 그 설명이나 예제가 무엇인지에 대해 어떤 제약도 두지 않습니다. 그러나 개념에 대한 지식 접근법은 개념이 세상의 실제 사물에 대해 알려주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세상에 대한 우리의 지식이 개념을 배우고 사고하는 데 사용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새로운 기술에 대해 배울 때 이러한 지식의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사람들은 노트북, 휴대폰 및 관련 기술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태블릿 컴퓨터(예: iPad)가 처음 소개되었을 때 쉽게 배울 수 있었습니다. 물론 이러한 과거 지식에 대한 의존은 휴대폰에는 없던 새 태블릿의 기능에 대해 배우지 못하거나 태블릿이 할 수 없는 일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등 오류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범주에 대한 사람들의 지식에서 중요한 한 가지 측면을 심리적 본질주의라고 합니다(Gelman, 2003; Medin & Ortony, 1989). 사람들은 일부 범주, 특히 동물, 식물 또는 광물과 같은 자연적인 범주에는 해당 범주에서만 발견되고 다른 특징을 유발하는 근본적인 속성이 있다고 믿는 경향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카테고리에는 실제로 본질이 존재하지 않지만, 때때로 이것은 확고한 믿음입니다. 예를 들어, 많은 사람들은 모든 개가 가지고 있는 특정 유전자 또는 유전자 집합이 개에게 있어서 짖고, 털을 가지고, 그렇게 보이게 하는 무언가가 있다고 말합니다. 따라서 어떤 것이 개인지 아닌지에 대한 결정은 쉽게 볼 수 있는 특징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원인이 있다고 가정하는 것에도 의존합니다.

15 types of butterflies native to Kalimantan (Borneo).
Although it may seem natural that different species have an unchangeable “essence,” consider evolution and everything’s development from common ancestors. [Image: Marc Dragiewicz, https://goo.gl/E9v4eR, CC BY-NC-SA 2.0, https://goo.gl/Toc0ZF]

본질에 대한 믿음은 가상의 대상을 묘사하는 실험을 통해 드러날 수 있습니다. 케일(1989)은 어른과 어린이들에게 너구리를 잡아서 머리카락을 검은색으로 염색하고 가운데에 흰색 줄무늬를 넣은 다음 꼬리 아래에 "매우 냄새나는 지저분한 물질 주머니"를 심는 사악한 수술을 설명했습니다. 피험자들에게 스컹크 사진을 보여주고 이것이 현재 동물의 모습이라고 말했습니다. 이게 뭔가요? 4세 이상의 성인과 어린이는 모두 이 동물이 여전히 너구리라는 데 동의했습니다. 스컹크처럼 보이고 심지어 행동할 수도 있지만 너구리는 줄무늬를 바꿀 수 없으며 항상 너구리일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케일이 새 모이통처럼 보이고 기능하도록 조작한 커피포트에 대해 설명했을 때는 같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피험자들은 그것이 새 모이통이라는 데 동의했습니다. 인공물에는 본질이 없습니다.

본질주의의 징후로는 (a) 사물이 중간이 없이 범주 안에 있거나 범주 밖에 있다고 믿으며, (b) 범주 구성원 또는 본질과 관련된 속성의 변경에 저항하며, (c) 생물의 경우 본질이 자손에게 전달된다고 믿는 것 등이 있습니다.

본질주의는 자연계의 많은 부분을 다루는 데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인간에게 적용될 때는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상당한 증거에 따르면 사람들은 성별, 인종, 민족 집단이 본질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며, 이는 집단 간의 차이를 강조하고 심지어 차별을 정당화하는 역할을 합니다(Hirschfeld, 1996). 역사적으로 집단의 차이는 가족이나 집단의 피를 물려받는 것으로 설명되었습니다. '나쁜 피'는 단순한 표현이 아니라 부정적인 특성이 유전되어 바꿀 수 없다는 믿음이었습니다. 결국, 부정직하거나 씨족적이거나 운동 능력이 떨어지는 것이 "그 사람들"의 본성이라면 너구리가 스컹크로 변할 수있는 것 이상으로 거의 바꿀 수 없습니다.

사람들의 범주에 대한 연구는 흥미진진한 진행형이며, 어린 시절에 다양한 종류의 사람에 대한 개념이 어떻게 학습되고 성인이 되어서 어떻게 변할 수 있는지(또는 변하지 않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많이 알지 못합니다. 본질주의는 사람 범주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우리가 그룹을 생각하는 방식에 있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결론

개념은 일상적인 사고의 중심입니다. 미래를 계획하거나 과거에 대해 생각할 때, 우리는 특정 사건과 사물을 범주에 따라 생각합니다. 갓 태어난 아기를 데리고 친구를 방문한다면 아기가 무엇을 할 것인지, 어떤 선물이 적절할지, 아기를 어떻게 대해야 할지 등에 대한 기대가 있을 것입니다. 아기의 범주를 알면 처음 보는 아이를 만났을 때 효과적으로 계획하고 행동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범주에 대해 배우는 것은 예시(아기)를 보고, 일반적인 설명("아기는 흑백 사진을 좋아한다")을 듣거나 읽고, 일반적인 지식(아기에게는 신장이 있다)을 습득하고, 간혹 규칙(모든 아기는 뿌리 반사가 있다)을 배우는 복잡한 과정입니다. 현재 연구는 이러한 다양한 과정이 뇌에서 어떻게 일어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개념의 이러한 다양한 측면은 서로 다른 신경 구조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보입니다(Maddox & Ashby, 2004).

또 다른 흥미로운 주제는 문화에 따라 개념이 어떻게 다른지입니다. 문화마다 관심사가 다르고 세상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개념에 이러한 차이가 반영될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다른 한편으로, 세계의 카테고리 구조는 어떤 종류의 카테고리가 실제로 유용한지에 대한 강력한 제약을 가하기도 합니다. 일부 연구자들은 동양과 서양의 사고방식의 차이로 인해 질적으로 다른 종류의 개념이 생겨났다고 주장하기도 합니다(예: 노렌자얀, 스미스, 킴, & 니스벳, 2002). 이러한 차이는 흥미롭지만, 여러 문화권에서 의자, 개, 파티, 항아리와 같은 공통 범주를 공유하는 것처럼 보이므로 문화적 효과를 감지하기 위해 고안된 실험에서 제안한 것만큼 차이가 크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도 기억해야 합니다. 개념을 정립하는 데 있어 문화, 환경, 기본적인 인지 과정의 상호작용은 아직 완전히 규명되지 않았습니다.

Outside Resources

Debate: The debate about Pluto and the definition of planet is an interesting one, as it illustrates the difficulty of arriving at definitions even in science. The Planetary Science Institute’s website has a series of press releases about the Pluto debate, including reactions from astronomers, while it happened.
http://www.psi.edu
Image Search: It can be interesting to get a pictorial summary of how much diversity there is among category members. If you do an image search for familiar categories such as houses, dogs, weddings, telephones, fruit, or whatever, you can get a visual display on a single page of the category structure. Of course, the results are probably biased, as people do not just randomly upload pictures of dogs or fruit, but it nonetheless will likely reveal the typicality structure, as most of the pictures will be of typical exemplars, and the atypical ones will stand out. (This activity will also demonstrate the phenomenon of ambiguity in language, as a search for “house” will yield some pictures of the TV character House, M.D. However, that is a lesson for a different module.)
https://www.google.com/
Self-test: If you would like to run your own category-learning experiment, you can do so by following the link below. It works either in-browser or by download. When downloaded, users can put in their own stimuli to categorize.
http://cognitrn.psych.indiana.edu/CogSciSoftware/Categorization/index.html
Software: Self-test Categorization Applet - This software allows you to conduct your own categorization experiment.
http://cognitrn.psych.indiana.edu/CogSciSoftware/Categorization/index.html
Web: A Compendium of Category and Concept Activities and Worksheets - This website contains all types of printable worksheets and activities on how to categorize concepts. It includes word searches, picture sorts, and more.
https://freelanguagestuff.com/category/
Web: An interesting article at Space.com argues (I believe correctly) that the term planet will not and should not be defined.
http://www.space.com/3142-planets-defined.html
Web: Most familiar categories have simple labels such as planet or dog. However, more complex categories can be made up for a particular purpose. Barsalou (1983) studied categories such as things to carry out of a burning house or ways to avoid being killed by the Mob. Interestingly, someone has published a book consisting of people’s photographs of things they would carry out of a burning house, and there is also a website showing such collections. Try to analyze what is common to the category members. What is the category’s prototype?
http://theburninghouse.com/

Discussion Questions

  1. Pick a couple of familiar categories and try to come up with definitions for them. When you evaluate each proposal (a) is it in fact accurate as a definition, and (b) is it a definition that people might actually use in identifying category members?
  2. For the same categories, can you identify members that seem to be “better” and “worse” members? What about these items makes them typical and atypical?
  3. Going around the room, point to some common objects (including things people are wearing or brought with them) and identify what the basic-level category is for that item. What are superordinate and subordinate categories for the same items?
  4. List some features of a common category such as tables. The knowledge view suggests that you know reasons for why these particular features occur together. Can you articulate some of those reasons? Do the same thing for an animal category.
  5. Choose three common categories: a natural kind, a human artifact, and a social event. Discuss with class members from other countries or cultures whether the corresponding categories in their cultures differ. Can you make a hypothesis about when such categories are likely to differ and when they are not?

Vocabulary

Basic-level category
The neutral, preferred category for a given object, at an intermediate level of specificity.
Category
A set of entities that are equivalent in some way. Usually the items are similar to one another.
Concept
The mental representation of a category.
Exemplar
An example in memory that is labeled as being in a particular category.
Psychological essentialism
The belief that members of a category have an unseen property that causes them to be in the category and to have the properties associated with it.
Typicality
The difference in “goodness” of category members, ranging from the most typical (the prototype) to borderline members.

References

  • Allen, S. W., & Brooks, L. R. (1991). Specializing the operation of an explicit rule.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20, 3–19.
  • Anglin, J. M. (1977). Word, object, and conceptual development. New York, NY: W. W. Norton.
  • Berlin, B. (1992). Ethnobiological classification: Principles of categorization of plants and animals in traditional societie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 Brown, R. (1958). How shall a thing be called? Psychological Review, 65, 14–21.
  • Gelman, S. A. (2003). The essential child: Origins of essentialism in everyday thought.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 Hampton, J. A. (1979). Polymorphous concepts in semantic memory.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18, 441–461.
  • Hirschfeld, L. A. (1996). Race in the making: Cognition, culture, and the child's construction of human kinds. Cambridge, MA: MIT Press.
  • Horton, M. S., & Markman, E. M. (1980). Developmental differences in the acquisition of basic and superordinate categories. Child Development, 51, 708–719.
  • Keil, F. C. (1989). Concepts, kinds, and cognitive development. Cambridge, MA: MIT Press.
  • Maddox, W. T., & Ashby, F. G. (2004). Dissociating explicit and procedural-based systems of perceptual category learning. Behavioural Processes, 66, 309–332.
  • Mandler, J. M. (2004). The foundations of mind: Origins of conceptual thought.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 Mareschal, D., Quinn, P. C., & Lea, S. E. G. (Eds.) (2010). The making of human concepts.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 McCloskey, M. E., & Glucksberg, S. (1978). Natural categories: Well defined or fuzzy sets? Memory & Cognition, 6, 462–472.
  • Medin, D. L., & Ortony, A. (1989). Psychological essentialism. In S. Vosniadou & A. Ortony (Eds.), Similarity and analogical reasoning (pp. 179–195).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Medin, D. L., & Schaffer, M. M. (1978). Context theory of classification learning. Psychological Review, 85, 207–238.
  • Mervis, C. B. (1987). Child-basic object categories and early lexical development. In U. Neisser (Ed.), Concepts and conceptual development: Ecological and intellectual factors in categorization (pp. 201–233).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Murphy, G. L., & Allopenna, P. D. (1994). The locus of knowledge effects in concept learning.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20, 904–919.
  • Murphy, G. L., & Brownell, H. H. (1985). Category differentiation in object recognition: Typicality constraints on the basic category advantage.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11, 70–84.
  • Norenzayan, A., Smith, E. E., Kim, B. J., & Nisbett, R. E. (2002). Cultural preferences for formal versus intuitive reasoning. Cognitive Science, 26, 653–684.
  • Rosch, E., & Mervis, C. B. (1975). Family resemblance: Studies in the internal structure of categories. Cognitive Psychology, 7, 573–605.
  • Rosch, E., Mervis, C. B., Gray, W., Johnson, D., & Boyes-Braem, P. (1976). Basic objects in natural categories. Cognitive Psychology, 8, 382–439.
  • Rosch, E., Simpson, C., & Miller, R. S. (1976). Structural bases of typicality effect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2, 491–502.
  • Rosch, E. H. (1973). On the internal structure of perceptual and semantic categories. In T. E. Moore (Ed.), Cognitive development and the acquisition of language (pp. 111–144). New York, NY: Academic Press.
  • Smith, E. E., & Medin, D. L. (1981). Categories and concept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 Smith, J. D., & Minda, J. P. (1998). Prototypes in the mist: The early epochs of category learning.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24, 1411–1436.
  • Tanaka, J. W., & Taylor, M. E. (1991). Object categories and expertise: Is the basic level in the eye of the beholder? Cognitive Psychology, 15, 121–149.
  • Wisniewski, E. J., & Murphy, G. L. (1989). Superordinate and basic category names in discourse: A textual analysis. Discourse Processes, 12, 245–261.

Authors

  • Gregory Murphy
    Gregory Murphy is Professor of Psychology at New York University. He previously taught at the University of Illinois and Brown University. His research focuses on concepts and reasoning, and he is the author of The Big Book of Concepts (MIT Press, 2002).

Creative Commons License

Creative CommonsAttributionNon-CommericalShare-AlikeCategories and Concepts by Gregory Murphy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4.0 International License. Permissions beyond the scope of this license may be available in our Licensing Agreement.

How to cite this Noba module using APA Style

Murphy, G. (2023). Categories and concepts. In R. Biswas-Diener & E. Diener (Eds), Noba textbook series: Psychology. Champaign, IL: DEF publishers. Retrieved from http://noba.to/6vu4cpkt

This article was updated on 7월 3, 2023

심리학을 공부하기 위해 noba project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도전을 시작했습니다. 번역에 DeepL과 GPT-4를 적극적으로 활용했습니다.